Xu hướng tăng trưởng tiêu dùng của Việt Nam

1. Nước đứng đầu về lũy kế đầu tư nước ngoài vào Việt Nam là Hàn Quốc.
 
Tuy nhiên, gần đây có xu hướng tăng lượng đầu tư, tập trung vào Singapore và Đài Loan hiện là quốc gia đầu tư lớn thứ 4 vào Việt Nam, với khoảng 3.200 dự án và vốn đăng ký vượt 39,5 tỷ USD.
 
Đài Loan cũng là đối tác thương mại lớn thứ năm của Việt Nam, với kim ngạch thương mại song phương hàng năm hiện đạt 25 tỷ USD. Nửa đầu năm 2024, có 39 dự án mới được Đài Loan đầu tư vào các lĩnh vực điện tử, dệt may, thiết bị điện, vốn đầu tư đăng ký là 513,37 triệu USD, chiếm 49% tổng vốn FDI mà Đài Loan đầu tư ra nước ngoài trong thời gian nó được áp dụng.
 
Trong báo cáo gần đây có tiêu đề 'Từ tầm nhìn đến hành động, Đẩy nhanh quá trình chuyển đổi xanh trong các ngành công nghiệp Việt Nam', công ty tư vấn bất động sản JLL Việt Nam nhấn mạnh động lực của thị trường công nghiệp Việt Nam, nhân khẩu học thuận lợi và quá trình chuyển đổi xanh đang diễn ra là động lực cho phát triển bền vững, cũng như những thuận lợi của Việt Nam. Ông cho rằng giới trẻ, người trẻ là nhân tố đưa đến trở thành cường quốc sản xuất toàn cầu.
 
Thủ tướng Việt Nam đồng ý kế hoạch cải tạo biển nhằm tối ưu hóa không gian phát triển biển nhằm tiết kiệm thời gian, chi phí so với xây dựng trên đất liền là chủ trương đặc biệt nhằm xây dựng khu thương mại tự do ở Đà Nẵng, một tỉnh miền Trung.
 
Bộ Giao thông Vận tải Việt Nam (MoT) đã đề xuất phát triển tuyến đường sắt cao tốc nối liền miền Bắc và miền Nam đất nước với tốc độ lên tới 350 km/h và chi phí khoảng 70 tỷ USD. Tuyến đường sắt cao tốc Bắc-Nam được đề xuất có tổng chiều dài 1.541 km và có đặc điểm là cắt ngắn.
 
Theo Hiệp hội Sản xuất và Xuất khẩu Thủy sản Việt Nam (VASEP), xuất khẩu thủy sản của Việt Nam vẫn phụ thuộc nhiều vào nguồn tài nguyên thiên nhiên, ngày càng khó đảm bảo an toàn do các quy định thắt chặt và nuôi trồng thủy sản biển địa phương hạn chế. Các nước mua lớn nhất vào thị trường Việt Nam là Nhật Bản, Hoa Kỳ, Hàn Quốc.
 
2. Ngành dệt may Việt Nam
 
có kế hoạch nâng cao năng suất nhằm giảm áp lực từ chi phí lao động tăng cao. Trước đây, ngành may mặc cần thuê thêm 100.000 công nhân để tạo ra doanh thu 1 tỷ USD. Nhưng ngày nay, chỉ cần khoảng 20.000 đến 30.000 công nhân để đạt được mục tiêu đó, hiệp hội may mặc cho biết.
 
Các chuyên gia cảnh báo rằng Việt Nam đang phải vật lộn với lượng tồn kho bất động sản đáng kể, có thể chiếm tới gần 80% tài sản của một số chủ đầu tư, làm dấy lên lo ngại về khả năng nợ xấu và ổn định kinh tế vĩ mô.
 
Thủ tướng Việt Nam cho biết trong cuộc họp mới đây, ngành VLXD đang gặp vô số khó khăn về sản xuất và tiêu thụ, dẫn đến doanh thu sụt giảm và tác động tiêu cực không chỉ đến nền kinh tế mà còn đến quá trình công nghiệp hóa và phát triển của đất nước. hiện đại hóa.
 
Tổng công ty Cảng hàng không Việt Nam (ACV) công bố, trong 8 tháng năm 2024, số chuyến cất cánh và hạ cánh quốc tế tăng 22% lên 170.362 chuyến bay, số chuyến cất cánh và hạ cánh nội địa giảm 19,5% so với cùng kỳ năm ngoái xuống 289.772 chuyến bay. . Số lượng hành khách quốc tế tăng 32,4% lên 27.472.661 và số lượng hành khách nội địa giảm 17,3% so với cùng kỳ năm ngoái xuống 48.379.606.
 
3. Công nghiệp ô tô
 
Doanh số bán hàng trong quý 3 bị ảnh hưởng do khách hàng hoãn mua hàng, nhưng trong quý 4, Bộ Tài chính đã đưa ra các biện pháp hỗ trợ ngành ô tô, kéo dài thời hạn nộp thuế đặc biệt và cắt giảm 50% phí trước bạ đối với ô tô sản xuất trong nước, thúc đẩy nhu cầu trong nước. kích thích.
 
Mặc dù xuất khẩu ngày càng tăng và số lượng khách du lịch nước ngoài vào nước này ngày càng tăng đáng kể, nhưng ước tính hơn 30.000 cửa hàng thực phẩm và đồ uống đã đóng cửa trong nửa đầu năm 2024 do người tiêu dùng giảm ghé thăm các quán cà phê. Kết quả cho thấy ngành nhà hàng đã giảm 3,9% so với cuối năm 2023.
 
Ngay cả những thương hiệu có uy tín với lượng khách hàng trung thành cũng bị ảnh hưởng nặng nề bởi suy thoái kinh tế. Một chuyên gia ngành nhà hàng cho biết: “Ngành F&B đã chật vật suốt 6 tháng” và “nhiều công ty đã phải rời khỏi thị trường”.
 
Xuất khẩu và đầu tư trực tiếp nước ngoài (FDI) đang gia tăng ở ba trung tâm chính của nền kinh tế Việt Nam nhưng tiêu dùng trong nước lại sụt giảm. Người tiêu dùng đang tăng tiết kiệm, nhưng nghiên cứu cho thấy họ đang hạn chế mua sắm và tiêu dùng do không chắc chắn về tương lai do giá cả tăng cao.
 
Trong thời điểm tiêu dùng bị hạn chế và nhu cầu trong nước chậm lại, các chương trình khuyến mãi nhằm kích thích sức mua bằng cách cung cấp dịch vụ giảm giá cho người tiêu dùng dường như là cần thiết.

▲ Kim Seok-un, Viện trưởng Viện Nghiên cứu Kinh tế Việt Nam (kswkso@hanmail.net)
 

세부 사항

글로벌화된베트남

 베트남 통계청(GSO)에 따르면 2023년 1월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21.3% 감소한 2508000만 달러무역흑자는 36억 달러를 기록했다전문가들은 음력 설(Tet) 연휴가 1월에 있어 조업일수가 10일 이상 줄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경제정책연구소는 베트남 2023년 경제는 역풍이 예상되는 가운데 상당한 도전에 직면해 있다고 밝혔다주요 외부 문제는 수출에 대한 수요의 급격한 감소다의류와 목재 같은 월간 10억 달러 이상의 매출을 올리는 많은 수출 부문에서 30~40% 감소한 매출을 보였다경제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지적했다.

 

전 세계 스마트폰 출하량이 사상 최악의 분기 하락세를 보이며 2023년 베트남과 한국은 제조 허브로 피해를 입을 수 있으며 소비자 수요의 감소를 예고하고 있다. 2022년 4분기 전 세계 출하량이 3억 대로 18.3% 감소했다고 발표했다전년도 분기 대비 애플(Apple)은 14.9%, 삼성은 15.6% 감소했다.

 

스마트폰은 한국의 최대 수출품 중 하나이며삼성전자가 한국과 베트남에서 생산공장을 운영하고 있어 베트남의 주요 수입원이다지난 분기 삼성은 주로 반도체 수요 감소로 인해 10년 만에 가장 큰 이익 하락 폭을 기록했다.

 

기획투자부 산하 기업등록청에 따르면 2023년 1월 현재까지 약 43,900개의 기업이 시장에서 철수했으며 이는 전년 동기 대비 14.4% 늘어난 수치다. 2022년 4분기 베트남의 S&P MPI는 11월 및 12월에 각각 47.4와 46.3로 실적이 저조했다.

 

2023년 세계와 베트남의 많은 주요 파트너들이 경기침체를 겪을 것으로 예측했다그러나 미국 경제가 연착륙할 수 있고 2023년 중국 경제가 제로코로나’ 정책 완화와 부동산 시장 안정으로 2022년보다 더 나은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베트남 통계청에 의하면 지난 1월 상품 및 서비스 소매 판매는 5448000억 동(2322000만 달러)으로 전월 대비 5.2%, 전년 동월 대비 20% 증가한 것으로 추산된다의류(27%)에서 가장 큰 판매 증가율을 보였다. 1월 베트남을 방문한 국제관광객은 871000명 이상으로 전월 대비 23.2% 증가했다.

 

베트남은 2022년 연간 자동차 판매가 51만대로 27% 증가율을 보이며 증가율에서 세계 3위를 기록했다특히한국의 현대차는 베트남의 소형 도시형 자동차 시장을 장악했다또한 오토바이 연간 판매는 330만대로 전년 대비 9.9% 증가했다.

 

베트남 금은보석 전문점 PNJ는 2022년 매출이 14억 달러로 73.3% 급증했다세계 시장의 경제 및 지정학적 불확실성 속에서도 높은 수요 덕분에 판매가 증가했다베트남인들은 금이 시장 변동성의 시기에 안전한 피난처라고 생각한다.

 

베트남의 연료유 및 휘발유 수입은 2021년 49억 달러에서 2022년 90억 달러로 거의 2배 증가했다한국은 320만 톤을 베트남으로 수출하여 최대 공급 국가이고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가 그 뒤를 이었다.

 

베트남 음력 설(Tet) 연휴 (1월 19~29기간 호치민시 주변 붕따우(Vung Tau) 해변가는 다른 연휴 기간보다 7배나 많은 관광객으로 붐비고 호치민시 공항은 고향을 방문하는 귀성객으로 사상 최대 운송 기록을 보였다.

 

하노이와 하이퐁시에서 음식과 음료를 제공하는 사업체는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첫 음력 설 연휴 기간을 즐기려는 소비자로 급증했다대부분의 커피 체인점들은 고객 서비스를 위해 가격을 인상하지 않았다쇼핑몰의 스테이크 또는 피자 전문점에서는 손님들이 빈 좌석이 나오기를 30분 이상 기다려야 했다.

 

식음료 시장 솔루션 회사 iPOS가 3940명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식사를 외식으로 해결하는 베트남 사람들은 채소와 고기 가격이 저렴한 이점으로 식사도 저렴하게 매식을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많은 베트남 사람들이 다양한 커피나 음료를 마시는 경향이 늘어나고 스타벅스와 같은 고급 커피숍에서 식사보다 더 많은 금액을 지불하며 음료를 즐긴다생일이나 연휴와 같은 특별한 날에는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더 많은 금액을 식사 비용으로 지출하고 있다.

 

세계 시장 소비침체에도 불구하고 베트남의 식음료 산업은 젊은 중산층을 중심으로 소비 품격이 향상되고 있다글로벌 시장에서 넷플릭스(Netflix) 인기 순위는 베트남에서도 상위를 점하고 있다특히 한국 영화의 인기는 더욱 뚜렷하다.

 

베트남의 젊은 중산층은 드라마와 영화를 통해 한류 식음료한류 패션한류 문화에 익숙하다이를 소비재 상품으로 영역을 넓힐 필요가 있다화장품전자제품식품건강식품을 포함하여 라이프스타일의류유아용품 등이 유망상품이다.

 


젊은 중산층의 사고는 합리적이며 소비에 대해 실용적이다가치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 충분한 이유가 있으면 지갑을 여는 소비계층이다한류에 대한 이해도는 매니아 수준으로 일반적인 상품 브랜드 개념보다 선호도가 더 우위에 있으며 베트남에서 소비를 주도하는 계층이다.

세부 사항

호치민편의점증가

 2021년 베트남 소매시장은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전년보다 다소 둔화됐지만 이듬해에는 모든 분야에서 완연한 회복세를 보였다. 이런 상황에서 분야별로 소매점들의 증감 추이를 보면 우리 제품이 어느 곳을 공략해야 할지 대충 감을 잡을 수 있다.

 
◆견조하게 성장하는 소매시장=베트남 통계청에 따르면 2021년 베트남 소매시장 규모는 전년 대비 18.6% 증가한 2042억8655만 달러였다. 베트남 소매시장은 2015년부터 2021년까지 6년 연속 연평균 10.7%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특히 코로나19로 전 산업이 위축되는 상황에서도 소매시장은 견조세를 유지했다.
 
◆‘쿱’과 ‘윈’이 양분한 시장=한국의 홈플러스, 이마트 등과 비교될 수 있는 베트남의 대형 마트 점포 개수는 2019년 360개에서 2020년 332개로 감소했다가 2021년 348개 그리고 작년에는 373개로 다시 회복세를 보였다. 2021년 기준 쿱마트 128개, 윈마트 123개로 두 기업이 시장을 양분했으며 사쿠코(36개), 란치마트(24개), 이온시티마트(20개), 탑스마켓(15개) 등이 뒤를 이었다.
 
◆폭증하는 편의점과 하이퍼마켓=편의점과 하이퍼마켓 수는 2019년 3007개에서 2022년 6735개로 124%나 늘었다. 이 중 마산그룹의 자회사 윈마트플러스(구 빈마트)와 모바일월드의 소매 자회사 박화싸잉은 하이퍼마켓의 양대 산맥으로 베트남 전역의 하이퍼마켓 소매시장을 독식했다.
 
2020년 기준 윈마트플러스의 점포 수는 2870개, 박호아싸잉은 1214개로 총 4084개였으나 작년에는 2601개와 2147개로 두 기업의 소매점을 합치면 4748개에 달했다. 이외에도 2021년 점포 수 상위 순위를 기록한 곳은 편의점 서클케이(415개), 쿱푸드(394개), 사트라푸드(187개), 패밀리마트(143개) 등이며 한국의 GS25는 약진을 거듭해 133개로 7위에 올랐다.
 
▲하노이 소재 빈컴몰 내부 [사진=한국무역신문 DB]
◆빈컴몰이 지배하는 백화점 시장=2019년 베트남의 백화점 수는 호찌민 27개, 하노이 14개, 이외 지역 55개로 총 96개였다. 2020년에는 호찌민에서 1개가 문을 닫고 하노이에서 2개 증가, 기타 지역에서 10개가 늘어 총 107개가 됐다. 2021년에는 같은 숫자가 유지됐으며 작년에는 호찌민 1개 감소, 하노이 1개 감소, 기타 3개 증가해 모두 109개의 백화점이 있다.
 
2021년 브랜드별 점포 수는 빈그룹의 빈컴몰이 80개로 전체 백화점의 70%가 넘는 비중을 차지했고 이어 롯데마트(14개), 이온몰(6개), 팍슨스(3개), 로빈스(2개) 순이었다.
 
◆증가하는 가전제품과 모바일기기 판매점=지난해 베트남 전역의 전자기기 및 모바일기기 판매점은 4409개로 전년 대비 20.4% 증가했다. 2021년 기준 매장 수는 더지오이디동이 3080개로 가장 많았고 FPT숍(760개), 비엣텔스토어(347개), 홍하(95개), 셀폰에스(73개)가 뒤를 이었다.
 
◆체인점 약국의 비약적 성장=코로나19 이후 소매시장을 견인한 것은 일반의약품(OTC)의 매출 증대다. 베트남의 체인점 약국은 2021년 864개에서 2022년 1745개로 102%나 증가했다. 특히 사모펀드인 메콩캐피털의 투자를 받은 파마시티는 2021년 534개 매장에서 2022년 1000개 매장으로 점포 수가 87.3%나 늘었다. 같은 기간 FPT롱차우 약국은 214개에서 535개, 안캉파머시는 116개에서 210개로 증가했다.
 
강세를 보이는 약국은 지역별로 상이했다. 호찌민시는 타 지역 대비 소매 판매가 활발한 편으로 모든 약국 및 드럭스토어의 매장 수가 하노이를 앞질렀다. SK파머시, 파노파머시, 안캉파머시, 에코파르마 등은 하노이에는 매장을 내지 않고 호찌민과 다른 지역에만 출점했으며 일본의 드럭스토어 브랜드 마츠모토키요시는 호찌민에만 2개 매장을 보유했다.
 
◆생활용품 소매점의 감소=베트남에서 식료품과 잡화를 파는 하이퍼마켓과 약국 점포 수의 증가세는 뚜렷한 반면 무무소(중국), 미니소(중국) 등 한국의 다이소처럼 생활용품을 판매하는 4만 동 숍(2000원 숍)의 감소가 두드러졌으며 2021년에는 전년 대비 –20%를 기록했다.
 
호찌민의 생활용품 소매점은 2020년 71개에서 2021년 57개, 2022년 56개로 점차 감소했으며 기타 지역에서도 67개, 69개, 35개로 급감했다. 같은 기간 하노이에서는 32개, 28개, 32개로 큰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전체 매장 수는 170개에서 123개로 27.6% 줄었다.
 
◆피트니스 체인과 영화관도 감소=코로나19는 베트남의 엔터테인먼트 산업에도 영향을 끼쳤다. 2020년 116개였던 대형 피트니스 체인은 2022년 107개로 줄었다. 멀티플렉스 극장 역시 182개에서 173개로 감소했다.
 
◆의류 및 신발 소매점의 쇠락=작년 기준 베트남 전역의 의류 및 신발 소매점은 1330개로 전년 대비 44% 감소했다. 현지 운동화 브랜드인 ‘비티스’와 액세서리 브랜드 ‘주노’가 일부 매장을 철수하면서 감소세가 두드러졌다.
 
2021년 베트남에서 가장 점포가 많은 의류 소매점은 블루익스체인지로 319개였으며 ‘피에르가르뎅’ 브랜드를 보유한 안푸옥이 166개로 3위, 베트남 로컬 운동화 브랜드 비티스가 156개로 3위를 차지했다. 베트남 현지 여성복 브랜드 ‘엘리스’는 121개 매장으로 4위에 올랐고 ‘베트남의 유니클로’로 불리는 카니파는 110개로 6위에 등극했다.
 
◆유·아동용품 시장의 절대강자 꼰꿍=기저귀, 분유, 아동복, 완구, 출산준비물 등을 편집숍 형태로 판매하는 유·아동용품 전문 소매점의 경우 점포 수가 2021년의 1093개에서 이듬해에는 1030개로 줄었다. 
 
그러나 이는 하노이와 호찌민을 제외한 기타 지역에서 700개에서 535개로 감소했기 때문이며 오히려 하노이는 147개에서 164개, 호찌민은 246개에서 331개로 각각 증가했다.
 
2021년 브랜드별 점포 수는 호찌민에서 시작한 꼰꿍이 총 624개로 절대 우위를 보였고 북부에서 시작한 비보마트가 156개로 그 다음이었다. 3위는 155개의 키즈플라자였다.
 
◆베트남 ‘톱5’ 전자상거래 몰은?=전자상거래 정보 제공기업 아이프라이스베트남에 따르면 2021년 4분기 기준 트래픽 수 1위를 기록한 전자상거래 몰은 싱가포르에 모회사를 둔 쇼피였다. 쇼피는 앱스토어와 플레이스토어 모두 다운로드 1위를 차지했으며 4분기 웹 트래픽은 8895만6700건에 달했다. 
 
2위는 중국의 알리바바를 모기업으로 둔 라자다로 2021년 4분기 웹 트래픽이 2063만3300건을 기록했다. 3위는 베트남 기업 티키였는데 1786만6700건이었으며 센도, 뱃기아, 파도 등의 쇼핑몰이 뒤를 이었다.
 
◆윈마트의 디지털 전환 노력=마산그룹은 빈그룹으로부터 빈마트를 인수해 윈마트로 사명을 변경한 2021년 중반부터 다양한 디지털 전환을 시도하고 있다. 일부 윈마트 매장에는 마산그룹이 인수한 전통차 및 카페 브랜드 ‘푹롱’의 차와 음료를 주문할 수 있는 키오스크가 설치돼 있다. 
 
또한 통신사 별로 심카드 및 데이터 구매가 가능한 키오스크가 설치된 곳도 있다. 일반의약품(OTC)을 구입할 수 있는 키오스크 및 테크콤뱅크의 현금자동입출금기(ATM) 서비스 관련 키오스크도 매장 곳곳에 마련해 소비자들이 마산 협력사의 키오스크를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마산그룹은 윈마트 및 윈마트플러스에 설치한 다양한 협력사의 키오스크를 통해 2025년까지 연간 3000만~5000만 명의 소비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방침이며 분야별 키오스크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협력사와 고객 수 30%, 매출 40% 증대를 목표하고 있다.
 
마산그룹은 또한 2025년까지 전국에 3만 개의 윈마트 계열 소매점을 운영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베트남 소매시장의 절반을 차지하면서 연간 70억~80억 달러의 매출을 기대하고 있다. 마산은 소비자 및 개인 금용산업을 인공지능(AI)으로 분석하는 플랫을 소유한 트루스팅소셜JSC의 지분 25%를 6500만 달러에 인수한 바 있다. 이를 통해 마산은 통신, 개인 신용관리 및 그룹 계열사 포인트 계정을 통합한 레디에 100만 개의 신규 회원카드를 발행할 계획이다.
 
◆시사점과 전문가 제언=코로나19로 2021년 베트남 소매시장은 다소 둔화되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작년부터는 모든 분야에서 완연한 회복세를 보이면서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갔다.
 
현지 금융기업 관계자는 KOTRA 하노이 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지난해 베트남 일용소비재(FMCG) 시장은 코로나19 유행 이전 수준으로 반등해 2019년 대비 5~10% 감소한 데 그쳤을 것”이라며 “베트남은 35세 미만 인구가 70%가 넘을 정도로 젊은 국가이기 때문에 소비재 판매 회복 및 고성장이 수월하다”고 분석했다.
 
그는 또한 바쁜 일상에서 등하굣길이나 출퇴근길에 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하이퍼마켓, 편의점 및 전자상거래 쇼핑몰의 성장을 기대하는 한편 전자상거래 몰과 오프라인 매장의 옴니채널 운영체계가 발전해 오프라인 매장은 점차 줄어들고 전자상거래 몰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아직까지 오프라인 매장이 주도하는 베트남의 유통구조가 점차 온라인으로 이동할 것으로 내다봤다.
 


KOTRA 무역관은 “베트남 소매분야 진출을 희망하는 한국 기업은 앞서 진출한 국내외 경쟁사의 사업 확대 및 축소 동향을 면밀하게 살펴야 한다”면서 “우리 기업들은 제품 진출과 더불어 투자, 기술 이전, 플랫폼 협력 등 다양한 협력 방식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세부 사항

의료시장확장된베트남

 최근 베트남에서는 공립병원을 떠나는 의료 종사자가 늘어나는 반면 사립병원은 나날이 그 숫자가 증가하고 있다. 그만큼 우리 의료장비 수출, 의료기술 전수, 산학협력, 검진센터 협력 및 의료 디지털 전환 등의 분야에서 협력 기회가 넓어질 전망이다.

 
◆재정 부족에 시달리는 공립 의료=세계보건기구(WHO)의 2020년 통계에 따르면 베트남에는 1531개의 병원이 있다. 이 중 86%는 공립병원, 14%는 사립병원이며 대부분의 대형 병원은 호찌민, 하노이, 다낭 등에 집중돼 있다.
 
1318개의 공립병원은 국립, 시립, 군현 3가지로 나뉘어 관리되고 있다. 1급 병원의 42%는 북부에 집중돼 있으며 이 병원들은 전체 환자의 60%까지 수용 가능하다. 북부 하노이시에는 22개의 국립병원이 있다.
 
전체 63개 성시 중 50개 성시 이상이 1개 이상의 사립병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1만 명 당 1.7개의 개인 병상을 보유 중이다. 호찌민시, 하노이시, 다낭시 등의 주요 도시에서 사립 의료시설은 전체 외래 환자의 32.2%, 입원 환자의 6.3%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2019년 기준 베트남의 의사 수는 9만6200명이며 2020년 국가 의료보험 가입자는 8688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88.7%다.
 
베트남 지방정부와 보건부는 국가 재정이 부족하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다. 이에 따라 공립 의료 관련 상황을 개선하기 국내외 민영 의료기관에 투자를 요청해 의료 시스템을 개발 중이다. 하노이는 5년 안에 5000개의 병상과 8조6000억 동 규모의 병원 15개를 새로 열 계획을 갖고 있다. 2020년 기준 베트남 인구 1000명 당 의사는 0.82명, 간호사 1.34명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1000명당 의사 수 평균인 3.3명에 비해 크게 낮다.
 
◆해마다 증가하는 사립병원=베트남의 사립병원 수는 해마다 꾸준히 증가해왔다. 베트남 보건부에 따르면 2012년 기준 전국에는 102개의 사립병원이 5800개 이상의 병상을 제공했다. 5년 후인 2017년에는 그 숫자가 182개, 1만1700개로 늘었으며 3년 내 사립병원은 300개가 넘을 전망이다.
 
2020년 8월 비나캐피탈은 하노이 쩐지흥의 뚜꾹종합병원에 2670만 달러를 투자했다. 호안미의료메디컬그룹은 호찌민에 있는 싱가포르계 국립병원 행복국제병원과 후응이종합클리닉을 인수해 870명의 의사와 5300명의 간호사, 3400개의 병상, 15개 병원 및 6개 클리닉을 보유한 베트남 최대의 민간 의료그룹으로 거듭났다. 또한 지난 수년간 빈멕하이퐁국제병원, 메드라텍병원그룹, 땀안병원 같은 신규 민간 병원이 다수 설립됐다.
 
◆해마나 늘어나는 의료비 지출=통계 전문기관 스태티스타에 따르면 베트남의 연간 의료비 지출 규모는 2021년 기준 172억 달러로 국내총생산(GDP)의 5.9%를 차지했다. 베트남 의료시장은 2021년 기준 5100만 달러이며 신규 개업한 의료 관련 신규 사업은 901개, 평균 기대 수명은 75.4세였다.
 
세계은행의 2019년 통계에 따르면 베트남 1인당 연간 헬스케어 지출액은 2018년 163.15달러에서 2019년 180.72달러로 소폭 증가했다. 주베트남 영국상공회의소의 2021년 베트남 헬스케어 보고서는 2027년까지 베트남 인구 1인당 연평균 의료비 지출액이 400달러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베트남 통계청에 따르면 2020년 1만 명당 병상 수는 31개로 2015년의 26.5개 대비 4.5개가 증가했다. 베트남 정부는 2030년까지 1만명 당 32개의 병상을 갖추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한편 베트남 통계청은 베트남의 GDP 대비 보건 사회복지 분야 기여도가 2015년의 1.7%에서 2019년 2.8%로 4년간 1.05%P 증가했으며 2020년에는 3%, 2021년에는 3.1%를 기여한 것으로 추정했다.
 
◆4년제 의사와 6년제 의사=베트남의 29개 의대에서는 매년 400~600명의 의사를 배출한다. 베트남 교육훈련부는 모든 기초 학위의 기준 및 커리큘럼을 담당하며 베트남 의학대학의 전문의사 양성도 이 기준을 따른다. 베트남 의대에서 수학한 의사는 임상(임상병리사), 수련의(대학병원 의사 및 교수), 아카데믹 세 가지 트랙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임상 트랙을 선택할 경우 레벨1 임상의는 1년의 수련기간을 거치며 레벨2는 레벨1 수료 후 최소 6년의 경력이 지나야 취득이 가능하다. 수련의 트랙은 대학병원 임상의 및 교수가 될 수 있는 과정으로 수련의 과정을 수료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의학 석박사를 받고 연구의가 될 수 있다. 베트남 의대에 진학할 경우 6년의 수련의 프로그램과 4년의 제너럴리스트가 되는 교육 프로그램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베트남 보건부는 지역사회의 공립 의사 부족에 대응하기 위해 4년제 프로그램을 마련했다. 6년제에 입학하는 의대생들은 국가고시에 합격한 고등학교 졸업생이며 4년제 입학생들은 일반적으로 의대의 자체 시험에 합격한 보조 의사들이다.
 
시장조사기업 켄리서치에 따르면 베트남의 일반 의사는 2016~20년 연평균 0.2%, 같은 기간 의학석사 졸업자는 6.23% 증가했다. 주요 의대 보유 도시는 하노이, 타이응우옌, 하이퐁, 호찌민 등이며 10대 의대는 하노이 의대, 타이응우옌 의대, 하이퐁 의대, 타이빙 의대, 후에 의대, 껀터 의대, 팜응옹탁 의대, 호찌민 국립 의대, 베트남 군사의료아카데미, 보 트엉 또안 의대 등이다.
 
한편 베트남 정부는 2001년부터 2020년까지 20년간 점진적으로 의학교육을 통합해 학생 중심 원칙을 적용하고 문제 기반 및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방법을 도입했다. 또한 2004년부터 2008년까지 4년간 네덜란드는 베트남에서 주요 8개 의대의 의료기술 훈련 강화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이후 2013년 말부터 베트남 의대들은 정부가 승인한 ‘건강 전문가 및 보건 전문 시스템 개혁 프로젝트’(HPET)를 도입해 의료 교육 모델을 발전시켰다.
 
◆공립병원 떠나는 의사들=베트남 의료시장의 86%를 차지하는 공립 의료기관의 현실은 열악하다. 하노이 시의회에 따르면 2021년 한 해와 올해 상반기까지 18개월간 하노이시 공립 의료에 종사하는 약 900명의 종사자가 직업을 바꾼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 공립 보건의료 근로자 중 퇴직자 532명, 이직자82명이었으며 올해 1~4월에는 이 숫자가 226명과 17명이었다.
 
하노이시 인민위원회 관계자는 “베트남 공립 의료계에 종사하는 의료진의 업무량은 매일 야근을 해야 할 만큼 과중한 반면 이들의 월급은 턱없이 낮다 보니 많은 의료진이 오랫동안 종사한 의료분야에서 이탈해 새로운 직종을 찾고 있다”고 밝혔다.
 
호찌민시도 사정은 다르지 않다. 올해 1분기 호찌민시의 공립 의료기관을 떠난 의료진은 400여 명으로 호찌민시의 연평균 의료분야 퇴직자 수와 비슷하다. 특히 호찌민시 보건부문은 2021년 1154명이 사직하거나 이직해 공립 의료 인력이 크게 부족한 상황이다. 이 같은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호찌민시는 ‘풀뿌리 의료 역량 개선을 위한 결의안’을 통과시키는 한편 시 310개 보건소에 연간 1380억 동(약 5815만4166달러)을 지출하기로 했지만 공립 의료계 전문가들의 이탈은 계속되고 있다.
 
◆양극화 심한 공-사립 의사 수입=베트남 보건부는 2015년 5월 ‘공립 전문의사 및 의료진 자격에 관한 규정’에 따라 의사를 수석의사(클래스1), 주치의(클래스2), 일반의사(클래스3)으로 분류한다. 예방의학 의사 역시 1, 2, 3급으로 나눈다. 대학 졸업 유무, 공립병원 취업 연차, 석박사 학위 유무에 따라 공립병원에 종사하는 의사는 최대 9급까지 월급 등급이 정해져 있다. 또한 의사가 대학병원의 교수로 겸직하면 추가 급여를 받을 수 있으며 3년마다 1등급씩 인상된다.
 
보건부 규정에 따른 수석의사의 경우 1등급은 992만 동(418달러), 2등급은 1004만9600동이며(423.5달러), 6등급은 1280만 동(539.4달러)의 기본급을 받는다. 주치의 급은 1등급 704만 동(296.7달러)에서 8등급 1084만8000동(457.1달러)이며 일반의사는 최소 374만 동(157.6달러)에서 연차별로 최대 796만8000동(335.8달러)까지 받는다.
 
반면 사립병원에 종사하는 의사들의 급여는 천차만별이지만 공립병원의 2~4배에 달한다. 사립병원은 영어, 프랑스어, 러시아어, 독일어 등 외국어를 구사하는 의사를 선호하기 때문에 베트남 의대를 졸업하고 해외연수를 다녀오거나 해외에서 수련의 과정을 수료한 사람을 선호한다. 해외에서 의학 관련 석박사나 수련의 과정을 밟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 이에 따라 경제 여건이 되는 의대 졸업생들은 해외연수 및 석박사 과정 이수를 통해 사립병원 취업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인력개발 컨설팅 기업 퍼솔켈리에 따르면 호찌민시의 5~10년 경력 사립병원 의사의 월 실수령액은 최소 2500달러에서 최대 3500달러이며 하노이의 경우 2000~3000달러다. 10년 경력 수간호사는 호찌민과 하노이시 모두 최소 1500~3000달러이고 2~5년 경력의 일반 간호사는 600달러에서 1200달러를 매달 받는다.
 
공립병원에서 수련의 과정을 거쳐 의대 교수로 재직하는 6년차 의사보다 사립병원에 종사하는 간호사의 월급이 훨씬 높다. 10년 이상 수간호사로 공립병원에 재직한 간호사의 경우 월 평균 임금이 800만~1000만 동(337.1~421.4달러)이 되지 않는다. 그러나 사립병원 간호사는 최소 2배 이상이다. 이 때문에 공립병원의 실력 있는 전문 의료진이 사립병원으로 이직하거나 아예 타 직종으로 옮겨 가는 것을 막을 수 없는 실정이다.
 
◆지방 의료인력의 부족=세계은행의 2020년 보고서, 베트남 통계청의 2019년 통계, 베트남 보건부의 2018년 백서를 종합하면 베트남 인구 1000명당 의사 수는 2018년 기준 0.8명에 불과하다. 주변국과 비교하면 태국과 동일한 수준이며 한국(2017년, 2.4명), 일본(2016년 2.4명), 중국(2017년 2명), 말레이시아(2015년 1.5명)에 비해 턱없이 부족하다.
 
그나마 하노이, 호찌민, 다낭, 껀터 등의 도시는 나은 편이다. 대형 병원의 대부분이 하노이, 호찌민, 다낭 등에 집중돼 있어 중부 고원지대 또는 북부 산간지대에서 응급환자가 발생하거나 큰 병원에 가야 하는 경우 골든타임을 놓치곤 한다.
 
베트남 남부 동나이성은 산업공단이 있고 상대적으로 인구가 많지만 낮은 소득 때문에 의사 부족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동나이성에는 170개 병원이 있지만 대부분 상시 근로 중인 의사가 부족하다. 보건부는 동나이성의 병원에 근무할 의사를 모집하고 있지만 충원이 쉽지 않다고 밝혔다. 통녓 지역의 흥락메디컬스테이션은 1만7000명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의료진이 8명에 불과하다. 또한 이 병원에서 20년 넘게 근무한 한 의사는 월 수입이 344달러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의료 불균형 해소를 위한 정부의 노력=베트남 정부와 보건부는 지역별로 격차가 심한 의료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보건부는 2023년까지 인구 1만 명 당 8~9명의 의사를 확보하는 것을 목표하고 있다. 그러나 2021년 기준 지방마다 600명 이상의 의사가 부족하다. 베트남은 매년 10만~15만 명씩 인구가 증가하므로 인구 증가 속도와 인구 대비 의사 수의 비율을 맞추기 위해서는 매년 100명의 의사가 더 필요하다.
 
베트남 보건부 관계자는 KOTRA 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풀뿌리 의료 수준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면서 “특히 도서지역 공공의료 근로자의 임금 및 처우를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규정을 마련 중”이라고 밝혔다.
 
이 가운데 ‘프로젝트585’는 산간도서 지방에 근무하는 의사들이 지역 주민들에게 양질의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우선권을 주는 제도다. 그러나 익명을 요구한 업계 종사자에 따르면 공중 의료시설에 종사하는 근로자들은 격무와 저임금에 시달리며 당장 처우가 개선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앞으로도 공공 전문 의료진의 이탈은 계속될 전망이다.
 
◆해법은 민관협력(PPP) 투자=미국 상무부 국제무역관리청에 따르면 베트남 정부는 의료부문에 대한 PPP 투자를 장려하고 있다. PPP 모델을 통해 의료 인프라를 업그레이드하고 현대적인 의료장비를 구매하며 의료인력의 수준을 높이기 위한 재정 자원을 희망하고 있다. 또한 정부는 의료분야의 적극적인 민간 참여가 전체 의료분야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베트남에서 성장 가능성이 높은 의료분야는 의료기기다. 호찌민시 의료기기협회에 따르면 2017년 베트남은 영상 의료장비 구입에 11억 달러를 지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베트남 의료기기 시장은 2017년부터 2022년까지 연평균 9.6% 성장해 올해는 18억 달러 규모에 이를 전망이다.
 
건강 관련 하드웨어(HW) 및 소프트웨어(SW) 업체에게도 다양한 기회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보건부는 2019년 3월 1일부로 의료기관이 기존의 종이차트를 전자차트로 바꿔 기록하도록 했다. 아직 전자차트가 의무사항은 아니지만 모든 병원이 전자차트를 사용하는 시기가 올 것으로 예상된다. 대형 사립병원의 92.3%는 병원 관리 SW를 사용하고 있지만 공립병원에서는 아직도 수기로 차트를 기록하기 때문에 오진 및 오투약 사례가 많다. 베트남이 국가 차원에서 디지털 전환에 나서면서 보건의료 분야에도 이를 접목할 것으로 보여 향후 의료 관련 SW 및 인공지능(AI) 진단 프로그램 등의 성장이 기대된다.
 
◆한국의 베트남 의료시장 진출 및 원조=서울대병원 강남검진센터는 지난 5월 향후 5년간 베트남 빈그룹의 빈멕타임시티국제병원에 서울대병원이 지원하는 국제 표준의 종합 건강검진센터를 설립하는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서울대병원 강남검진센터는 빈멕국제병원에 전문 의료진을 파견해 검진센터 운영 노하우 및 현지 의료진 교육을 지원하게 된다. 또한 향후 중대 질환 예방의학 부문을 강화하고 환자 맞춤형 건강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기로 했다.
 
한편 한국 정부가 베트남의 헬스케어 분야에 원조한 금액은 2015년부터 2020년까지 1376만4290달러에 달한다. 프로젝트(1건), 개발 컨설팅(6건), 의료봉사단 파견 (204명), 연수생 초청(14건), 민관 협력사업(36건) 등을 통해 베트남의 보건의료 발전을 지원했다. 한국국제협력단(KOICA)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세부 지원 내역은 프로젝트 93만2815달러, 개발 컨설팅 218만6300달러, 봉사단 파견 411만6304달러, 민관 협력사업 605만4565달러였다.
 
이와 관련, KOTRA 하노이 무역관은 “베트남에서 공립 의료 종사자가 이탈하는 것은 저임금, 격무 등 고질적인 문제이기 때문에 하루아침에 해결하기가 불가능하다”면서 “베트남 정부와 보건부는 공공의료 지출 예산과 공공의료 종사자의 임금이 부족하다는 현실을 알고 있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 민간 의료 및 투자자를 통한 해결을 도모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국 의료분야 종사자 및 관련 기업이 베트남 정부의 민관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형태로 진출을 꾀할 수 있다는 뜻이다. 베트남 대형 병원에 의료기술 전수 및 산학 협력을 통해 진출할 수도 있다. 현지 의료기술의 디지털 전환 추세에 맞춰 의료 관련 SW도 유망하다.

세부 사항

베트남자산가치는 얼마?

 베트남의 2022년 국내총생산(GDP)은 8.02% 성장해 2011년 이후 가장 높은 실적을 기록했으며 이는 강력한 국내 소매판매와 수출로 인한 결과라고 통계청(GSO) 보고서는 밝혔다세계 경제 및 글로벌 불확실성과 도전 속에서 베트남의 2022년 경제 성과는 주목할 가치가 있다고도 덧붙였다.

 

통계청은 4분기 GDP 성장률이 5.92%로 3분기 13.71%에서 둔화했다고 밝혔다. 2022년 수출은 10.6% 증가한 37185000만 달러소비자 판매는 19.8% 증가했다고 GSO는 밝혔다베트남의 2022년 1인당 GDP는 약 4110달러에 달했으며 2021년보다 393달러가 증가했다.

 

통계청장은 2023년의 경제성장률은 2022년에 달성한 8.02%보다 낮은 6.5%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국내외의 불확실성 속에서 신규 주문이 2023년 1분기 말이나 2분기 말까지 감소하여 많은 근로자가 일자리를 잃을 수 있다고 말했다.

 

리크루트 업체의 2022년 4분기 자료에 따르면 코로나 전염병이 시작되기 전인 2019년과 비교하여 근로자 채용 수요가 25% 적다고 말했다특히 섬유의류가죽신발 및 건설 업종이 50%를 웃돌며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다고 밝혔다.

 

일자리 부족의 원인으로는 수출수요 감소연료·원자재 가격 급등베트남 통화의 달러 대비 평가 절하글로벌 지정학적 불안정이라고 말했다. 4분기 산업생산지수(IIP)는 3% 증가에 그쳐 1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노동보훈사회부 차관은 2023년 노동시장이 더 많은 어려움을 예상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베트남 공식 언론이 발표한 2022년 10대 경제 이벤트로는 경제성장 이외에 2022년 부동산 시장이 10년 만의 최저 유동성으로 아파트 분양가격이 최대 40% 하락했음에도 2023년에는 추가로 가격이 하락할 가능성이 있다고 예상했다.

 

또한주가지수 VN-Index는 최근 2년 중 최저치인 911p로 하락하며 등락을 거듭하여 부동산과 함께 재산 형성에서 큰 손실을 보고 있다고 말했다따라서 신용구매(leverage)를 자제하고 안정적인 투자를 권한다고 조언했다.

 

베트남 경제의 중심축인 수출은 지속적인 증가와 함께 7년 연속 무역흑자를 유지해 110억 달러에 육박했다이는 국제수지외화보유고 개선환율 및 기타 경제의 거시경제 지표 안정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무역흑자 중에서 약 100억 달러는 농업 부문에서 기록했다.

 

베트남 3대 경제 축의 하나인 내수경제에서 대폭 활성화된 소비자 판매와 함께 큰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관광분야는 국내 항공시장이 가장 빠른 25개 국가 중에서 1위를 차지했다국내 항공승객은 4350만 명으로 추정되며 전년 대비 3.7배 증가했지만코로나 전염병 발병 이전 2019년 대비 30% 감소했다.

 

매출액 기여도가 3배 이상 높은 해외 여행자는 목표 500만 명을 달성하지 못했으나 366만 명 이상으로 전년 대비 23.3배 증가했다. 2023년 해외 관광객 유치 목표는 800만 명이다. 2022년 관광 매출은 연간 목표 대비 23% 증가한 495조 동으로 추정되며 2019년 대유행 이전 수준의 66%에 해당한다.

 

제조 및 건설의 자재로 사용되는 철강산업에서는 2022년 3분기까지 3대 상장 철강회사의 매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5%, 이전 분기 대비 18% 감소했다철강 수요 부진으로 인해 생산량과 판매 가격이 모두 감소했다그러나 투입재료의 가격이 하락하면서 철강회사들의 이익은 회복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베트남 2023년 경제는 글로벌 불확실성으로 수출의 수요감소로 인해 성장이 둔화하면서 경기불황이 2분기까지 계속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금리 상승세가 하락세로 변화될 3분기부터 점진적으로 성장 추진력을 회복할 것으로 예상한다.

 

베트남 증권사의 2023년 소비자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대유행 기간 억눌린 소비 추세는 2022년에는 소비를 늘리는 추세였으나 금리상승과 베트남 동 약세로 인해 소비자들이 지갑을 다시 졸라매는 상황에 있다고 보고했다.

 

특히부동산 및 주식시장에서 미실현 자산 가치가 상승세에서 하락으로 전환되며 소비패턴의 변화를 가리키는 심리적 현상인 부의 효과(wealth effect)’도 퇴색하고 있다고 보고서는 전했다주요 소비계층인 젊은 중산층의 소비가 위축되고 있다.

 

자산 가치가 축소하는 변화가 급격하게 조정되면서 이에 대응하는 소비자의 구매력이 떨어질 것으로 예측되며 경기침체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유통업체들이 시장의 신호를 걱정하며 사업 확장을 늦추거나 미루고 있다또한가성비가 낮은 상품의 재고가 늘어나며 유통업체는 추가 납품을 축소하거나 보류하고 있다.


 

세부 사항

활성화된베트남 유통시장

 베트남 총리가 주재하는 제5차 베트남 경제포럼에서 중앙경제위원회 위원장은 치명적인 코로나19 대유행의 타격으로부터 강하게 회복하고 있으며 2022년 경제는 8.0% 이상의 성장률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발표했다.

 
물가 상승도 꺾이는 추세다. 아시아개발은행(ADB)은 새로 발표된 아시아개발전망(ADO) 2022에서 베트남 인플레이션 전망을 9월 3.8%에서 3.5%로 하향 조정했다고 밝혔다.
 
2022년 1월부터 11월 동안 수출이 전년 대비 13.4% 증가하고 106억 달러의 무역흑자를 기록했다. 또한 같은 기간 외국인직접투자(FDI)는 15.1%, 산업생산은 8.6%, 상품 및 서비스의 소매 판매는 17.5% 증가했다.
 
베트남의 의류 수출은 부정적인 글로벌 경제 요인에도 불구하고 2022년 9% 증가한 43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은 180억 달러로 최대 수출국으로 예상되며, 한국이 42억 달러, 일본과 중국이 거의 40억 달러로 그 뒤를 이었다.
 
베트남 경제성장 3대 중심축은 수출, 외국인직접투자(FDI) 및 내수소비에 있다. 수출은 상반기에 높은 수출 증가세를 보였으나 하반기에는 세계의 복잡한 경제 변화로 주요 수출시장인 미국 및 EU에서 수요가 감소하여 수출 증가율이 둔화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추세는 2023년에도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소비자 상품 및 서비스의 소매 판매가 2022년 11개월 동안 대폭 활성화되고 있다. HSBC 은행의 보고서에 따르면, 외부 요인 약화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내수 수요로 인해 향후에도 국내 소매업은 활성화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베트남 항공사들이 음력 설날(Tết)을 맞아 항공편 증편을 서두르고 있다. 특히 승객들은 예년보다 일찍 출발하는 항공권을 예매하는 경향이 있다. 코로나19로 인해 2년여 동안 고향으로 돌아가지 못한 사람들이 많아 조기 예매를 계획했고 일부 노선에서 이코노미는 매진되고 비즈니스 좌석만 남았다고 관계자는 전했다.
 
베트남항공 관계자는 음력 설 연휴 성수기 국내선 예약 건수가 코로나19 대유행 이전 2019년 같은 기간에 비해 약 15% 증가했다고 말했다. 저가항공 비엣젯(Vietjet Air)은 항공편 수를 30% 증가한 60만개 이상 늘려 260만개 예약을 진행 중이다.
 
현지 자동차 전문가에 따르면 지금은 일반적으로 자동차 판매에 긍정적인 시기이지만, 2022년 국내 자동차 시장은 음력 설 연휴가 다가오는 가운데 우울한 날을 맞이하고 있다. 부진한 판매는 신용시장 긴축, 높은 이자율 및 정체된 부동산 및 주식 시장의 지수 하락에 기인한다.
 
DKRA 베트남에 따르면 호치민시와 인근 지방에서 판매량이 89% 급감한 것은 정부가 물가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신용 조건을 강화하여 주택 구입 대출을 받기 어렵게 만든 것이 주요 원인이다. 판매는 부진하면서 회사채 발행을 늘리는 개발회사를 소비자들이 신뢰하지 못해 아파트 구매를 관망하고 있는 것도 이유다.
 
베트남 주식시장은 최고 1520p의 정점에서 달러 강세 및 글로벌 불확실성에 따라 911p까지 후퇴했으나 외국인 투자자들이 3주 연속 순매수하면서 베트남 벤치마크 VN-Index는 1030p에서 횡보를 거듭하고 있다.
 
호치민시로 유입되는 송금액은 세계의 복잡한 경제 변화에도 불구하고 계속 증가하여 2022년에도 68억 달러에 이른다. 2021년 유입된 송금액은 약 66억 달러이며 2021년 베트남 전체에서 약 125억 달러를 송금 받았다.
 
세계은행(World Bank) 그룹의 계열사 국제금융공사(IFC)는 베트남 편의점 체인 GS25에 4600억 동(약 2000만 달러)을 투입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 체인의 전체 확장 계획에는 건설, 장비, 도구, 공급품 및 매장 임대 보증금 비용을 포함하여 총 1조5600억 동(약 4600만 달러)가 소요될 예정이다.
 
베트남의 주요 교통수단은 오토바이다. 자동차에 비해 쇼핑한 상품의 적재량이 적으며 소량으로 자택 주변에서 자주 구매하는 소비자 특성이 있다. 또한, 도시지역에서 대형 마트의 신설이 기존 상권의 영향으로 용이하지 않지만 편의점은 승인을 별도로 받을 필요가 없으며 마트와 가격 차가 크지 않아 최근 활성화 추세다.
 
한국계 GS25 편의점은 매장 공간이 약 150제곱미터 규모다. 1층은 매장이며 2층은 시원한 에어컨과 와이파이를 갖춘 휴게실이다. 신선한 식품과 신선한 식료품은 물론 바로 먹을 수 있는 제품과 즉석 조리가 가능한 제품을 제공한다. 2017년 출시된 체인은 점포수가 200개를 넘어섰으며 한국산 제품이 많다.
 
편의점은 회사가 많이 밀집한 도심지역을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다. 직장인이 출근시간 간단한 아침식사를 해결하는 것은 물론 점심시간에는 깨끗한 편의시설에서 식사 후 남은 시간으로 여가를 즐기려고 모이는 등 소비가 확대되고 있다.
 


젊은 중산층은 상품 선택 기준이 건강과 안전이며 편리한 라이프 스타일에 대해 관심이 많다. 합리적 사고를 바탕으로 핀테크 이용, 포인트 적립에서부터 저렴하게 상품을 구매하는 방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마케팅을 즐긴다. 이러한 이용계층에게는 구매한 상품에 대해 매니아가 되도록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세부 사항

경기침체화 베트남

 베트남 통계청은 올해 1~11월 누적 106억 달러의 무역흑자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11개월간 수출액은 전년 대비 13.4% 증가한 3422억 달러수입액은 10.1% 증가한 3316억 달러로 추정된다.

 

35개의 상품이 10억 달러 이상의 수출액을 보고했으며 이는 전체 수출의 93.7%. 8개가 100억 달러를 초과하여 전체의 70.1%를 차지했다미국은 이 기간 베트남의 최대 수출대상국으로 수출액은 1015억 달러로 추정된다.

 

베트남은 11개월 동안 251억 달러의 외국인직접투자(FDI)를 받아 전월 대비 0.5% 증가했지만 전년 동기 대비 5% 감소했다고 외국인투자청(FIA)이 밝혔다. 2022년 초 엄격한 코로나19 예방 조치와 글로벌 불확실성이 감소 요인이라고 밝혔다.

 

지정학적 갈등인플레이션 압력공급망 붕괴를 포함한 글로벌 불확실성은 특히 베트남과 같은 수출 중심 국가의 자본 흐름을 어렵게 함으로써 상황을 악화시켰다그러나 이 기간 이미 진행 중인 프로젝트에서 자본이 전년 동기 대비 23.3% 증가한 954000만 달러 추가 증가한 것은 고무적인 사항이다.

 

삼성전기는 92000만 달러와 26700만 달러 규모로 두 차례 자본확충을 했다. Samsung HCMC CE는 84100만 달러기타 3개 성시에서 전자 및 멀티미디어 장치를 제조하는 3개의 프로젝트에서 69300만 달러 자본이 조정 증가했다.

 

최근 언론에 게재된 기사에 따르면 베트남 경제를 계속 활기차게 유지하고 성장을 긍정적으로 만드는 3가지 요소는 인프라 투자무역환경 개선 및 경쟁력 있는 임금이라고 보도했다.

 

베트남은 GDP의 약 6%를 인프라에 지출했으며 이는 ASEAN 지역에서 가장 높은 수준이다. 1800km에 달하는 호치민-하노이 남북고속도로호치민 탄손낫 공항의 용량 초과를 대체할 롱딴 신국제공항하노이 및 호치민시의 지하철 프로젝트 같은 대형 프로젝트는 경제발전의 초석이다.

 

베트남은 무역환경 개선에 적극적으로 나서 전 세계 국가들과 무역협정 체결을 통해 무역 영역을 넓혀 가고 있다이러한 협정에서 보장된 제품 품질제조의 표준은 베트남이 제조 중심이 되고 수출 기반을 확장할 수 있도록 한다.

 

베트남의 가장 큰 장점 중 하나는 경쟁력 있는 임금이다젊고 역동적인 인력으로 상대적으로 낮은 비용으로 제공된다베트남 대학 졸업생의 40% 이상이 과학 및 공학을 전공한다경제가 성장함에 따라 임금 상승이 예상됨에 따라 인플레이션임금 수준 및 생산성 향상 간의 균형을 유지하고 있다.

 

세계적인 지정학적 긴장이 계속되는 동안에도 베트남의 경제전망은 유망하다고 보도되고 있다베트남에 진출하는 경우 단기적으로는 비용이 증가할 가능성이 크지만 장기적으로 비즈니스를 하는 투자자는 큰 보상을 얻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기획투자부(MPI) 산하 기업등록청에 따르면 베트남은 2022년 들어 11개월 동안 약 194700개의 기업이 사업을 새로 시작하거나 재개했으며이는 2021년 동기 대비 33.2% 증가한 수치로, 2017년 1~11월 평균 비율보다 1.3배 높은 실적이다.

 

내수의 축인 관광산업에서 내국인 여행은 코로나19 전염병의 어려움 속에서도 꾸준하게 증가하여 2022년 10개월 동안 국내 관광객 수는 9180만 명에 달해 2019년 전체 실적을 넘어섰으며 성장 추진력을 되찾았다고 보인다.

 

지출액이 내국인보다 3배 이상 높은 외국인 관광객은 입국이 부진해 관광수입이 저조하다글로벌 인플레이션과 달러 강세가 주요 요인이다또한새로운 일상의 맥락에서 여행에 대한 소비자의 니즈와 소비습관이 많이 바뀌었다.

 

글로벌 경기침체로 베트남의 주요 수출시장인 미국과 유럽에서 재고가 증가하고 소비자의 구매력도 감소하고 있다. 3분기부터 주문이 감소해 57만 명의 근로자가 근무시간을 단축했고 정리해고가 증가하고 있다가장 큰 영향을 받는 산업은 목재 가공섬유신발전자제품식품서비스 및 관광업이다.

 

근로자들은 코로나19가 발생했을 때보다 지금 상황이 더 어렵다고 호소하고 있다영향은 더 악화될 것으로 전망되며 많은 기업에서 근로자들의 고용을 유지하기 위해 이익이 없더라도 낮은 가격의 주문을 받아들일 용의가 있다고 말하고 있다.

 

베트남 섬유의류협회(VITAS)에 따르면 전년도 보다 매출이 17.2% 증가하여 2022년의 의류 수출 목표 430억 달러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줄어드는 이익을 극복하기 위해 업계는 친환경 시설을 통해 에너지 소비를 15%, 물 소비를 20% 줄일 계획이다또한수출시장 다각화에도 힘쓰고 있다.

 


이러한 글로벌 경기침체는 높은 인플레이션에서 벗어나고 유동성에서 여유가 생기는 2023년 하반기까지는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경기침체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경비를 줄이며 원가절감에 충실해야 한다불확실성 속에서 우발적인 위험요소가 없는지 리스크 점검과 관리에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

세부 사항

체식문화활성화된베트남

 최근 베트남 대도시 하노이와 호찌민시를 중심으로 베지테리언이나 비건 식당이 크게 늘어나고 비욘드미트, 내추럴리 등 프리미엄 비건 식품이 인기를 끌고 있다. 문화적, 종교적 요인에 더해 건강 인식 제고, 동물 보호 등을 바탕으로 갈수록 다양해지고 있는 베트남의 채식문화를 알아보자.

 
○불교의 영향을 받은 채식=베트남 불교에 따르면 현지 불교신자는 두 가지 채식방식을 따른다. 
 
첫째는 ‘짜이쯔엉’으로, 자발적으로 평생 채식을 하면서 살생한 음식을 금하는 것이다. 
 
둘째 ‘짜이끼’는 특정 달이나 해에 채식을 하는 것으로, 매월 1일과 15일에 채식을 하는 ‘니짜이’가 대표적이다. 
 
이밖에 ‘뜨짜이’, ‘룩짜이’ 등 주기적으로 채식하는 관습이 전해져 오고 있다. 
 
‘까오다이교’나 ‘호아하오교’처럼 불교 이념을 공유하는 현지 종교가 있는데, 이들도 비슷한 방식의 채식을 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생각보다 많은 채식인구=2019년 베트남 인구 총 주택 조사에 따르면 종교인은 1320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13.7%였는데, 이 중 천주교 신자가 590만 명으로 44.9%, 불교 신자가 460만 명, 35%였다.
 
이 가운데 불교신자의 경우 모두 채식을 하는 것은 아니므로 종교적인 이유로 채식하는 인구는 신자 수보다 적을 가능성이 높다. 다만 민간신앙, 건강 또는 동물 보호 차원에서 자발적으로 채식을 하는 인구를 포함한다면 채식 인구는 상당할 것으로 보인다.
 
KOTRA 무역관이 인터뷰한 현지 채식 칼럼니스트 겸 요리 연구가 듀칸 응우옌에 따르면 2021년 기준 베트남의 채식 인구는 전체 인구의 10%에 해당하는 960만 명으로 추산된다. 
 
또한 건강을 이유로 채식하는 인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어 채식 시장의 전망을 높게 평가했다. 
 
구글 트렌드에 따르면 베트남에서 ‘채식’을 검색한 비율은 2004~10년까지 월 평균 15.1건에 그친 반면 2011~22년에는 48.2건으로 크게 증가했다. 베트남인들의 채식 관심도가 이전에 비해 점차 상승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늘어나는 채식 전문점=공식 통계자료로는 확인이 어렵지만 베트남 최대 음식 리뷰 플랫폼 푸디에 따르면 하노이 204개, 호찌민 1250개의 채식 전문점이 각각 운영되고 있다. 
 
채식 전문점이 아니더라도 베지테리언이나 비건을 위해 별도의 메뉴를 갖춘 있는 식당도 있어 실제 숫자는 더 많을 것으로 추산된다.
 
2018년 KOTRA 무역관이 작성한 ‘베트남을 이해하는 키워드, 채식’에 따르면 푸디에 등록된 채식 전문점이 하노이와 호찌민에 각각 205개와 923개였는데, 하노이는 큰 변화가 없는 반면 호찌민은 1251개로 4년 새 35.4%가 증가했다.
 
○유통 중인 베지테리언 및 비건 식품=인구 밀집 지역과 상대적으로 1인 평균 소득이 높은 하노이, 호찌민 등 대도시를 중심으로 베지테리언 및 비건 식품이 다양하게 유통되고 있다. 
 
현지에서 제조, 생산된 비교적 저렴한 식품부터 헤르타(프랑스), 비욘드미트(독일), 내추럴리(덴마크) 등 프리미엄 브랜드도 인기다.
 
대부분의 제품은 콩이나 곡류를 활용한 대체육이고 어묵 등 생선 가공식품 또한 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현지에서 생산된 제품은 비교적 저렴한 6만~15만 동(2.6~6.5달러)에 판매되는 반면, 수입 브랜드는 18만~63만 동(7.7~27달러)의 비싼 가격에 유통되고 있다.
 
○우리 기업 시사점=베트남은 종교적 문화와 건강 인식의 제고, 동물 보호 등으로 채식 인구가 증가하는 것은 맞지만 채식용 식품 소비시장과 전문점은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편이다. 
 
채소, 콩, 두부 등의 재료를 비교적 저렴한 가격에 구입할 수 있다 보니 대체식품을 찾기보다 가정에서 조리해 먹는 경향이 강하다. 
 
현지 직장인의 한 끼 식사비용은 4만~8만 동(1.71~3.42달러)으로 알려져 있는데, 수입 대체식품의 경우 판매가격이 비싸 일반 소비자가 쉽게 접근하기에는 어려운 점이 있다.
 


KOTRA 무역관은 “경제 발전에 따른 1인 평균 소득 증가와 전통적인 채식 문화를 기반한 베지테리언, 비건이 젊은 층 사이에서 또 하나의 트렌드로 자리 잡아가고 있는 만큼 가격 경쟁력과 맛을 두루 갖춘다면 베트남 채식 시장은 충분히 매력적”이라고 평가했다.

세부 사항

위조산업천국베트남

 베트남 산업무역부에 따르면 2021년 현지에서 발생한 위조상품, 모조품, 출처 불분명 상품, 원산지 위조 사건은 4만1375건이고 이에 대한 벌금으로 약 1800만 달러가 징수됐다. 위조 형태가 더욱 발전하고 정교해지면서 시장 관리 및 밀수 방지가 시급한 현지 상황을 정리했다.

 
▶다양한 위조형태와 불법 유통=위조상품과 모조품은 가장 많은 상표권 침해행위가 이뤄지는 위조형태다. 상표권자의 동의 없이 상표를 도용해 사용하는 사례가 빈번하며 상표뿐만 아니라 기존 상품을 모방한 위조상품 제작 및 유통까지 이뤄지고 있다. 지식재산권자의 허가 없이 상표를 사용할 경우 베트남 지식재산법에 따라 130~215달러(300만~500만 동)의 벌금이 부과된다.
 
그런가 하면 베트남은 화장품, 전자기기, 가전제품 등 외국 기업 의존도가 높아 그만큼 외국계 상품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이에 따라 베트남에서 인기를 끄는 상품을 중심으로 짝퉁 제품이 빈번하게 유통되고 있다.
 
작년에는 한국산으로 가장한 배가 시장에 등장했는데, 이 상품들은 한국 제품임을 증명할 수 있는 증빙자료가 없었다. 또한 시장과 수입 과일가게에서 판매되는 한국산 배의 가격은 kg당 11~15달러(27만~35만 동)였지만 가짜 배는 사회공유망서비스(SNS)에서 3.9~4.3달러(9만~10만 동)에 판매됐다.
 
베트남의 소비자권리보호법에 따라 소비자에게 제품 및 서비스 관련 정보를 숨기거나 잘못된 정보를 제공할 경우 430~860달러(1000만~2000만 동)의 벌금이 부과된다.
 
불법 유통 제품은 베트남 오프라인 상점에서 자주 발견되는데, 정식 수입절차를 거치지 않고 밀수입해 판매하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현지 법률에 따라 라벨 미부착 시 상품 가치별로 최대 1억 동까지 벌금이 부과된다.
 
▶가짜 상품의 유통채널 다양화=최근 베트남 위조상품 시장의 가장 큰 변화는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의 전환이다. 현지 컨설팅 업체 케피오스에 따르면 올해 1월 기준 베트남의 인터넷 사용자는 7200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73.2%에 달한다. 
 
또한 구글-테마섹-베인앤컴퍼니가 공동으로 발표한 ‘2021년 동남아시아 전자상거래 시장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베트남의 전자상거래 시장 규모는 130억 달러로 동남아 4위였지만 2025년에는 390억 달러로 말레이시아 다음을 차지할 전망이다.
 
베트남의 인터넷 보급률 제고와 전자상거래 급성장은 유통망의 온라인화를 촉진하고 있다. 이와 동시에 위조상품 유통채널 또한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이동하고 있으며 그 범위를 넓혀가고 있다. 
 
쇼피, 라자다, 파도 등 주요 전자상거래 사이트를 통해 화장품, 소비재 등 다양한 위조상품이 온라인에서 버젓이 팔리고 있다. 그러나 그 숫자가 방대하고 처벌 강도가 낮아 법적 조치를 취하더라도 반복적으로 피해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쏟아지는 한국 위조상품=우리나라 문화체육관광부 해외문화홍보원이 2021년 1월 발표한 ‘2021년 국가 이미지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국가별 이미지 평가에서 베트남은 95%의 긍정 평가를 얻어 조사 대상국 중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그러나 베트남의 한국에 대한 이미지와 상품에 대한 신뢰가 높아질수록 한류의 인기를 등에 업고 판매되는 위조상품과 한류 편향 제품 또한 증가하고 있다.
 
먼저 소비재, 화장품, 식품, 의료품, 건강기능식품 등 다양한 위조상품들이 베트남에서 유통되고 있다. 특히 코로나19 기간 수요가 급증했던 마스크의 경우 한국 식약처 인증인 ‘KF’라는 문구가 쓰인 마스크를 인터넷으로 판매하는 베트남 업체들이 많았지만 이 업체들은 ‘KF 인증기업’으로 검색이 불가능했다.
 
마스크와 더불어 코로나19로 베트남 국민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면서 건강기능식품 수요도 함께 늘어났지만 이 역시 위조상품의 피해로부터 자유롭지 못했다. 광동제약의 ‘우황청심원’의 경우 유사제품 중 유일하게 베트남 내 합법 유통이 승인된 한국 기업 제품이지만 현지에서는 이를 모방한 제품들이 다수 유통되고 있다. 
 
위조상품에 의한 피해를 막고자 위조 방지 스티커 등 다양한 구별법들이 인터넷으로 소개되고 있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이런 방법의 공개가 더욱 정교한 위조품을 만들게 하고 있다. 그런가 하면 최근 이슈가 됐던 ‘무무소’를 필두로 소비재, 가전제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한류에 편승한 저질 제품들이 여전히 유통되면서 한국 기업들의 직간접 피해가 끊이지 않고 있다.
 
베트남 내 우리 기업의 피해는 일반 상품뿐만 아니라 초상권, 저작권 등 문화 콘텐츠로 확대되고 있다. 특히 베트남에서는 BTS, 블랙핑크 등 유명 K-팝 아이돌들의 초상권 보호가 온전히 이뤄지지 않고 있으며 이들의 비공식 굿즈가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전자상거래 사이트 등을 통해 무분별하게 판매되고 있다.
 
한국 드라마, 웹툰 등 콘텐츠를 불법 번역 및 유포하는 사례도 끊이지 않고 있다. 현지 문화 콘텐츠 관련 기업 관계자에 따르면 불법 유포자 사이트에 경고장을 보내면 잠시 없어지는 듯하다가 이내 유포 활동을 재개하고 그 숫자 또한 많아 단속이 힘들다. 무엇보다 베트남 국민들 사이에 저작권이나 초상권에 대한 인식이 확립되지 않아 베트남 내 문화 콘텐츠 비즈니스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우리 기업 시사점=베트남의 위조상품 유통채널이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옮겨감에 따라 유통되는 위조상품의 수가 더욱 많아지고 방법 또한 갈수록 정교해지고 있다. 그럼에도 피해 기업들이 진품과 가품에 대한 식별 방법을 공개하는 등 직접적인 행동에 나서기 힘든 이유는 식별 방법이 공개되면 더욱 정교한 모조품이 등장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위조상품 적발 시 진품 가치에 따라 430~1288달러(1000만~3000만 동)의 벌금이 부과되는데, 벌금이 세지 않아 비슷한 피해사례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한류 편향 상품의 경우 베트남 현지뿐만 아니라 중국 등 다양한 국가에서 수입되는데, 베트남 세관이 검열을 진행하지만 언어적 한계 때문에 한국어로 된 상품들에 대한 완벽한 검사나 원산지를 파악해 처벌하기 힘든 실정이다.
 
베트남에서 지적재산권 업무를 전문으로 하는 최영진 변호사는 “과거에는 베트남의 지재권에 대한 인식 및 보호 수준이 낮은 편이었지만 최근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등 여러 국제 협약에 가입한 것을 계기로 법 개정 등을 통해 보호를 강화하는 추세”라며 “지재권 침해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면서 침해유형에 따라 적절한 해결책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침해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도 중요하지만 베트남은 상표권에 대해 선출원주의를 취하는 만큼 선제적인 대응은 적시에 상표권을 등록하는 것이다. 한국에서 이미 저명한 상표이고 상표권이 등록돼 있다고 하더라도 베트남에서 보호받기 위해서는 현지에서 별도로 상표권부터 등록해야 한다. 그러나 이 또한 방대한 양의 위조상품과 다양한 침해사례에 완벽하게 대처하는 데는 한계가 있는 만큼 현지 당국과 한국 기업 간 긴밀한 협조가 있어야 한다.
 


한편, KOTRA 호치민 무역관 IP-데스크는 한국 업체들의 피해를 막고자 조만간 위조상품 식별회를 개최할 예정인데, 이를 통해 우리 기업의 피해사례 및 침해 업체 리스트 등을 공유해 베트남 관계 당국의 직접적인 조사 촉구를 요청할 예정이다.(관련 문의 : hcmipdesk@gmail.com)

세부 사항

소메시장활성화된베트남

 HSBC 은행은 베트남의 2022년 경제성장률 전망을 7.6%로 상향 조정했다이는 글로벌 인플레이션에도 불구하고 베트남은 광범위한 내수 회복과 제조업에서의 여건 및 건전성이 개선되며 수출의 증가가 예상되기 때문이다.

 

수출 지향적인 여건에서 저렴한 노동력을 보유한 베트남으로 제조공장 이전이 가속하면서 외국인직접투자(FDI)도 늘어나고 있다최근 레고(LEGO)는 공장 건설에 10억 달러를 투자했고 애플(Apple) 공급업체 페가트론(Pegatron)은 10억 달러를 투자할 계획이며 폭스콘(Foxconn)은 제조시설 개선에 3억 달러를 투자했다.

 

베트남 관세청에 따르면 2022년 3분기까지 누적수출액은 17.2% 증가해 28235000만 달러를 기록했고 수입은 12.8% 증가한 27558000만 달러이며 무역흑자는 676000만 달러다.

 

최근 미 연준 금리 인상과 글로벌 인플레이션 심화의 영향으로 수요가 감소하며 핵심 수출품목에서 부진한 실적을 보이고 있다. 9월 중 수출에서 가장 큰 영향을 받은 의류와 섬유는 272000만 달러로 전월 대비 31.9% 감소했다.

 

목제품의 경우 전월 대비 21% 감소한 11억 1000만 달러철강은 6.2% 감소한 42900만 달러휴대전화와 부품은 18.1% 감소한 50억 달러기계장비 수출은 7.7% 감소하여 415000만 달러를 기록했다베트남 9월 전체 수출액은 8월보다 14.6% 감소해 2982000만 달러다.

 

베트남은 최근 부가가치가 높은 분야에 대한 투자를 늘리고 있다호치민시 사이공 하이테크파크(SHTP)는 반도체 칩 설계센터를 출범했다글로벌 전자설계 자동화 솔루션 제공업체인 시놉시스(Synopsys)외 협력을 통해 인프라를 구축했다.

 

기술 대기업 FPT는 베트남에서 설계하고 한국에서 생산한 사물인터넷 반도체 칩 첫 번째 라인을 8월에 출시했다고 밝혔다이 칩은 의료기기에 사용될 것이며 통신자동차 기술 및 에너지를 포함한 다양한 칩을 생산하여 2025년까지 2500만 개를 전 세계적으로 판매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다낭시 하이테크산업단지공사(DHPIZA)는 최근 줄기세포 연구저장센터의 투자를 승인했다골수 및 탯줄 줄기세포 연구의료·생명공학 기술개발줄기세포 치료제 연구 및 세포 및 분자생물학 인력 양성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베트남 GDP 성장률은 3분기 13.67%, 2022년 3분기 누적 8.83%로 최근 11년 중에서 최고의 실적을 기록했다제조업은 10.69%, 소매 및 서비스는 21% 성장했다신규 및 재개장 사업체는 163300개로 38.6% 증가했다.

 

외식업의 활성화에 이어 소매산업에서도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대형 주력매장(flagship stores)이 대도시에서 활발한 활동을 보이고 있다일본계 글로벌 의류 소매업체 유니클로는 호치민 시내 사이공 센터에 새로운 매장을 개점하며 11개 매장을 보유하게 됐다.

 

일본의 유명한 생활용품 회사 무인양품(MUJI)도 주력매장을 열었으며 차커피 및 일본 과자를 선택할 수 있는 커피 카운터와 같은 기능을 갖추고 있다베트남 브랜드 소매점들도 주력매장을 열고 있으며 매장의 크기는 300~2,000 m2규모다.

 

구매력이 높은 젊은 중산층 소비자들은 온라인에서도 소비가 늘어나고 있다. 2022년 베트남 전자상거래 백서에 따르면 2021년 베트남의 전체 온라인 소매 매출은 137억 달러로 2020년보다 16% 증가했다. 2022년에는 20% 증가한 164억 달러를 예상하고 있다.

 

온라인 거래 건수는 2017년 3360만 건에서 2021년 5460만 건으로 62% 증가했다베트남에서 인터넷 사용자의 약 58.2%가 매주 온라인으로 제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했으며이는 세계 평균 58.4%와 거의 비슷하다.

 

베트남에서 디지털 소비자는 58%가 온라인 뱅킹 솔루션전자지갑송금 app 및 디지털 뱅킹을 사용해 본 신기술 이용자들이다전체 소매에 대한 전자상거래의 평균 기여도 성장률은 15%로 인도의 10% 및 중국의 4%보다 높다.

 

젊은 중산층 소비자들은 온라인에서 가격 비교를 검색하고 오프라인 매장에서 품질을 직접 확인하는 꼼꼼하고 합리적인 소비를 즐긴다소비자의 경험은 반복 구매를 높이게 되며 지속 가능한 마케팅의 원천이 된다소비자의 사용 후기는 새로운 고객을 창출하는 효과적인 방법이다.

 


베트남 소비자들이 이제 불황기에서 벗어나려 하고 있다회복 초기 단계에서는 중산층의 수요부터 증가하는 특성이 있으며 한류상품 고객은 대부분 중산층이다.

세부 사항

섬유산업불황베트남

 섬유, 의류, 가죽 및 신발은 베트남의 주요 수출산업으로, 세계 시장의 변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습니다. 

 
올해 들어 베트남은 섬유류의 미국 수출이 1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고 1~9월 수출액이 350억 달러를 달성하는 등 좋은 소식이 이어졌지만, 업계는 연일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베트남 남부에 진출한 우리나라 섬유 및 봉제 업체들도 갑작스러운 주문 감소와 불투명한 미래 때문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코로나19가 잠잠해지면서 반등했던 섬유류 수요가 글로벌 인플레이션의 압력으로 감소세로 돌아섰기 때문입니다.
 
베트남 섬유류의 주요 수출시장인 미국은 인플레이션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 물류난 및 재고 증가 등의 난관에 봉착하고 있습니다.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해 잇달아 금리를 올리면서 모기지 비용이 증가하자 미 소비자들의 지갑이 그만큼 얇아지고 있습니다. 
 
가스, 식음료 비용도 올라 쇼핑 지출을 줄이고 상품보다는 여행, 외식 등의 지출을 늘리고 있어 패션 브랜드의 재고가 쌓이는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베트남의 미국 의류 수출 대목인 11월 추수감사절, 12월 크리스마스와 연말 홀리데이 시즌을 포함한 가을/겨울 시즌 주문이 예년에 비해 30~40% 급감했다는 얘기도 들려옵니다.
 
코로나19 이전만 해도 미국의 대형 유통업체들은 판매시점주문(BOT) 시스템을 구축해 물류비용을 줄여 나갔지만 팬데믹 이후 공급망 교란으로 배송이 지연되면서 더 이상 시스템을 활용할 수 없게 되자 재고 관리에 난항을 겪고 있습니다. 
 
유통업체들이 지난해 상품이 부족해 어려움을 겪었던 기억과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감, 늘어난 운송기간, 글로벌 공급망 불안 등을 감안해 수입물량을 대폭 늘렸는데, 이제 이런 요인들이 재고 증가로 나타난 것입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에 따른 유가 상승으로 물류비가 폭등했고 물류 적체로 미 주요 항구의 하역작업 지연도 재고율 증가의 원인입니다. 
 
재고율이 높아지면서 신규 발주가 감소하는 가운데 지난해 베트남의 록다운으로 피해를 입은 미국 바이어들이 공급처를 인도네시아나 과테말라 등 중남미로 변경한 것도 베트남 주문 감소의 또 다른 요인이 되고 있습니다.
 
유럽의 경우에는 에너지 가격 상승으로 인한 인플레이션의 악영향이 확산하고 있습니다. 
 
영국 및 유로존의 경우 에너지 의존도가 높아 에너지 가격 상승에 따른 인플레이션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러-우 사태로 시작된 에너지 위기로 유로존의 에너지 가격은 올해 들어 40% 이상 올랐고 독일, 이탈리아, 스페인 등 주요 국가는 7~8%의 높은 인플레이션이 예상됩니다. 
 
유럽중앙은행(ECB)과 영란은행(BoE)이 공격적인 금리 인상을 시도할 경우 유럽 소비자들의 가격 민감도가 상승해 구매 수요는 더욱 감소할 수 있습니다.
 
현재 베트남에 진출한 섬유 및 봉제 분야 한국 기업들의 가동률은 30~40%에 머물고 있으며 대부분 주 4일 가동으로 축소 운영되는 상황이지만 가동률이 더 떨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베트남 섬유의류협회(VITAS)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의류 및 신발 수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30% 증가했지만 연말부터 내년 초까지는 주문량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 소식을 전한 KOTRA 호치민 무역관은 “베트남에 진출한 우리 기업들은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패키지, 원사, 직물, 봉제 생산에 우선순위를 두어야 하며 장기적인 관점에서 유럽 수출 확대를 위해 녹색 및 재활용 제품 개발에 힘써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세부 사항

관광산업번창하는베트남

 베트남 관광개발전략에 의하면 베트남은 2025년까지 3500만 명의 외국인 관광객과 12천만 명의 국내 관광객을 유치하여 외국인 관광은 연평균 12~14% 성장내수관광은 6~7% 성장을 목표로 한다관광산업은 200만 명의 직접 고용된 노동자를 포함하여 550~600만 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것이다.

 

관광청에 의하면 9월까지 베트남 관광산업이 3942000억 동의 매출을 창출했으며 코로나19 이전 2019년 같은 기간의 78%에 해당한다지출금액이 많은 외국인의 방문은 9개월 동안 180만 명이지만 성수기인 3분기 120만 명으로 바수기인 4분기를 감안하면 2022년 연간 목표 500만 명 달성은 어려워 보인다.

 

하노이관광청 통계에 따르면 약 1550명의 호텔리어가 영업을 중단하거나 다른 산업으로 전업하고 거의 21500명이 실직 상태가 된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체육관광부에 따르면 코로나19 대유행으로 관광업계 직원의 약 70~80%를 해고했고외국인 관광객에게 관광을 개방됐을 때 직원 부족이 심각한 상황이라고 보고했다.

 

최근 F&B 관리 플랫폼 iPOS 설문조사에 따르면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인해 많은 직원들이 레스토랑과 호텔에서 해고된 후에 이 부문의 매력이 떨어졌다고 말했다.

 

베트남은 산업화로 농촌지역에서 많은근로자들이 일자리를 찾기 위해 대도시의서비스업에 취업하는 대신 공장에 머물며 일하게 됐다고 덧붙였다.

 

F&B 직업에 대한 불확실성이 취업을 꺼리는 주요 원인이지만 다른 서비스업에 비해 낮은 급여도 근무를 기피하는 원인이다여러 가지 책임이 포함되어 있음에도 관광업이나 식당 같은 사업체에서는 직원에게 사회보험을 거의 지불하지 않거나 연간 1회 지급하는 인센티브인 13개월분 급여를 제공하지 않는다.

 

설문조사 결과는 젊은 근로자들에게 온라인 판매에 더 많이 연결되어 있고 배달원 같은 고임금 직업이 많이 늘어나고 있다고 밝혔다. F&B 부문이 직원을 위한 새로운 급여와 혜택 수준을 설정하고 생계를 유지할 만큼만 지불하는 것에서 탈피하여 경쟁력 있는 급여를 지불하는 것으로 전환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교육기관 관계자는 서비스업에 근무하는 직원의 고용을 장기간 유지하려면 단기적인 사고방식을 버리고 직원에게 장기적인 혜택을 제공해야 한다고 말했다기업은 직원들에게 구체적인 경력발전 과정을 제시하고 보너스와 혜택에 대해 투명해야 하며 소비자들에게 청구서를 통해 5%의 서비스 요금을 요구했으면 이 돈을 근로자의 혜택을 제공하는 데 사용한다고 말했다.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향후 5년간 베트남 관광개발 프로그램을 총리에게 제출했다.달러 강세가 지속되고 글로벌 물가상승이 진정되어 외국인 관광객의 방문이 증가하고 코로나19 영향으로부터 완전히 회복되는 시기는 2026년이라고 밝혔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3분기 GDP는 13.67% 급증해 2022년 9개월 동안 8.83% 성장했고 2011 ~ 2022년 기간 중 최고를 기록했다.제조업은 10.69%, 소매 및 서비스는 21% 성장했다베트남 산업의 근간은 제조업과 수출이며 내수산업으로 관광산업은 중요하며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9.2% 수준이다.

 

외국 기업인들은 지속적으로 베트남에 투자를 진행했다. 3분기까지 외국인직접투자(FDI)는 16.3% 증가한 154억 달러를 기록했다관계기관의 자료에 따르면 베트남의 무역은 호조를 보이며 2022년 수출액이 3680억 달러로 2021년보다 9.5% 증가하고 무역흑자를 달성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수출에 필요한 자재를 대부분 외국으로부터 수입에 의존하는 베트남에서는 글로벌 달러 강세로 인해 수출원가의 상승 요인이 발생한다베트남 중앙은행은 안정적으로 관리하는 환율로 4.7% 상승, 1달러당 24000 동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산업통상부가 발표한 정보에 따르면 수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전화컴퓨터전자 제품 및 예비 부품 수출로 8개월간 770억 달러 수출했다삼성전자의 첫 8개월 동안 수출액은 460억 달러에 달해 전년 동기 대비 12% 증가했다삼성전자는 베트남 전자 부문 수출의 60%를 담당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최근 발표한 자료에서 글로벌 금융 안정성 위험성이 증가하고 있다는 경고를 발표했다베트남을 포함한 신흥시장에서 주택시장이 특히 취약하다고 지적했다베트남 정부는 물가상승 억제와 부동산으로 자금 유동성 유입을 차단하는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소비 진작에 도움이 되는 관광산업의 환경은 더디게 개선되고 있으나 소매시장은 높은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불확실성과 물가상승으로 인해 구매력이 감소한 신흥시장 소비자를 배려한다면 가성비가 높은 신제품의 공급이 필요해 보인다.


 

세부 사항

Z세대가 열광하는 e스포츠 시장베트남

 베트남에서 유명 게임 스트리머는 Z세대를 겨냥하려는 기업이 브랜드 인지도 제고에 필요한 마케팅 및 광고 채널이다. 구글 등이 발간한 보고서를 토대로 베트남 게임 스트리밍 동향과 기업의 활용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전망 밝은 베트남 게임 시장=구글포게임즈가 2021년 발간한 ‘2021년을 넘어 : 게임산업은 어디로 향할 것인가?’ 보고서는 대양주를 포함한 아세안 대륙에서 모바일 기기로 게임하는 사람이 16억2000만 명에 이를 것으로 추산했다. 
 
구글포게임즈는 2021년 4~5월 한국, 중국, 일본, 대만, 베트남, 인도의 6개국, 18세 이상 65세 미만 남녀 게임 이용자 6388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중국, 일본, 한국은 전통적인 게임 선진국으로 분류하고 인도, 베트남, 대만은 성장 가능성이 높은 게임 개발도상국으로 간주했다.
 
한국, 대만, 일본 응답자들은 코로나19 유행 전후를 비교했을 때 ‘코로나19 유행 이후 게임의 중요도가 낮아졌다’고 응답했으나 베트남, 인도, 중국은 ‘코로나19 이후로 게임의 중요도가 높아졌다’고 답했다. 
 
특히 베트남의 경우 2020년 이전 응답자들의 게임 중요 지수는 7점 만점에 4.8점이었지만 2021년 이후에는 5.0점으로 상승했다. 
 
같은 기간 인도 역시 5.3점에서 5.6점으로 올랐다. 
 
따라서 베트남과 인도의 경우 게임 관련 산업의 성장 잠재력이 가장 크다고 볼 수 있다.
 
베트남의 게임 이용자들은 2020년 이후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주요 연령대는 18~35세다. 응답자 1062명 중 남성이 52%, 여성이 48%이며 평균 연령은 30.1세다. 
 
전체 응답자의 9%인 92명은 2020년 이후 신규 유입된 이용자이고 18%(193명)는 기존에 게임을 이용하고 잠시 쉬었다가 2020년 이후 다시 시작한 재이용자였으며 73%(777명)는 2020년 이전부터 게임을 줄곧 해온 이용자들이었다. 응답자들의 주당 게임 시간은 13.4시간이었다.
 
모바일 기기 게임 이용자는 2021년 전년 대비 12% 증가했으며 게임 콘솔 이용자는 21%, 컴퓨터는 8%, 클라우드는 29%가 각각 증가했다. 
 
실시간 게임 스트리밍 시청자는 31% 증가했으며 e스포츠 시청자는 32% 늘어 베트남은 신규 게임 이용자 유입, 게임 관련 기기 이용자 증가 면에서 코로나19 이전보다 우수한 성장세를 보였다.
 
◆베트남 게임 스트리밍과 e스포츠 생태계=베트남 게임 스트리밍 시장에는 크게 3개 구성요소가 있는데 콘텐츠 크리에이터, 게임 스트리머 그리고 게임 스트리밍 플랫폼이 그것이다. 
 
콘텐츠 크리에이터와 게임 스트리머는 게임 콘텐츠를 제작하며 라이브 스트리밍 플랫폼은 제작자와 스트리머가 만든 콘텐츠를 배포한다. 
 
유저 커뮤니티는 일반 게임 및 e스포츠 게임의 플레이어를 포함한 콘텐츠 크리에이터 운영 채널 및 게임 스트리밍 플랫폼의 주요 시청자를 수혈하는 역할을 한다.
 
가장 인기 있는 스트리밍 플랫폼은 기존의 소셜 미디어 서비스에서 파생된 게임 스트리밍 플랫폼과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의 게임 스트리밍 플랫폼 등 두 가지다. 
 
중국에 모기업을 둔 세계 최대 게임 스트리밍 플랫폼 니모TV와 싱가포르에 모기업을 두고 동남아시아에 유명 게임을 배급하는 가레나가 만든 게임 스트리밍 앱 ‘부야’ 등 게이머를 위주로 한 게임 스트리밍 애플리케이션들은 라이브 스트리밍 게임 콘텐츠에 더 중점을 두고 스트리밍 전반에 걸쳐 시청자와 상호 작용한다.
 
반면 기존 사회공유망서비스(SNS) 사용자를 등에 업고 게이머를 끌어들이려는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틱톡 같은 플랫폼은 게임 관련 콘텐츠 크리에이터, 게임 스트리머와 시청자 간의 실시간 상호작용을 통해 게임 관련 소셜 미디어 채널 구독자 수를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소셜 미디어 채널을 기반으로 한 게임 크리에이터들은 채널 홍보를 위해 틱톡, 인스타그램 등에 올라가는 짧은 동영상이나 엔터테인먼트 콘텐츠 형태로 각 소셜 미디어에 맞는 콘텐츠를 제작해 올리면서 홍보와 소통을 시도한다.
 
◆베트남의 인기 게임 스트리머=도 믹시(푸옹 탄 도)는 유튜브 채널 구독자가 632만 명에 이르는 베트남에서 가장 유명한 게임 스트리머로 e스포츠 이용자들에게 연예인 같은 존재다. 
 
도 믹시는 거의 매일 ‘피파(FIFA) 온라인’, ‘리그오브레전드(LOL)’를 라이브 스트리밍하며 믹시게이밍이라는 e스포츠 회사의 운영 및 감독을 겸하고 있다. 
 
그의 페이스북 팬페이지의 팔로워는 510만 명이며 230만 명 규모의 페이스북 그룹 ‘믹시게이밍트라이브’도 보유하고 있다.
 
그런가 하면 바이러스(당 티엔 호앙)는 유튜브 구독자 474만 명의 전 프로 게이머이자 현 게임 캐스터다. 
 
그는 베트남의 유명 e스포츠 게임 구단 하노이드래곤, 싸이존 등에서 주장으로 활동하며 우승을 이끌었던 재능 있는 스타 게이머였다. 
 
현재는 게임 스트리머, LOL 전담 게임 캐스터 및 개인 싱어송라이터로 활동 중이며 프로 게이머로서의 활동은 중단했으나 여전히 베트남의 LOL 유저 커뮤니티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
 
퓨퓨(호앙 반 코아)는 ‘도타2’와 LOL의 프로 게이머이자 스트리머로 360만 명의 구독자를 자랑한다. 퓨퓨는 게임 관련 콘텐츠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을 소셜 미디어에 공유하며 큰 인기를 끌었고 다양한 엔터테인먼트 업체와 콜라보레이션을 하며 영향력 있는 게임 인플루언서로 성장했다.
 
린 응옥 담은 LOL 프로선수로 약 8년간 활동한 여성 프로 게이머다. 
 
미모와 실력으로 베트남 유명 게임 스트리머의 반열에 오른 유일한 여성 게이머로 최근에는 게임 관련 콘텐츠보다는 일상 및 여가 생활에 대한 내용을 주로 유튜브에 올리고 있으며 구독자 수는 269만 명, 인스타그램(@kinglnd) 팔로워는 약 460만 명이다. 
 
그는 프로 게이머에서 그치지 않고 패션 관련 인플루언서로도 활동 중이며 게임 캐스터가 되는 것이 목표다.
 
◆베트남 게임 스트리밍과 e스포츠 콘텐츠의 성장 동인=베트남의 대표적인 게임업체이자 게임 관련 컨설팅 업체 아포타는 2021년 말 기준 베트남의 약 9800만 명 인구 중 인터넷 사용자가 77%일 정도로 베트남의 인터넷 보급률이 높다고 밝혔다. 
 
또한 베트남 인터넷 사용자의 일 평균 인터넷 사용 시간은 6.5시간에 달한다.
 
전 세계 인터넷 보급률과 비교하면 베트남의 인터넷 보급률은 더욱 두드러진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스태티스타는 올해 4월 기준 전 세계 인터넷 보급률 평균은 63%, 동남아는 73%라고 발표했다. 그런데 베트남의 인터넷 보급률은 77%로 동남아 평균을 4%P 앞선다.
 
베트남은 인터넷 보급률뿐 아니라 스마트폰 보급률도 높다. 2021년 말 기준 베트남의 스마트폰 사용자는 전체 인구의 62.24%인 6100만 명이며 이들의 일 평균 스마트폰 및 모바일 기기 사용 시간은 5.1시간에 이른다. 
 
1990년대 중 후반부터 2010년대 초반에 출생한 베트남 Z세대의 90%는 소셜 미디어를 사용한다. 전문가들은 “높은 인터넷 및 모바일 기기 사용 인구를 바탕으로 베트남의 e스포츠 및 게임 분야의 장래가 밝다”고 전망했다.
 
◆온라인 게임과 e스포츠의 중심 Z세대=아포타는 2021년 기준 베트남에 약 1800만 명의 e스포츠 선수가 있다고 밝혔다. 
 
시장조사기업 베로와 마케팅 기업 디시젼랩이 공동으로 2021년 10월 베트남의 17~41세 남녀 e스포츠 팬 503명을 조사한 결과 e스포츠 스트리밍을 매일 보는 시청자가 전체 응답자의 45.5%로 가장 많았고 ‘주 2~3회’ 24.8%, ‘주 4~5회’ 16.5%, ‘주 1회’ 9.9%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80%는 ‘코로나19 이후 e스포츠 플랫폼 사용 시간이 증가했다’고 밝혔고 ‘안드로이드 모바일 기기에 다운로드한 앱의 64.7%가 게임 앱’이라고 답했다. 
 
또한 이들이 매일 게임 관련 라이브 스트리밍을 시청하는 시간은 무려 40만 시간에 달했다.
 
◆전천후 게임 콘텐츠 교환 시대의 도래=e스포츠 스트리밍 초기 단계에서는 스트리머와 시청자들이 게임 레벨을 올리는 법이나 게임 플레이 전략 등을 공유하는 것에 그쳤다. 
 
그러나 e스포츠 인구가 증가하고 콘텐츠가 다양화하면서 관련 시청자들은 다양한 오락적인 요소가 담긴 콘텐츠를 교환하고 창의적인 콘텐츠를 생산하고 있다. 
 
e스포츠를 스트리밍하는 크리에이터들은 실시간 플레이 중인 게임뿐만 아니라 연예인, 패션, 음악, 음식, 게임 관련 동향 및 뉴스 등 다양한 콘텐츠를 조합해 스트리밍을 한다. 
 
오락적인 요소가 추가되면서 e스포츠 팬들은 ‘스트리머와 실시간 소통을 위해’(50.2%), ‘게임 스킬업을 위해’(29.3%), ‘게임 크리에이터를 동경해서’(17.6%) 크리에이터를 팔로잉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Z세대를 겨냥한 기업들의 홍보전략=베트남 e스포츠와 게임 스트리밍 시장은 전통적인 마케팅 방법에서 점차 개선돼 Z세대를 타깃으로 하는 기업의 브랜드 홍보채널 역할을 하며 기업들은 게임 스트리머와의 다양한 협업을 통해 특정 고객에게 접근하고 있다.
 
기존에는 프로 e스포츠 경기에 참여하는 게임 구단이나 인기 선수 등을 바탕으로 기업이 게임 구단주가 되거나 스폰서가 되는 등의 전통적인 방식으로 e스포츠 게임 팬에게 브랜드를 홍보했다. 
 
e스포츠 토너먼트장의 대형 영상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 협찬과 게임 퍼블리셔와 협력해 특정 토너먼트의 주요 후원사가 되는 방법도 널리 쓰였다. 
 
수백만 명의 시청자를 보유한 LOL 등 유명 게임 토너먼트의 경우 광고 및 토너먼트 후원은 여전히 기업의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는 주요 플랫폼이다.
 
또 다른 전통적인 브랜드 홍보 방법은 일반인 게이머들이 참여하는 경품행사를 진행하는 것이다. 2020년 베트남의 제과업체 오이시는 베트남의 대표 게임 배급사 가레나와 협업을 진행했다. 
 
‘오이시4X’라는 한정 판매 과자에 가레나에서 배급하는 ‘아레나 오브 발러’ 게임에 적용할 수 있는 아이템 및 기프트카드를 동봉한 것이다. 
 
이를 통해 오이시는 e스포츠 팬 및 소비자를 대상으로 매출 증대와 브랜드 인지도 향상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었다.
 
◆게임 스트리머와 콜라보한 콘텐츠 제작=게임 관련 인플루언서는 프로게이머, 게임 해설가, 게임 스트리머, 게임 크리에이터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베로와 디시전랩이 2021년 10월 베트남의 17~41세 남녀 e스포츠 팬 530명에게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베트남 게임산업에서 e스포츠 팬들이 게임 관련 인플루언서에게 보이는 충성도는 상당하다. 
 
마치 아이돌 그룹을 좋아하는 팬들이 소속사가 판매하는 다양한 굿즈(상품)를 맹목적으로 구매하듯 특정 게임 관련 인플루언서를 사랑하는 e스포츠 팬들 역시 게임 이외의 브랜드 및 제품 등에도 충성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들에게는 게임 관련 인플루언서가 곧 연예인인 셈이다.
 
설문 응답자의 51%는 자신이 팔로잉하는 게임 인플루언서가 추천하는 제품을 신뢰하며 이 중 42%는 게임 관련 스트리밍 및 소셜미디어에서 자신이 좋아하는 프로게이머, 게임 스트리머, 게임 해설자 등 인플루언서가 사용하거나 추천하는 제품을 실제로 구매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목할 만한 사실은 게임 관련 인플루언서가 등장하는 다음 상품의 광고를 본 설문 응답자들이 상품당 평균 12~21% 비율로 강한 구매의사를 보였다는 점이다. 
 
게임 관련 인플루언서가 광고하는 제품 중 소비자의 구매 의향이 가장 높은 제품군은 전자제품으로 무려 응답자의 21%가 ‘광고 제품을 반드시 구매한다’고 밝혔고 ‘기술 관련 장비’(18%), ‘게임 관련 장비’(18%), ‘의류’(17%), ‘식음료’(16%), ‘패션 액세서리’(15%) 순으로 구매 의향이 높았다.
 
◆베트남 e스포츠 활용 기업의 마케팅=게임 관련 인플루언서와 e스포츠 분야는 약 1800만 명의 베트남 e스포츠 인구 및 베트남 전체 인구의 약 70%를 차지하는 MZ세대를 등에 업고 기업의 브랜드 마케팅을 주도할 것으로 예상된다.
 
베트남 게임산업이 MZ세대를 타깃으로 광고 및 마케팅을 주도할 수 있는 요인으로 가장 먼저 베트남 게임 산업의 강력한 발전 모멘텀을 꼽을 수 있다. 
 
시장조사기업 ABI리서치와 인터디지털의 보고서는 클라우드 게임 산업과 게임 라이브 스트리밍 플랫폼의 폭발적인 증가에 힘입어 2024년까지 세계 인구의 절반이 넘는 약 35억 명이 게임 인구에 편승할 것으로 보고 있다. 
 
코로나19로 오프라인 소매산업은 온라인으로 전환하는 기점이 됐으며 온라인 게임 산업은 다른 산업과 달리 오히려 성장하는 결과를 낳았다. 
 
코로나19의 영향이 줄어들더라도 게임 관련 종사자 및 e스포츠 팬은 증가할 전망이다.
 
게임 커뮤니티의 대형화도 빼놓을 수 없다. 애니메이션 산업, 아이돌 관련 산업과 마찬가지로 게임 관련 산업은 마니아 팬을 양성하는 문화다. 
 
e스포츠 및 게임 관련 인플루언서들은 게임 관련 커뮤니티 및 소속 팬들에게 연예인과 같은 존재이며 열성적인 팔로워 커뮤니티를 가지고 있다. 
 
팬 입장에서 가수, 배우 혹은 모델 등 연예인의 경우 팬 미팅 또는 콘서트 참여 등을 제외하면 실시간으로 소통하는 것이 거의 불가하지만 게임 관련 인플루언서와 게임 스트리머는 가상공간에서 매일 채팅창을 통해 실시간으로 소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 때문에 이들은 연예인 이상으로 영향력이 크며 시간이 갈수록 영향력이 커지고 있다. 
 
참고로 세계에서 가장 많이 구독되는 유튜브 채널 크리에이터 3위는 6월 기준 1억1100만 명 이상의 구독자를 가진 스웨덴 출신의 게임 스트리머 및 인플루언서 퓨디파이다.
 
소셜 미디어 플랫폼의 교차 활용에 따른 상호 작용도 기대할 만하다. 게임 관련 인플루언서를 통해 게임 팬을 타깃으로 하는 기업의 브랜드는 더 많은 소셜 미디어 플랫폼을 통해 잠재 고객에게 도달할 수 있다. 
 
게임 관련 인플루언서들은 여러 개의 온라인 게임 라이브 스트리밍 플랫폼과 소셜 미디어를 사용할 뿐만 아니라 공식, 비공식 팬페이지까지 보유하고 있다. 
 
이들은 주로 페이스북 게이밍, 유튜브 게이밍, 니모 등의 플랫폼을 통해 게임을 스트리밍하며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틱톡 등을 동시에 활용한다. 
 
다양한 소셜 미디어 플랫폼을 전천후로 활용해 구독자들과 소통하고 자신의 일상과 협업 상품을 업로딩하는 게임 관련 인플루언서는 연예인과 비슷하게 걸어다니는 광고모델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베트남의 게임 스트리머와 기업의 협업=베트남의 온라인 쇼핑몰들은 매달 동일한 숫자가 반복되는 날짜, 예를 들어 1월 1일, 2월 2일, 10월 10일, 11월 11일 등을 프로모션데이로 삼고 다양한 할인행사 및 할인 바우처 제공 이벤트를 연다. 
 
귀여운 이미지로 사랑받는 베트남의 여성 게임 스트리머 낭은 베트남의 전자상거래 쇼핑몰 쇼피의 2021년 ‘구일절’(9월 9일) 프로모션의 페이스북 페이지 홍보 모델로 발탁된 바 있다. 
 
또 다른 인기 여성 게임 스트리머 미스시는 베트남 MZ세대에게 인기가 많은 미국의 메이크업 브랜드 ‘메이블린뉴욕’과 협업해 유튜브 홍보 동영상을 제작했다.
 
베트남에서 최대 구독자 수를 자랑하는 게임 스트리머 도 믹시의 믹시게이밍은 다양한 게임 기업 및 소프트웨어 기업 광고의 장으로 주목받고 있다. 
 
막강한 구독자 수를 바탕으로 도 믹시가 올리는 광고 수입은 천문학적이다. 
 
SNS 분석 플랫폼 소셜블레이드의 최신 통계에 따르면 도 믹시의 유튜브 채널 연평균 수입은 최대 240만 달러에 이른다. 
 
그는 유튜브 스트리밍 및 광고 모델을 통해 올린 수입으로 하노이 중심 상권에 7층짜리 건물을 구입했으며 수입 자동차와 프라모델 등을 수집하고 생방송 중에 다양한 기부를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게임 스트리머가 운영하는 소셜 미디어 기반 방송채널은 최신 모바일 기기를 홍보하는 수단으로도 활용된다. 
 
삼성, 화웨이, 오포 등 모바일 업체는 베트남에서 인기가 많은 게임 스트리머들에게 제품을 협찬하고 스트리머는 생방송에서 이를 홍보하는 방식으로 협업하고 있다. 
 
베트남을 대표하는 전자상거래 쇼핑몰 중 하나인 센도는 지난해 3월 유명 게임 스트리머를 총동원해 프로모션하는 행사를 기획하기도 했다.
 
◆우리 기업 시사점=그렇다면 우리 기업들은 베트남의 게임 관련 인플루언서들을 홍보에 활용할 때 어떤 전략을 취해야 할까?
 
우선 적절한 소비자 타깃팅과 메시지 전달이 중요하다. 
 
기업은 브랜드를 홍보할 게임 인플루언서와 홍보 방법을 고려할 때 원하는 소비자에게 도달할 수 있는 가장 적절한 접근방식을 선정해야 한다. 
 
브랜드를 이용할 만한 고객이 어떤 게임에 관심이 있는지, 어떤 게임커뮤니티에서 주로 활동하는지, 어떤 게임 구단을 좋아하는지 등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그 다음으로는 공식적인 소셜 미디어 활용 홍보 캠페인 전개 이전에 브랜드 이미지와 부합하는 특정 게임, 게임 인플루언서, 프로 게임 구단 등을 선택할 수 있다. 
 
특정 기업의 브랜드가 추구하는 이미지에 게임 이미지가 너무 폭력적이지는 않은지, 게임 팬층이 브랜드의 타깃 소비자보다 너무 어리지는 않은지 등을 고려해야 한다.
 
게임 스트리밍의 주 시청 연령은 만 13세~22세다. 
 
식음료 기업, 일용소비재기업, 모바일 기기 기업 등은 인터넷과 스마트폰 사용 빈도가 높고 게임 콘텐츠 시청 비율이 높은 이들을 대상으로 프로모션을 진행할 수 있다. 
 
다만 이들은 당장 지출 능력이 있다기보다 앞으로 주 소비자로 성장할 가능성이 크므로 제품 판매보다는 브랜드 인지도 제고 마케팅이 더 적절할 수 있다. 
 
또한 게임 관련 인플루언서는 게임 관련 상품 및 컴퓨터와 모바일 기기만을 홍보하거나 광고하지 않는다. 
 
패셔너블하고 도회적인 이미지를 가진 일부 게임 인플루언서 들은 화장품, 의류, 라이프스타일 브랜드를 홍보하거나 명품 브랜드의 홍보대사로 활동하기도 한다.
 
유니레버의 남성 화장품 브랜드 ‘클리어멘’은 베트남의 MZ세대 남성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e스포츠를 활용했다. 
 
LOL 게임 중계 중 클리어멘이 후원하는 선수의 상대 선수가 패배했을 때 브랜드가 배너광고 형태로 나타나게 한 것. 
 
‘클리어멘이 후원하는 프로 게이머=성공’이라는 이미지를 은연중에 심어준 것이다. 
 
또한 e스포츠 시청자들이 소셜 미디어 미니게임을 플레이해 경품을 탈 수 있는 행사를 특정 기간 진행하는 미니 프로모션 사이트를 구축해 1900만 회의 사이트 뷰를 달성한 바 있다.
 
사회공헌활동(CSR)과 e스포츠의 만남도 주목해볼 필요가 있다. 
 
코크리에이션은 고객과 함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의사결정과정을 디자인 및 브랜딩에 활용하는 마케팅 기법인데 해외에서는 기업의 CSR과 더불어 기업 이미지를 제고하는 고객 참여형 마케팅 방식으로 각광받고 있다. 
 
일부 브랜드는 고객이 디자인하거나 제안한 유명 게임 및 캐릭터 의류, 잡화 및 화장품을 한정판으로 출시하기도 한다. 
 
2019년 루이뷔통과 LOL은 ‘LVxLOL’ 컬렉션을 선보였는데 출시 1시간도 안돼 매진됐다. 또한 2019년 2월 미국 에스티로더의 유명 색조 화장품 브랜드 ‘M.A.C.’은 중국의 미디어 대기업 텐센트와 손잡고 중국에서만 한정판으로 립스틱을 내놔 예약 판매 24시간 만에 1만4000건의 선주문을 받았다.
 
기업은 지역사회 커뮤니티를 위한 CSR을 통해 브랜드를 홍보하는 수단으로 e스포츠 관련 플랫폼을 활용할 수도 있다. 
 
시장조사기관 투모로우마케터스의 연구에 따르면 e스포츠 커뮤니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베트남 Z세대 중 60% 이상은 사회에 변화를 가져오기를 희망하고 70%는 긍정적인 이미지를 가진 브랜드를 구매하는 경향이 있다. 
 
이렇게 베트남 Z세대가 기업 이미지와 기업의 가치를 구매와 접목시킨다면 기업은 자신의 철학과 이미지를 더욱 면밀하게 구축해 이들이 구매하고 싶은 이미지를 만들어 나갈 필요가 있다.
 
베트남에서 인기 있는 미국의 패스트푸드 브랜드 KFC는 ‘치킨 포 채러티(Chicken for Charity)’라는 캠페인을 펍그, 세가, 코요 등 주요 게임 배급사와 함께 진행한 바 있다. 
 
프로 게이머들은 트위치에서 열리는 펍그 토너먼트에 참여하고 기부금을 모집한다. 매년 7월 열리는 이 행사에서 얻은 수익금은 전액 신체 장애가 있는 베트남 프로 게이머나 게이머 지망생의 생활지원금으로 사용된다.
 
이처럼 해외 유명 브랜드들이 게임 및 관련 캐릭터를 활용해 e스포츠 팬을 대상으로 적극적인 코크리에이션 마케팅을 펼치는 반면 베트남에서는 아직 이 같은 마케팅이 생소하다. 
 
따라서 기획 단계부터 제품 판매까지 한정판의 특징을 잘 포착해 e스포츠 팬을 노리면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 
 
특히 코크리에이션이나 CSR 마케팅의 경우 협업하는 게임 브랜드, 게임 인플루언서의 인지도, 홍보하고자 하는 브랜드의 브랜드네임 등이 유명하다면 효과적이겠지만 투입비용이 크므로 중소기업은 규모에 알맞은 게임 인플루언서를 활용해 콘텐츠를 소셜 미디어와 접목하면 좋다.
 


베트남의 한 게임 배급사 관계자는 KOTRA 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2021년 기준 베트남에서는 인구의 약 3분의 1이 e스포츠를 하고 e스포츠 플랫폼에 정기적으로 접속해 관련 콘텐츠를 접하고 있다”면서 “베트남 e스포츠의 성장은 게임 관련 인플루언서가 대중 앞에서 이미지를 구축하고 기업을 홍보할 수 있는 토대를 만들며 브랜드가 다양한 소셜 미디어 플랫폼과 마케팅 전략을 활용해 잠재 소비자에게 도달할 수 있는 길목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세부 사항

달러강세화된 베트남

 글로벌 신용평가기관 무디스(Moody's)가 베트남의 장기 발행 및 선순위 무담보 신용등급을 Ba3에서 Ba2로 상향하고 전망도 긍정적에서 안정적으로 변경했다고 밝혔다이는 베트남 경제가 성장하고 있는 강점과 개선된 정책의 효과를 나타내는 거시경제 충격에 대한 회복력을 가지고 있다는 무디스의 평가를 반영한다고 재무부는 말했다.

 

무디스는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베트남을 유일하게 올해 초부터 무디스 등급을 상향 조정한 전 세계 4개국 중 하나다같은 날 무디스는 베트남 12개 은행의 신용등급도 상향 조정했다.

 

원화 환율이 달러당 1390원 선을 넘어선 가운데 베트남의 동(dong)화는 달러당 23500동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원화가 금년 초 대비 14% 이상 달러에 약세를 보이고 있지만베트남 동화는 연초 달러당 22625동 수준 대비 3.8% 약세에 그치며 선방하고 있다.

 

달러가 강세를 보이는 것에 대응하여 베트남 중앙은행(SBV)이 금년에만 210억 달러를 매각하며 890억 달러를 보유하고 있다수입액의 12주에 해당하는 안전한 임계치에 해당하는 금액으로 적극적으로 환율 방어에 나서고 있다.

 

베트남이 외환보유고를 조절하는 배경에는 외국인직접투자(FDI)가 지속적으로 유입되고 무역수지는 흑자를 유지하고 있으며 해외의 베트남 근로자들이 매년 100억 달러가 넘는 달러를 송금해 오고 있고 원유 생산국으로 글로벌 고유가에도 에너지 수입에 걸리는 비용을 비교적 적게 지출하기 때문이다.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간 분쟁으로 글로벌 에너지 가격 불확실성으로 물가가 상승하고 베트남의 주요 수출시장인 미국과 유럽 소비자의 구매력이 감소하면서 베트남의 하반기 수출 회전율은 둔화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베트남은 2022년 1~8월 기간 396000만 달러의 무역흑자를 기록했다고 통계청(GSO)이 발표했다수출은 17.3% 증가한 2508억 달러다미국은 777억 달러의 상품을 구매하여 베트남의 최대 수출시장이다.

 

한국은 7개월간 베트남으로 수출이 371억 달러이며 수입은 157억 달러로 무역수지는 214억 달러 흑자다베트남이 한국으로부터 수입하는 상품은 약 93%가 생산재로서 반도체 및 직물 등을 수입하여 완성품으로 만들어 미국이나 유럽으로 수출하는 무역구조다한국과 베트남은 수출에서 상호 궁합이 맞는다.

 

베트남에서 7월까지 100억 달러 이상 수출한 5개 품목의 수출액은 전체 수출액의 58.5%를 차지한다미국 및 유럽 시장에서 구매력 부족으로 재고가 증가하는 품목은 휴대폰 및 전자제품이며수출이 감소하는 품목은 의류 및 신발류다.

 

주요 4개 품목의 수출 증가율이 베트남 전체 수출 증가율을 주도하고 있는데이런 주요 품목에서 수출 증가율이 둔화되고 있다상반기에는 늘어나는 주문으로 인해 기업의 인력이 부족하여 인력 모집으로 고충을 호소하기도 했다그러나 점차 줄어드는 주문으로 직원을 해고하거나 근무시간을 축소하고 있다.

 

기업의 현장에서는 줄어드는 생산은 2023년 중반까지 회복되지 않을 전망이다많은 기업에서 주문이 30~50% 감소하고 수익이 급감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맞벌이하는 가정에서 둘 중 한 사람이 일자리를 잃는 추세다.

 

달러의 강세 및 글로벌 물가상승은 외국인 관광객의 입국에서도 영향을 주고 있다관광 매출에서 부가가치가 높은 외국인 관광객은 8개월 기간 동안 144만 명 이상 유치했으며이는 1년 전보다 13.7배 증가한 실적이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는 코로나19 대유행이 발생하기 전 2019년 같은 기간의 12.7% 수준이다.

 

통계청(GSO)에 따르면 8월까지 상품 소매 및 서비스의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9.3% 증가한 3679조 동(1568억 달러)으로 수년 만에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다특히 외식업은 코로나가 해소되고 국내관광 수요가 늘어나며 48.1% 증가했다최근에는 외식업 프랜차이즈 신규 브랜드의 진입이 늘어나고 시장이 확장되는 추세다.

 

기획투자부 산하 외국인투자청(FIA)에 따르면 2022년 8월 20일 기준 베트남의 외국인직접투자(FDI)는 168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2.3% 감소했다달러 강세로 인해 글로벌 투자가 위축되고 있으나 중국에서 이동하려는 기업들에 베트남은 저렴한 인건비 및 안정된 인프라로 최적의 제조업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글로벌의 물가상승 및 달러 강세로 인해 불확실성은 해소되지 않은 상태지만 베트남의 내수는 활성화되고 있다. 3분기 이후 주요 수출시장에서 수요가 감소하면서 고용에서 불안 요인이 있으나 베트남의 활성화되는 내수시장이 한국에는 소비재 상품의 수출이 증가할 기회로 보인다.

세부 사항

무역포털(VNTR) 활용법 베트남

 베트남 산업통산부는 지난 3월 국가 무역 포털(VNTR, https://vntr.moit.gov.vn/)을 공식 출범시켰다. 이로써 우리 진출 기업을 포함한 많은 외국 투자기업들의 숙원이 해결됐다. 베트남은 그간 투자 진출의 필수 정보인 수입 세율 확인, 자유무역협정(FTA), 비관세장벽 및 무역정책 등에 관한 자료를 한 곳에서 볼 수 있는 포털이 전무했다. VNTR의 세부 사용법을 알아보자.

 
▲VNTR 메인페이지 캡처
●관세율 조회 기능(Tariff Schedules)=KOTRA 무역관 FTA센터에 접수되는 가장 많은 질문 중 하나가 베트남 수입 세율에 관한 것이다. 
 
기존에는 베트남 관세청을 통해 확인이 가능했지만 VNTR을 통해 수입 관세율을 조회하면 베트남이 체결 중인 15개 협정에 대해 FTA 특혜 세율까지도 조회할 수 있다.
 
 
HS코드 입력 후 수입국을 선택하면 해당 국가와 베트남이 체결한 FTA 특혜 관세율의 2021년부터 2046년까지의 변경 스케줄과 전년, 올해의 특혜 세율을 조회할 수 있다.
 
●FTA 원산지 규정 확인(Rules of Origin)=현재 베트남은 총 15개 FTA를 체결하고 있으며 VNTR에서는 각 협정의 원산지 규정 및 원산지증명서 양식을 내려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비관세 조치 확인(Non-tariff measures)=비관세장벽은 관세 이외의 무역장벽을 의미하며 수량 제한, 수입허가제, 각종 수입 과징금 등을 부과하는 것을 말한다. 
 
VNTR을 통해 현재 베트남이 부과 중인 비관세장벽 조회가 가능하며 세율 부과와 관련된 법률정보 및 관할 기관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조치가 적용될 수 있는 HS코드를 확인할 수 있어 수입 HS코드별 인증 필요 여부에 대해 좀 더 쉽게 조회할 수 있다.
 
●베트남 주요 법률정보(Legal Documents)=현재 베트남이 적용 중인 무역 및 수출입 관련 법률정보도 조회가 가능하며 영문 규정이 있는 경우 함께 조회할 수 있다. 
 
그간 베트남어 정보는 무료로 조회할 수 있지만 영문 법규는 유료 사이트를 통해 확인해야 했는데 VNTR에는 상당수 법률 정보가 영문으로 공개돼 있다.
 
●HS코드, 원산지 결정 등 주요 관세 행정심판 결정 조회(Administrative Rulings Concerning Tariff Classification)=진출 기업의 수입 세율 확인 요청 다음으로 많은 질문 중 하나가 HS코드에 대한 결정 문의이다. 
 
베트남도 한국 관세청에서 운용 중인 품목분류 사전심사제도를 운용하고 있으며 품목분류 심사제도 신청 절차 및 공개된 결정에 대한 조회가 가능하다.
 
●수출입안전관리우수업체(AEO·Authorized Economic Operator) 조회=베트남도 WCO(국제관세기구)에 따라 AEO 제도를 운용 중이며 VNTR을 통해 AEO 신청 절차와 현재 인증을 획득한 기업 명단을 볼 수 있다. 
 
2021년 기준 총 69개 기업이 AEO 인증을 획득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세계무역기구(WTO), 유엔 서비스 무역 조회 및 관련 현지 법률 조회 (Trade in Services)=VNTR에서는 상품무역뿐만 아니라 WTO와 유엔의 서비스 무역규정 및 현지 법률규정도 조회할 수 있다.
 
●FTA의 투자규정 및 관련 현지 법률 조회(Investment)=VNTR에서는 협정 별로 상이하게 돼 있는 투자협정도 한 곳에서 조회가 가능하며 관련 현지 법률도 알아볼 수 있다.
 


●FTA 협정문 및 관련 현지 법률 조회(Free Trade Agreements)=앞선 챕터에서는 원산지규정, 서비스 무역, 투자협정 등 항목별로 조회가 가능했다면 이 화면에서는 FTA 전체 협정문과 관련 현지 법률 조회가 가능하다.

세부 사항

기회의땅 베트남

 "베트남은 지금도 기회의 땅… 커지는 소비시장 노려볼 만"

 
“베트남은 지금도 기회의 땅입니다. 아마 앞으로도 상당 기간 한국인과 한국기업들에게 기회의 땅으로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봅니다.” 
 
이종섭 KOTRA 동남아대양주지역본부장 겸 하노이 무역관장은 한국에서 베트남에 대한 일부 잘못된 정보와 오해가 전파되고 있는 것이 안타깝다며 이같이 말했다. 
 
KOTRA 하노이 무역관에서 이 본부장을 만나 최근 베트남 경제 현황과 비즈니스 등에 대해 이야기를 들었다.
 

▲이종섭 KOTRA 동남아대양주지역본부장 겸 하노이 무역관장
- 하노이에는 언제 부임했나.
 
2020년 8월 1일 동남아대양주지역본부장 겸 하노이 무역관장으로 부임했다. 
 
입사 후 1998년 첫 해외 근무지가 호치민이었다. 그리고 지금 마지막 해외 근무지가 하노이인 셈이다.
 
- 24년 전과 지금의 베트남을 비교한다면.
 
베트남은 24년 전에도 기회의 땅이었고, 지금도 기회의 땅이라고 할 수 있다. 
 
처음 베트남에 왔을 당시 베트남은 미국의 적성국이어서 MFN(최혜국 대우)이 적용되지 않고 있었다. 그 때 이미 베트남의 미래를 보고 진출한 한국기업이 약 500개 정도 있었다. 
 
이후 2002년 미-베트남 무역협정이 발효되고 미국으로부터 MFN 적용을 받게 되면서 한국기업들이 밀물처럼 들어왔다. 
 
그리고 2016~17년 무렵 중국의 임금 상승 등의 영향으로 글로벌 공급망이 재편되면서 2차로 베트남 붐이 일었다. 
 
지금 베트남 전체에 한국기업 약 9000여 개가 활동하고 있다.
 
- 어떤 면에서 지금도 기회의 땅인가.
 
베트남은 정부에서 적절하게 최저임금을 통제하고 있고, 향후에도 당분간 이런 정책을 유지할 것으로 본다. 제조기지로서 매력이 적어도 향후 10년 정도는 지속될 것이다. 
 
그보다 더 매력적인 것은 소비시장으로서의 베트남이다. 베트남인들의 소득 수준은 계속 높아지고 있으며 저가 중심의 시장이 점진적으로 중고가 중심으로 전환되고 있다. 소비시장의 고급화라고 할 수 있다. 
 
특히 20~30대의 젊은 인구 비중이 높고 새로운 진입도 늘고 있는데, 이들은 노동력의 원천이며 동시에 소비시장의 주인공이다. 
 
이들은 유튜브 등을 통해 유행에 민감하며 브랜드 제품에 대한 소비지향성도 높다. 
 
이곳에서 한류의 영향도 막강한데, KOTRA에서는 오는 10월 대규모 한류전시회를 현지에서 열 계획이다.
 
- 한국 언론에서 베트남도 임금상승 등으로 매력이 떨어지고 있으며 기업들이 떠나고 있다는 보도가 여러 차례 있었는데.
 
베트남을 떠나는 기업들이 늘고 있다는 것은 와전된 것으로 안다. 내가 알기론 사실과 다르다. 공식적으로 떠났거나 떠나겠다는 기업을 본 적이 없다. 
 
몇 년 전 미얀마가 생산 및 제조기지로 떠오른다는 얘기가 있었는데, 당시에도 베트남에 있는 기업이 미얀마로 이전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 진출한 기업이 추가 투자할 때 미얀마를 고려한다는 수준이었던 것으로 안다. 
 
하지만 미얀마에서 군부 쿠데타가 발생한 이후 미얀마로의 생산기지 이전 얘기도 사라졌다.
 
- 이와 관련한 베트남 정부의 움직임은 어떠한가.
 
베트남은 여전히 글로벌 제조기지를 지향하고 있다. 하지만 노동집약 업종의 투자진출은 그리 달가워하지 않는 것 같다. 인센티브도 약하고, 투자진출 지역도 가능하면 지방으로 보내려고 한다. 
 
대신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기업이나 하이테크 기업은 적극적으로 유치하려고 한다. 그런 요구를 많이 받는다. 세제혜택 등 인센티브도 많이 준다.
 
- 한국기업들의 진출 현황은 어떤가.
 
남부 북부 합쳐 약 9000개사 정도다. 아무래도 제조업이 약 80%가량 된다. 서비스업이 10%, 무역업이 5%, 기타 5% 정도다.
 
- 베트남 소비시장을 겨냥한 진출은 늘고 있나.
 
현재까지 소비시장 진출은 현재는 식품과 화장품이 중심이다. 
 
화장품은 이미 많이 진출했고 식품은 최근 한인이 운영하는 케이마켓(KMARKET)을 통해 신선농산물과 각종 가공식품이 성공적으로 진입하고 있다.
 
- 한국에 소개하고 싶은 성공모델이 있다면.
 
대표적인 곳이 오리온이다. 한국에서처럼 베트남에서도 일반 가정집이나 사당에서 제사를 지낼 때 음식을 놓게 되는데, 이 제사음식으로 항상 초코파이가 들어간다. 최근 10여년 사이에 일어난 변화다. 오리온 덕분이다. 
 
오리온은 현지화를 잘 했다. 철저한 시장조사를 통해 현지인들이 좋아하는 제품을 만들었다. 
 
대표적인 예가 쌀과자 ‘안(AN)’이다. 베트남에만 있는 브랜드다. 베트남 쌀과 베트남인들이 좋아하는 향을 넣어서 만들었고 그 결과 토종기업을 제치고 시장점유율 1위에 올랐다. 
 
하지만 오리온의 진짜 성공 비결은 모범적인 소외된 지역과의 상생발전에서 찾을 수 있다. 
 
오리온은 감자가 원료로 들어가는 제품들이 많은데, 현지에서 계약재배를 통해 조달한다. 여기에는 스토리가 있다. 
 
초기에 베트남 감자를 쓰려다 안 맞아서 고민하다 연구개발 통해 현지에 맞는 씨감자 개발해 보급했다. 이후 달랏이라는 고산지대에 연구소를 설립하고 현지에 맞는 품종을 개발하고 개발된 품종을 감자농민들에게 보급했을 뿐 아니라  계약재배를 통해 원료를 조달하면서 현지인들의 소득 향상에 기여했다. 
 
이 사실이 널리 알려지면서 현지인들 사이에 호의적인 인지도를 쌓았다. 단순한 임금 따먹기식 진출이나 수출 전초기지로만 이용하는 것과 차원이 다르다.
 
- 베트남에 투자진출하려는 한국기업에게 당부의 말을 전한다면.
 
앞서 얘기한 대로 제조기지나 소비시장으로서 베트남의 역할과 매력은 당분간 지속될 것이다. 
 
하지만 언젠가는 여기서도 베트남 기업들이 외국인 투자기업들을 대체할 것이다. 또 임금상승 등으로 제조기지 매력이 떨어질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진출 초기부터 이런 상황을 잘 감안해 전략적으로 투자하길 바란다.
 
- 하노이무역관에는 몇 명이 근무하나.
 
관장인 나를 포함해 본사에서 온 직원들이 10명 있고, 현지 채용인력이 29명 있다. 이렇게 약 40명이 상근 직원이다. 
 
현지 채용인력 중 10명 정도는 한국인이고, 나머지는 베트남인들이다. 
 
전시회나 기타 행사가 있을 때 단기적으로 30~40명 추가로 채용하므로 많을 땐 70~80명이 일한다.
 
- 주요 업무는 무엇인가.
 
해외무역관의 고유 업무는 크게 2가지다. 
 
하나는 고객(한국 중소·중견기업)의 해외마케팅 지원 활동, 예컨대 전시회 참가 지원, 무역사절단 지원, 중소기업 지사화 역할 같은 것이다. 
 
다른 하나는 정보조사다. KOTRA 홈페이지 해외시장뉴스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전파한다. 
 
이와 관련해 내가 부임한 이후 <월간베트남비즈니스뉴스>라는 50~60페이지 정도의 정보지를 매월 PDF로 발간해 베트남에 진출한 한국기업들에게 메일로 발송한다. 
 
한국의 본사와 지방지원단, 지방자치단체에도 보낸다. 발송처가 대략 1만 곳이 넘는다. 베트남의 미발표 프로젝트 같은 것도 입수해 간략히 소개하는 등 콘텐츠가 괜찮아서인지 인기가 있다. 
 
또 투자진출지원센터에 베트남 현지 변호사 등 전문 인력을 채용(연간 계약)해서 베트남에 진출하는 기업들을 지원하는 일도 한다. 
 
이밖에 현지진출 기업들의 요청사항이나 본사에서 내려온 과업 등도 수행한다. 현지에서 채용박람회를 개최해 진출기업들의 인력채용을 지원하는 동시에 한국 청년들의 취업 지원도 한다.
 
- 아시아대양주지역본부장이면서 무역관장을 겸임하면 업무가 많을 것 같다.
 
하는 일의 80% 이상이 무역관장으로서 업무다. 현장에서 벌어지는 일이 많다. 
 
지역본부장으로서 15개 무역관을 관할하지만, 각 무역관의 업무는 관장들이 맡는다. 
 
본부장으로서 하는 일은 아세안 및 오세아니아 지역에 대한 전략수립, 사업목표 부여 및 조정, 평가, 2개 이상의 무역관이 공동으로 수행해야 할 사업개발이라든지, 무역관끼리 협력이 필요한 업무 등을 조정하거나 간여하는 것이다. 이때도 전체 무역관의 전체 무역관의 의견을 구해 전략을 수립하고 조정하고 총괄하는 정도다. 
 
- 베트남의 코로나19 상황은 어떤가.
 
작년에는 코로나19 확진자가 쏟아져 나와 문제가 심각했다. 당국의 지침에 따라 삼성전자와 협력업체를 비롯해 많은 기업들이 기숙사나 공장 내 임시텐트에서 숙식을 제공하며 일을 해야 했다. 공장가동률이 50% 수준에 그쳤다. 
 
그런데 당시 고향으로 돌아간 많은 근로자들이 아직 돌아오지 않아, 지금도 공단 쪽에 가 보면 구인공고가 여기저기 붙어 있다. 
 
코로나19 이후 젊은이들 사이에 오토바이 배달이나 유튜버 등으로 ‘전업’한 경우도 많다. 많은 기업들이 인력난을 호소한다. 
 
현재 베트남은 코로나19 규제가 대부분 사라졌다. 확진자 수 발표도 없다. 해외에서 입국할 때 방역증명서 같은 것도 필요 없다. 
 
관광과 제조 등 산업활동이 정상화되면서 7%대로 성장률이 회복됐다. 코로나19 이전과 비교하면 경제, 사회활동 등이 대략 80~90% 회복됐다.
 
- 글로벌 인플레이션 영향은.
 


여기도 물가가 엄청 올랐다. 특히 휘발유 가격이 60~70%나 올라 오토바이를 타는 시민들 부담이 크다. 식품 등 대부분의 물가가 올랐다.

세부 사항

인플루언서 마케팅 활용하는베트남

 인플루언서는 트렌드를 선도하고 타인에게 많은 영향을 주는데 이들을 활용한 마케팅이 바로 인플루언서 마케팅이다. 인플루언서 마케팅은 연예인 대비 합리적인 비용으로 광고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코로나19로 베트남 전자상거래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인플루언서를 활용한 홍보 마케팅이 주목받고 있다.

 
베트남 인플루언서와 소셜미디어 플랫폼=글로벌 인공지능(AI) 서비스 기업 애니마인드그룹의 ‘베트남 인플루언서 마케팅 보고서’에 따르면 베트남에서 인플루언서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소셜미디어 플랫폼은 작년 기준 53.3%의 점유율을 차지한 페이스북이었고 유튜브(25.5%), 인스타그램(20.6%), 트위터(0.6%)가 그 뒤를 이었다.
 
베트남에서 페이스북은 지난 1년간 63.1% 성장한 것으로 추정되며 팔로워 1만~10만 명의 마이크로 인플루언서의 성장이 두드러졌다. 
 
인스타그램은 지난해 가장 크게 성장한 플랫폼으로 인플루언서가 128% 늘었으며 마이크로 인플루언서, 매크로 인플루언서, 톱스타 카테고리에 걸쳐 신장세가 두드러졌다. 
 
유튜브는 페이스북 다음으로 인플루언서들의 활동이 집중되는 플랫폼임에도 오히려 마이너스 성장률을 기록했다.
 
애니태그 플랫폼의 데이터에 따르면 예술·엔터테인먼트, 패션·뷰티, 식음료는 베트남에서 가장 인기 있는 인플루언서 카테고리다. 
 
코로나19 대유행에도 불구하고 식음료, 가족 및 비즈니스 카테고리는 여전히 긍정적인 성장을 기록했으며 2020년 기준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상위 3개 카테고리이기도 하다.
 
구체적으로 ‘식음료’가 19.7%로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고 ‘가족’ 7.7%, ‘비즈니스’ 7.2%로 그 뒤를 이었다. 
 
작년은 코로나19의 여파로 비즈니스 중심의 인플루언서 마케팅 콘텐츠는 비교적 적었지만 유저들의 더 많은 관심과 브랜드의 투자 덕분에 올해는 다양한 유형의 인플루언서 마케팅의 성장이 기대된다.
 
또한 마이크로 인플루언서와 매크로 인플루언서는 25.1%와 25.2%의 점유율로 전체 인플루언서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톱스타(130.7%)와 매크로 인플루언서(31.9%)는 각각 130%와 31%의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지난 1년 동안 수많은 마이크로 인플루언서가 매크로 인플루언서가 됐고 매크로 인플루언서는 톱스타가 됐다. 
 
전체적으로 베트남의 인플루언서는 지난 1년간 상당한 잠재력을 보여줬고 앞으로도 성장할 여지가 충분하다는 평가다.
 
페이스북은 지난해 베트남에서 인플루언서 마케팅 캠페인을 실행하는 데 가장 효과적인 플랫폼으로 평가된다. 
 
반면 2020년 기준 유튜브의 인플루언서 마케팅 캠페인은 감소했고 트위터는 유지 수준에 그쳤다. 
 
브랜드들은 인플루언서가 보유한 플랫폼의 잠재 고객인 팔로워에 따라 다양한 플랫폼에서 인플루언서 마케팅을 실행할 수 있는 기회가 있기 때문에 이를 어떻게 잘 활용하느냐가 관건이다.
 
베트남의 상위 3개 인플루언서 카테고리의 중간(나노-마이크로 인플루언서) 참여율을 살펴보면 페이스북은 패션 및 뷰티 카테고리에서 나노 인플루언서와 마이크로 인플루언서 모두 참여 측면에서 최고의 성과를 보인 반면, 인스타그램은 예술 및 엔터테인먼트 카테고리에서 나노-마이크로 인플루언서의 이상적인 참여율을 끌어낸 플랫폼이다. 
 
나노 인플루언서가 중간 참여율에서 마이크로 인플루언서보다 나은 성과를 내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유튜브의 예술 및 엔터테인먼트 카테고리에서는 오히려 마이크로 인플루언서의 참여율이 높았다.
 
베트남 하노이 시내 마트의 식품코너. [사진=한국무역신문 DB]
●인플루언서 마케팅 유형과 사례=베트남 인플루언서들은 대중이 어떤 텍스트에 매료되는지 잘 알고 있다. 
 
그래서 짧지만 강렬한 인상의 문구나 매력적인 프로모션 정보를 활용한다. 
 
효율이 높은 캠페인일수록 짧은 홍보 콘텐츠를 적합한 매체에 빠르게 올리는 인플루언서들이 대거 활동하는 경우가 많다.
 
인플루언서 마케팅은 무척 획기적이고 진보적인 디지털 마케팅 영역이긴 하지만 그만큼 리스크를 사전에 파악하고 미디어 트렌드를 최대한 활용하고 응용해야 한다. 
 
인플루언서 마케팅은 세 가지로 분류되는데 인플루언서를 활용한 브랜디드 콘텐츠, 간접광고(PPL) 및 협찬, 크리에이터 초청 이벤트가 그것이다.
 
이 가운데 브랜디드 콘텐츠는 영향력 있는 인플루언서를 통해 홍보하고자 하는 제품 및 서비스 위주로 광고와 영상 등을 구성해 제작하는 방식으로 제품 및 서비스 집중도가 높다. 
 
PPL 및 협찬은 별도의 기획 없이 기존 콘텐츠 안에서 제품과 서비스를 노출하는 방식으로 광고인 듯 아닌 듯 자연스러운 노출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크리에이터 섭외는 각종 행사의 사회자, 모델, 게스트 등으로 적합한 유튜버를 섭외해 별도의 기획안에 따라 이벤트를 진행하는 방식이다.
 
베트남에서 소셜미디어와 인플루언서 마케팅은 지배적인 마케팅 트렌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언어적인 장벽과 정보 부족으로 제대로 된 정보를 얻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이런 상황에서 우리 기업들이 베트남에서 인플루언서 마케팅을 활용하고자 한다면 현지 마케팅 대행사와 파트너십을 맺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 
 


이들 에이전시는 우리 기업에게 맞는 인플루언서를 선택하고 올바른 콘텐츠 전략을 개발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세부 사항

시장트랜드브랜드화된 베트남

 ①소셜미디어 틱톡의 부상

 
②전자상거래는 핵심 쇼핑수단
 
③핀테크 시장의 급성장
 
④MZ세대 지갑 여는 친환경 브랜드
 
⑤영향력 확대되는 인플루언서 마케팅
 
⑥메타버스에 쏠리는 관심과 돈
 
 
올해는 베트남 경제의 회복세가 가속화될 것으로 기대되는 가운데 경제, 산업, 경영 등 주요 부문에서 다양한 트렌드가 나타나고 있다. 이 가운데 6가지 특징적인 현상을 소개한다.
 
①소셜미디어 틱톡의 부상=불과 몇 년 전까지만 해도 틱톡은 베트남의 상위 소셜미디어에 들지 못했지만 지난해 중대한 돌파구를 마련하면서 네번째로 인기 있는 채널로 급부상했다. 시장조사기관 큐앤미의 최근 조사에 따르면 베트남 Z세대의 71%가 틱톡에서 여가 시간을 보내고 있다. 트렌드를 선도하는 차세대 소비주역인 Z세대에게 틱톡이 가장 핫한 소셜미디어가 된 것.
 
틱톡은 기존의 재미 위주 영상에서 지금은 교육자료, DIY(Do It Yourself) 튜토리얼, 라이프스타일 및 예술 프로젝트, 피트니스 프로그램 등을 제공하며 본격적인 동영상 플랫폼 확장에 열 올리고 있다. 만약 베트남 MZ세대를 대상으로 하는 브랜드라면 틱톡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됐다.
 
베트남에서 소셜미디어의 부상은 모바일 인터넷 사용자의 증가가 뒷받침하고 있는데, 2021년 기준 사용자는 7100만여 명이었고 오는 2025년에는 8200만 명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②전자상거래는 핵심 쇼핑수단=지난해 베트남은 장기간 지속된 봉쇄로 전통 재래시장과 식료품점은 어려움을 겪었고 비필수 오프라인 상점은 문을 닫아야 했다. 반면, 온라인 구매 수요는 급증해 2022~25년 베트남 전자상거래 시장 성장률은 연평균 17.4%로 2025년에는 232억 달러에 달할 전망이다.
 
그랩, 고젝, 비앤배민 같은 차량공유 서비스가 음식배달 및 택배 등 온라인 배송 서비스의 주축을 이뤘고 티키, 쇼피, 라자다, 센도 등 베트남 전자상거래 플랫폼과 빈마트, 빅씨, 롯데마트 같은 주요 슈퍼마켓 체인은 생활용품의 방문배송을 실시했다. 
 
중소기업에게 전자상거래로의 전환은 상당한 도전이었지만 불안정한 코로나19 상황에서 오프라인 매장을 유지해야 하는 재정적 부담을 대폭 줄이고 판촉 확대, 고객 서비스 개선, 물류 간소화를 통해 수익 증대에 더욱 집중하는 계기가 됐다. 대기업 역시 이런 추세에 맞춰 온라인 판매전략의 최적화를 도모하고 있다.
 
③핀테크 시장의 급성장=코로나19로 자산을 관리하는 방식이 획기적으로 바뀌고 있다. 이에 수반되는 금융 서비스의 변화로는 모바일, 사회공유망서비스(SNS), 빅데이터 등 새로운 IT 기술을 활용해 모바일 뱅킹이나 앱카드, 가상화폐 및 외환 송금, 개인간(P2P) 대출 등 기존 금융기법과 차별화된 기술 기반 금융 서비스의 혁신을 예로 들 수 있다.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베트남에서 주식은 엘리트들의 투자활동으로 여겨졌지만 이제는 주식은 물론 암호화폐, 소규모 부동산 등 여러 분야에서 투자가 활발하다. 전 세계 74개국을 대상으로 가상화폐 사용 현황을 조사한 결과 베트남이 두 번째로 가상화폐를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구글 트렌드가 2020년에 조사한 결과 베트남에서는 31%가 가상화폐를 쓴 경험이 있었다.
 
베트남 핀테크 시장은 현재 전자결제 중심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P2P 대출, 암호화폐, 판매정보관리시스템(POS)이 뒤를 잇고 있다. 이와 관련, 베트남 중앙은행은 “개인들의 예금이 계속 감소하는 것은 저금리에 회사채 발행 증가로 투자자들이 주식시장과 암호화폐 시장으로 몰리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이미지=아이클릭아트
④MZ세대 지갑 여는 친환경 브랜드=글로벌 마케팅 리서치 기업 칸타월드패널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베트남의 환경운동가와 환경 의식이 있는 소비자의 비율은 약 35%로 추정된다. 이는 세계 평균인 59%보다 낮은 수준이지만 베트남 소비자들의 태도에도 주목할 만한 변화가 나타나고 있음을 의미한다.
 
다양한 글로벌 기업들이 2030년, 2050년까지 지구 온도를 낮추기 위한 약속을 쏟아내는 가운데 베트남에서도 소비자 행동 변화를 목표로 하는 일련의 공개 캠페인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코로나19 이후 전 세계적으로 환경오염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지면서 환경 친화적이고 지속 가능한 라이프스타일을 지향하는 MZ세대가 주력 소비층으로 자리 잡을 것으로 보인다.
 
기업은 베트남 소비자의 신뢰를 얻기 위해 꾸준하게 노력하는 것이 중요한데, 기존 제품과 서비스를 보다 지속 가능하게 포지셔닝하는 것은 젊은 베트남 소비자들에게 어필할 수 있는 확실한 방법이다. 이 과정에서 베트남 소비자들은 친환경 흉내만 내는 ‘그린워싱’에 매우 민감하기 때문에 소비자를 기만하는 브랜드로 낙인이 찍히지 않으려면 반드시 투명성과 진실성을 바탕으로 지속 가능한 마케팅을 진행해야 한다. 
 
이런 트렌드에는 베트남의 탄소 감축 목표를 위한 여건 변화가 반영돼 있으며 베트남 정부 역시 글로벌 목표 달성을 위해 에너지를 절약하고 생활 및 산업 폐기물을 줄이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⑤영향력 확대되는 인플루언서 마케팅=베트남의 인플루언서 마케팅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일반 광고를 신뢰하는 소비자는 30%에 불과하고 90%는 인플루언서의 추천을 신뢰했다. 베트남에서는 그만큼 인플루언서 마케팅이 소비자와 브랜드 모두에게 인기이며 인플루언서의 숫자가 급속도로 증가하는 만큼 이들의 영향력도 커지고 있다.
 
팔로워가 수천 명에 불과한 나노 인플루언서부터 수백만 명인 메가 인플루언서에 이르기까지 인플루언서의 유형은 다양한데, 특히 베트남에서는 나노 및 마이크로 인플루언서의 마케팅 참여도가 높다. 많은 전문가들은 코로나19가 진정된 이후에도 미디어커머스에 주목하고 있는데, 인플루언서가 미디어커머스의 선봉장 역할을 해낼 것으로 보고 있다.
 
⑥메타버스에 쏠리는 관심과 돈=메타버스는 온라인 공간을 현실의 3차원 공간처럼 이용하는 기술이다. 최근 베트남에도 메타버스에 대한 관심과 열기가 뜨거운데, 베트남의 토종 메타버스 스타트업에 해외 투자자들의 관심과 투자가 몰리고 있다. 현지의 블록체인 스타트업 와이다와 버스허브의 경우 해외에서 각각 2500만 달러와 100만 달러의 투자를 유치하면서 여러 기업들과 협업해 개방형 메타버스 생태계를 개발하고 있다.
 
베트남에서 메타버스에 관심과 투자가 쏟아진 배경에는 전국적인 봉쇄조치가 있다. 코로나19 확산 방지와 감염 예방 차원에서 크고 작은 행사들이 연이어 취소되는 대신 비대면 기반의 메타버스가 주목받기 시작한 것. 반면, 메타버스는 역기능과 문제점도 안고 있는데, 정보 격차, 기술 오남용, 윤리 문제와 신종 범죄, 데이터 편향성에 따른 각종 차별 등이 그것이다.


 

세부 사항

온라인쇼핑천국베트남

 잉글랜드 및 웨일스의 공인회계사 연구소(ICAEW)에서 발표한 2분기 경제포럼 자료에 따르면 동남아시아 2022년 평균 GDP 예측 성장률은 5.8%이며 베트남은 이보다 0.7% 높은 6.5%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동남아시아는 델타 코로나 변종으로 주요국 대부분이 고르지 않은 GDP 성장을 보이며 전염병 이전 수준으로 다시 상승하고 있다고 밝혔다여행 여건 부족으로 관광산업은 여전히 대유행 이전보다 2% 낮은 수준이다.

 

베트남의 대표 수출 상품 중의 하나인 의류 섬유 부문에서 증가하는 수요로 인해 상반기 수출이 대폭 증가했으며 3분기 말까지 제조 물량을 수주 확보하며 연간목표 420~430억 달러를 훨씬 웃도는 45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측했다.

 

그러나 호치민시에서 6월 21일 열린 의류 섬유 세미나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자유무역협정(FTA)의 효과로 상반기에는 수출에서 긍정적이었지만 하반기에는 주요 시장인 미국과 유럽의 물가상승이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다.

 

5월까지 베트남의 수산물 수출은 47억 달러에 달해 전년 동기 대비 44% 급증했으며코로나 대유행으로 인해 2년 동안 중단된 수산물 산업이 반등하는 조짐을 보이고 있다평균 수출 가격은 10%~15% 상승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경유 가격이 2021년 말보다 1.7배 상승하면서 선박 운항 비용이 35~48% 인상됐지만해산물 가격은 소폭 상승했다고 밝혔다. 6월에는 높은 경유 가격으로 인해 모든 어선 중에서 절반이 출항을 중단한 상태이다.

 

호치민시에서 가장 큰 의류 시장을 운영하는 사트라세코(Satraseco)는 점포 임대료를 50~130% 인상할 예정이지만 인상 시기를 2023년으로 연기했다. 1년에 2번 인상하는 임대료에 항의하는 상인 138곳이 상점을 폐쇄하겠다고 통보함에 따라 2022년 인상을 연기하고 2023년부터는 1년에 한 번만 인상하기로 했다.

 

스타벅스(Starbucks) 베트남은 2021년 2개 매장을 폐쇄한 후에 8년 전에 문을 연 하노이 매장을 6월 말에 문 닫았다스타벅스는 2022년 초 임대료 인상의 요구로 인해 회사가 베트남 내에서 매장 수를 늘리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

 

스타벅스는 중심가에서 고객들이 점차 배달에 의한 주문이 늘어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확인했기 때문에 배달 전문으로 작은 매장을 여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경쟁사인 다른 커피 체인도 2021년에는 매장 수를 줄여야 했다.

 

베트남은 2019년 출산율이 2.09명으로 한국(0.92)대비 2배 이상 높은 수치를 기록하며 아기를 가진 엄마 인구가 500만 명에 달하는 시장으로 추산된다대도시를 중심으로 늘어나는 중산층으로 시장의 규모는 점차 커지고 있다.

 

아기를 위한 용품을 구매하는 엄마는 매장에서 꼼꼼하게 확인하고 구매하는 경향이 있어 껀꿍(Con Cưng), 비보마트(Bibomart) 등 전문점을 중심으로 호치민시 및 하노이 대도시에서 급증하며 전국도시로 확장 추세에 있다아기용품 브랜드 체인 매장이 1000개 이상으로 추산되며 매장당 매출이 10~15억동에 이른다.

 

최근에는 유아를 둔 엄마라도 외출할 필요 없이 쇼피(Shopee), 티키(Tiki), 라자다(Lazada)와 같은 신뢰할 수 있는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공인된 브랜드의 제품을 주문할 수 있어 쇼핑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아이프라이스(iPrice) 자료에 따르면 전자상거래에서 높은 매출 비중의전자제품 구매율이 점차 커지고 있다. 2021년 1분기에 전자상거래 사이트에서 전자제품을 쇼핑하는 여성의 비율이 43%, 남성은 57%로 대폭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베트남에서 가장 많은 점포를 운영하는 소매 대기업 모바일월드(Mobile World)는 IT기기 소매에서 전자제품식품전문점유아용품 전문점 등으로 체인을 확장하는 추세이다최근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인상되는 임대료로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임대료는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인상될 가능성이 크다.

 

온라인쇼핑기업 온포인트(OnPoint)는 중소기업 판매자가 온라인에서 판매를 효과적으로 관리해 성장을 가속화할 수 있는 솔루션을 개발했다최근 싱가포르대형 펀드 테마섹홀딩스(Temasek Holdings) 자회사로부터 B시리즈 라운드에서 5000만 달러를 유치했다투자자는 온라인쇼핑의 성장을 높이 평가하고 있다.

 


베트남에서 물가는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점포를 운영하는 기업에게 임대료 및 인건비는 줄어들지 않는 사업환경이며 사업경비 절약은 경영의 최대 관건이다.베트남으로 상품을 수출하는 기업은 유통채널 전략에서 온라인쇼핑에 기반을 두고 활동하는 대리점도 선정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세부 사항

히트상품과 포스트코로나 유망분야 베트남시장

 코로나19로 촉발된 베트남의 비대면 소비는 전염병의 장기화로 폭발적으로 확산됐으며 건강관리와 가정 간편식 수요 증가를 불러왔다. 자난해 베트남의 코로나19 수혜 제품을 살펴보고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유망분야도 알아보자.

 
<코로나19 수혜 제품>
 
◆건강기능식품=베트남에서는 산업화에 따른 환경오염 심화로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환경오염뿐만 아니라 서구식 고칼로리 식습관의 확산에 따라 비만율이 높아지면서 젊은 여성을 중심으로 건강식품 수요가 급증했다.
 
베트남 소비자들의 건강 트렌트는 코로나19가 결정적으로 작용했다. 기존에는 새로운 상품을 구매할 때 가격을 최우선으로 고려하면서 품질, 배송 등을 중시했다면 코로나19 이후에는 건강과 위생을 우선시하면서 그만큼 구매 결정요인도 다양화됐다.
 
코로나19 발생 첫 해인 2019년 시장조사업체 닐슨이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44%가 주요 관심사로 건강을 꼽았다. 특히 비타민과 제비집, 홍삼 등 면역력 증진에 도움이 되는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관심이 증가했다. 이는 베트남의 건강기능식품(HS코드 210609) 수입추이로도 확인되는데 2020년 수입액은 7억7000만 달러로 2016년보다 62.5% 증가했다.
 
건강기능식품 외에도 비위생적인 음식에 대한 경계심이 높아지면서 고가의 수입식품, 유기농, 친환경 제품 수요가 늘고 있다. 닐슨의 조사에서 건강을 주요 관심사로 꼽은 응답자의 86%는 ‘식품 구입 시 자신과 가족을 위해 유기농 및 친환경 제품을 구매할 의향이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가정 간편식=가정 간편식은 식사 준비의 편리성 등을 내세워 인구 증가와 가구당 인원 감소 등의 변화를 동시에 겪고 있는 하노이, 호찌민 등 대도시를 중심으로 수요가 증가해왔다. 여기에 더해 2015년부터 냉동 가정 간편식을 대규모로 보관할 수 있는 하이퍼마켓과 슈퍼마켓 등 현대식 소매업체들이 급성장하면서 소비자 접근성도 크게 향상됐다. 과거 가정 간편식의 주요 소비층은 대도시의 젊은 직장인이었으나 최근에는 소비층이 확대되고 있다.
 
베트남은 총 4차례의 코로나19 대유행을 겪으면서 외출 금지 등과 같은 강력한 봉쇄정책을 실시했으며 이는 재택기간의 증가와 가정 간편식의 소비 확대로 이어졌다. 온 가족이 집에 머무는 시간이 늘어나고 봉쇄조치에 따른 식료품 물류가 어려움을 겪으면서 각 가정의 냉동 즉석식품 비축 수요가 증가했다. 실제 2021년 베트남의 가정 간편식 시장은 1억5000만 달러로 2019년 대비 8.6% 확대됐으며 수입액도 2019년보다 9% 성장한 2900만 달러를 기록했다.
 
베트남에서 유통되는 한국산 가정 간편식은 떡볶이, 라면 등 매운맛을 강조한 제품과 만두가 대부분이다. 최근에는 냉동제품 유통에 필수인 콜드체인에 대한 투자가 확대되면서 밀키트, 즉석조리식품 시장도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전자상거래=코로나19가 가져온 또 다른 변화는 비대면 트렌드에 따른 전자상거래의 신장이다. 작년에도 전자상거래 시장은 이런 흐름을 타고 전년 대비 10% 증가한 130억 달러의 매출을 기록했다.
 
베트남의 작년 3분기 상위 10대 전자상거래 플랫폼의 총 방문 횟수는 태국의 2배, 말레이시아의 3배였으며 2025년까지의 연평균 성장률은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높은 35%로 전망된다. 특히 외출이 제한되는 코로나19 기간 중 온라인으로 일용소비재를 구매하는 비중이 급증했다. 
 
베트남의 1위 전자상거래 업체 쇼피는 “코로나19 봉쇄기간 동안 일용소비재 수요가 크게 증가했으며 특히 의료 및 보건용품, 가전제품 등의 판매 증가세가 돋보였다”면서 “향후 베트남 소비자들의 온라인 생필품 구매가 보편화되면서 전자상거래 시장은 더욱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온라인 거래가 증가함에 따라 결제방식도 착불현금결제(COD)에서 전자결제 방식으로 전환되고 있다. 특히 전자결제는 베트남 정부가 ‘현금 없는 사회’ 슬로건을 내세워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부문으로 코로나19가 가져온 비대면 거래 트렌드 확산과 함께 이용자가 폭증하고 있다. 
 
2021년 기준 베트남의 전자결제 서비스 1위 기업 모모의 이용자는 2300만 명으로 2020년 상반기 전체 전자결제 이용자가 1300만 명인 것을 감안하면 급격한 증가라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전자결제 기업 VN페이가 2020년 베트남의 두 번째 유니콘에 등극하면서 향후 베트남 전자결제 시장은 더욱 팽창할 전망이다. 
 
◆포장재=전자상거래가 확대되면서 상품 배송을 위한 종이류 포장재 시장 역시 크게 성장했다. 2020년 베트남의 종이류 포장재 생산량은 434만 톤으로 2019년보다 16% 증가했다. 
 
종이류 포장재 시장의 성장은 베트남-유럽연합(EU) 자유무역협정(FTA) 등 메가 FTA 체결에 따른 농수산, 의류 등 포장재가 필수인 산업군의 수출이 증가한 이유도 있지만 가장 큰 요인은 코로나19에 따른 전자상거래 확대와 상품 배송의 증가로 볼 수 있다. 향후에는 환경오염 등의 이슈에 따라 최소 포장 및 친환경 포장재 사용 비율이 점차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포스트코로나 유망 분야>
 
▲일러스트=아이클릭아트
◆건강관리, 웰빙=시장조사업체 유로모니터가 지난 10월 발표한 ‘2021년 베트남 소비자 라이프스타일 보고서’에 따르면 응답자의 71%가 ‘식품 및 음료 구매 시 건강을 고려한다’고 답했다. 이는 코로나 4차 대유행으로 건강과 면역력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소비자들의 이런 관심은 코로나19 같은 바이러스 확산이 미래에 더욱 빈번해질 것이라는 전망과 함께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이외에 응답자의 38%는 ‘향후 의료비 지출을 늘릴 것’이라고 응답했다. 또한 52%는 ‘건강검진, 영양제 복용, 주기적 운동 등 건강 유지를 위한 예방차원의 활동을 하고 있으며 향후 건강과 웰빙 분야의 지출을 더욱 늘릴 것’이라고 답했다.
 
건강에 대한 관심은 기능식품에 대한 다양한 관심으로 확인되고 있다. 응답자의 64%가 적어도 매주 한 번씩 비타민C 같은 건강기능식품을 섭취하는 것으로 조사됐으며 67%는 식품 및 음료 구매 시 영양 라벨을 자세히 읽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매일 건강기능식품을 챙겨 먹는 여성과 매일 스트레스 해소 활동에 참가하는 여성의 비율이 62%와 65%로 남성(38%, 35%)보다 월등했다. 남성의 경우 응답자의 53%가 매일 운동하는 것으로 나타나 건강기능식품보다는 육체적 활동을 통한 건강 관리에 더 관심이 있었다.
 
베트남에서 인기 있는 건강기능식품은 여성을 중심으로 수요가 높은 미용 및 다이어트 보조제와 디톡스 제품이다. 중장년층을 중심으로 노화 방지 및 뼈 건강관리제품의 인기도 만만찮다. 최근에는 면역력 증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비타민C, 멀티비타민, 홍삼, 제비집 등의 인기도 급등하고 있다.
 
이에 따라 베트남 건강기능식품 시장이 급팽창하고 있는데 2016년 12억1000만 달러였던 것이 2021년에는 21억900만 달러로 5년 만에 73% 넘게 성장했다. 비타민 제품의 경우 작년 기준 11.6% 증가한 8억9000만 달러를 형성했고 홍삼 등을 포함하는 전통 건강보조제 역시 9% 성장한 5억4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두 분야는 2026년까지 9% 이상의 높은 연평균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운동과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활동과 관련된 지출도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위드코로나 정책과 함께 피트니스클럽이 재개장하면서 스포츠 의류와 운동용품 소비가 증가할 전망이다.
 
베트남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운동은 조깅과 자전거 타기, 요가 등이며 스트레스 해소 활동으로는 마사지, 요가, 명상 등이 있다. 이 중 요가는 운동과 스트레스 해소 활동 모두에 해당돼 조깅과 함께 베트남인들의 대표 건강 관리 수단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특히 시장조사업체 큐앤미가 최근 베트남의 주요 소비층으로 떠오른 2030 여성들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 따르면 여성의 54%가 ‘요가나 필라테스에 관심이 있다’고 밝혀 향후 레깅스 등 스포츠웨어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관광=베트남 전체 국내총생산(GDP) 중 관광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9.2%이며 2015년 이후 매년 증가세를 보였지만 코로나19로 외국인 입국 제한, 영업 중지 등의 정책이 시행되면서 심각한 타격을 입었다. 이에 따라 베트남 정부는 관광산업을 살리기 위해 국내 관광 활성화에 초점을 맞춰 자국민을 대상으로 관광 캠페인을 시작했다. 베트남의 대표 관광지에 국내 관광객이 몰리면서 캠페인은 성공한 듯 보였지만 바이러스 재확산으로 국내 관광 수요 역시 감소했다.
 
하지만 지난 11월부터 남부 푸꿕섬과 중부 호이안 등 주요 관광지를 중심으로 백신 여권 프로그램을 통해 외국인 관광객이 입국하면서 주요 관광지의 외국인 관광이 2년 만에 재개됐다. 최근에는 국제 항공편을 재개하는 등 본격적인 외국인 관광객 수용에 나섰다. 이에 따라 여행가방, 레저용품 등 여행 관련 제품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위드코로나 정책을 먼저 실시한 유럽연합(EU)과 미국 등지에서 베트남산 여행용 가방 수입이 증가했듯이 베트남에서도 여행용품 판매가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건설 인프라=베트남은 아세안(ASEAN)에서 인도네시아와 필리핀에 이어 3번째로 큰 178억 달러의 건설시장을 보유하고 있다. 2020년에는 코로나19에도 불구하고 5.7%의 견고한 성장률을 나타냈고 작년에는 이보다 높은 8.2%를 기록했다. 시장조사업체 피치솔루션에 따르면 베트남의 올해 건설시장은 경제 정상화와 세계 건설시장 호조에 따라 7.9%가 예상된다.
 
이 중에서도 베트남 정부의 적극적인 투자로 향후 인프라 산업은 10년간 5%대의 성장률을 유지할 전망이다. 정부의 강력한 의지에도 불구하고 코로나19로 인한 장기 봉쇄로 작년 3분기까지 베트남의 인프라 산업 지출액은 전년 대비 16% 감소했다. 
 
따라서 올해는 베트남 정부가 공격적인 투자를 통한 경제 회복에 나설 것으로 보여 건설ž인프라산업이 활기를 띨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중단 및 연기된 인프라 프로젝트가 재개되면서 시멘트, 페인트 등 건설자재 수요가 증가할 전망이다.
 
◆친환경=코로나19와 함께 찾아온 기후 변화는 베트남 소비자들로 하여금 환경 보호와 지속 가능한 소비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계기가 됐다. 유로모니터가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80%가 ‘기후 변화의 영향을 우려하고 있다’고 했고 63%는 ‘일상에서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외에 39%는 친환경 제품을 주기적으로 구매하고 있으며 46%는 친환경 포장제품 구매를 선호했다.
 
호찌민시 호아센대학의 판 뜨엉 옌 교수에 따르면 베트남의 주요 소비층으로 떠오르는 Z세대는 향후 사회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제품과 서비스를 소비할 가능성이 커 향후 친환경 제품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베트남 기업들도 친환경 트렌드를 적극 수용한 제품을 내놓고 있다. 2위의 유제품 생산기업 TH트루밀크는 우유팩과 플라스틱 용기 등 포장재를 모두 친환경 소재로 사용하고 있다. 또한 2030년까지 시중에 유통되는 제품의 포장재 100%를 수거하겠다는 목표를 발표했다.
 
프랜차이즈 커피 전문점을 중심으로 플라스틱 제품이 사라지고 있다. 커피 전문점의 플라스틱 빨대와 접시는 종이로 대체됐으며 하이랜드커피의 경우 비닐 포장재 대신 생분해 성분의 포장재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또 다른 커피 프랜차이즈 더커피하우스는 배출되는 플라스틱의 80%를 줄일 계획을 갖고 있다.
 
정부 차원의 친환경 정책도 속도를 내고 있다. 올해부터 개정 환경보호법이 발효되면서 환경 보호 정책, 제조업체의 환경 보호 책임, 환경영향평가 대상 사업 등에 대한 세부 규정이 마련됐다. 
 
또한 전력난 극복을 위해 태양광을 중심으로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개발에 적극 나서고 있으며 탄소배출 규제에 대한 세계적인 공감대를 바탕으로 전기차 인프라 확충에도 적극적이다. 베트남 완성차 업체 빈패스트는 작년 11월 미국 LA 오토쇼에서 전기차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모델을 공개한 데 이어 베트남 하띤성에 전기차 배터리 공장 건설 계획을 공개했다.
 
많은 오토바이에서 나오는 매연으로 높은 수준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기록하고 있는 호찌민시는 5개의 전기버스 노선을 2년간 시범 운영할 예정이다. 다낭시 역시 2017년 공용 충전소를 설치한 이후 향후 10년 동안 300여 개의 전기차 충전소를 추가 건설하는 등 친환경 인프라 개발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특히 첫 전기차 모델을 출시한 빈패스트는 빈홈, 빈컴센터 등에 2000개 이상의 전기차 충전소를 계획하고 있다. 전기차 충전소 등 친환경 인프라가 구축되면 대도시를 중심으로 전기 오토바이와 전기차 판매도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세부 사항

Liên h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