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노이 식품시장 트렌드는 ‘안전’과 ‘건강

 베트남은 열대, 아열대 및 온대 기후 지역에 걸쳐 있는 몬순 기후 때문에 일조량과 강우량이 많고 습도가 높은 편이다. 그래서 식품 보관과 이동이 매우 불리하다. 또한 식품 운송이 오토바이로 이뤄지는 경우도 많아 식품이 외부환경에 노출되는 시간이 길어지게 돼 쉽게 변질되는 경우가 부지기수다.

그러다 보니 대기업에서 생산하는 식품은 식품 규제 및 검사가 엄격한 데 반해 내수 소비를 목적으로 소규모 농가에서 생산하는 식품의 경우 출처가 불분명하거나 법적으로 금지된 물질과 과도한 항생제가 남용되고 있다. 베트남 농업농촌개발부는 이에 따라 작년 12월 식품안전 운영회의에서 중앙기관 및 지방조직 간 식품안전에 관한 정보 공유 강화를 강조했다. 또한 올해 개최될 운영위원회는 식품안전법에 대한 새로운 개정안을 발표할 예정이다.

베트남 보건부에 따르면 2018년 베트남 내 식품위생 적발사례는 11만6258건이며 이 중 4만1229건에 3만5000달러의 벌금이 부과됐다. 작년 12월 30일 하노이 시장 환경관리경찰은 메린 구의 냉동고에서 25톤, 21만5000달러 규모의 포장용 스모크 치킨 닭다리를 발견했는데 모두 한국 제품으로 라벨링돼 있었고 유통기한이 거의 1년이나 지난 식품이었다. 올해 1월 랑선성에서는 원산지증명서와 송장을 구비하지 않은 채 300kg의 냉동 치킨 및 돼지고기를 하노이로 운반하는 승객이 체포되기도 했다.

이와 관련, 팜칸퐁란 호치민 식품안전관리위원회 총책임자는 “그간 적발된 식품안전 위반사례가 많았지만 이를 처리할 법적 제재가 불충분한 상황이며 처벌로 이어지는 비율이 매우 낮아 식품 위반 문제를 통제하는 것이 어려운 실정”이라고 밝혔다. 베트남 보건부 통계에 따르면 작년 10월 말 기준 76건의 식중독 사례가 발생해 1950명이 병원을 방문했고 이 중 8명이 사망했다.

세계 언론이 베트남의 비위생 식품에 대한 내용을 거론하면서 베트남에서도 음식으로 인한 질병 및 식중독 증상에 대한 사례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2016년 4월 ‘오염 식품에는 아니라고 말하세요’라는 타이틀의 프로그램이 베트남 공영방송인 VTV1에 처음 편성됐는데 이 프로그램은 비위생적인 음식물 소비의 위험성을 강조하면서 안전식품 문화 정착의 필요성을 담은 7분 이내의 뉴스로 매주 월요일부터 금요일 7시 30분에 방송되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넬슨의 작년 상반기 설문조사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의 44%가 주요 관심사로 ‘건강’을 꼽았는데 이는 베트남에서 ‘근무 안정성’과 더불어 가장 큰 비중이다. ’건강’을 선택한 응답자 중 86%는 ‘식품 구입 시 자신 그리고 가족들의 건강을 위해 유기농 제품이나 친환경 제품을 구매할 의향이 있다’고 밝혔다. 또한 스태티스타의 2019년 유기농 제품 구매에 관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 중 62.7%가 ‘유기농 제품을 자주 구매한다’고 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18.5%는 ‘가끔 구매하는 편’, 13.5%는 ‘유기농 제품만 구매한다’고 답했다. 전혀 구매한 경험이 없거나 유기농 제품에 대해서 무지한 응답자는 1.5%와 1.2%에 그쳤다.

베트남에서는 1999년 ‘식품 안전 및 위생을 위한 운동’이 처음 시작됐고 이후 매년 식품위생에 관한 캠페인이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올해도 4월 15일부터 5월 15일까지 한 달간 ‘식품 생산에 대한 법을 엄격히 준수하자’라는 주제로 베트남 전국적 규모로 캠페인이 개최됐다. 람동성 내 달랏시 지방인민위원회는 작년 4월 특산품의 원산지를 추적하는 시스템을 구축했는데 각 제품에 고유한 일련의 바코드를 부착되면 시스템을 통해 소비자들은 제품에 대한 품질 및 진위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하노이에서도 2019년 4월 한 달 동안 식품 위생에 대한 캠페인이 진행됐다. 또한 하노이시 운영위원회는 시내 각 요식업체들의 식품 안전규정 위반 여부를 검사하기 위해 보건부, 산업부, 무역부, 농업개발부 등 4개 그룹으로 나눠 호안끼엠, 타잉쑤언, 롱비엔, 자럼 등의 관할지역에 파견해 조사를 시행했다. 롱안시에서도 동일한 주제로 캠페인이 개최됐으며 이곳 학생들은 식품 안전 메시지가 적힌 플래카드를 들고 도로 퍼레이드에 참여했다.

최근 불거진 식품안전 이슈와 코로나19로 베트남 소비자들의 비위생적인 음식에 대한 경계심이 높아지고 각종 식품 안전 규제를 강화하기 위한 움직임이 전국적으로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 식품 안전사고 사례의 증가는 가격에 민감한 소비자들의 소비 패턴에서 고가의 수입식품, 유기농, 친환경 제품의 수요를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어 이러한 베트남 소비자들의 소비 성향의 변화에 대한 우리 기업들의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해 보인다.

한국 기업들은 베트남 식품 시장 진출 및 홍보 시에 자사의 제품이 베트남 식품 안전 기준에 부합하는지 점검하고 제품의 생산-유통-판매가 투명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관리감독을 강화해야 한다. 특히 베트남 바이어 발굴 시 고가의 식품류에 대해서는 해당 제품의 국제 인증, 유기농 인증 유무가 진출 및 가격설정의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은 만큼 판매하고자 하는 제품의 목표 고객층과 가격 전략에 따라 인증 또한 핵심 진출 요건이다.

세부 사항

내수회복가능

 Ds-cataalog-scaled-e1598675921566.jpg

 

베트남 산업통상부는 지속적인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산업생산이 회복과 긍정적 성장의 조짐을 보였다고 평가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1~4월 산업생산지수는 전년 동가 대비 약 6%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제조업과 가공업이 6.3% 증가해 전체 증가율 가운데 5.5%p가량 기여한 것으로 평가됐다.
 
그러나 2024년 세계경제 전망은 낮은 성장, 높은 인플레이션, 다양한 지역에서 지정학적 긴장을 시사하고 있다. 베트남의 수많은 자유무역협정 참여와 개방 경제는 이러한 위험으로 인해 부정적인 영향을 받기 쉽다.
 
베트남 정부는 불확실한 글로벌 경제의 영향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내수 회복을 위한 여러가지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건설 경기 부양을 위해 주요 부동산 개발업체들에게 저렴한 사회주택 개발을 촉구하고 있다.
 
2023년 주택법은 정부 자금을 사용하지 않는 개발업체에게 토지 사용료 면제와 같은 사회주택 인센티브를 제공한다고 발표했다. 또한 부가가치세 및 소득세와 관련된 인센티브도 받는다. 개발업체는 사회주택에 개발에 시동을 걸고 있다. 
 
사회주택 프로젝트의 개발업체 이익은 10%로 제한되어 있지만 적용되는 인센티브로 인해 판매가를 평방미터당 800만~1000만 동(314~392달러)으로 저렴하게 판매 가능함으로써 소비자의 부담이 줄어 들고 은행 패키지 대출도 가능해진다. 
 
하노이 깟린역에서 하동역까지의 지하철 2호선 노선을 이용하는 승객의 수가 3년 전 운행을 시작한 이후 계속 증가하고 있다. 승객 중 47%는 통근, 45%는 학생, 나머지 8%는 기타 목적으로 이용하고 있다. 특히 정기권 승객은 일일 이용자의 평균 70%를 차지한다. 새로운 교통수단인 지하철 시대를 예고하고 있다. 
 
최근 설문조사에 따르면 중소기업들은 2024년 업황 전망이 긍정적일 것이라고 확신하고 있으며 젊은 기업주의 60%가 40세 미만으로 2024년에 시장에 새로운 제품, 프로세스 또는 서비스를 출시할 것이라고 답했다. 중소기업 77%가 전자상거래에서 매출의 10% 이상의 매출 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일본계 유통기업 이온베트남은 메콩강 삼각주 지역 첫 번째 쇼핑센터이자 전국 8번째 쇼핑센터인 롱안(Long An)성에서 공사를 착공했다. 인근 지역 주민들에게 다양한 제품과 서비스, 현대적인 쇼핑 시설을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노동보훈사회부의 보고서에 따르면 베트남 중산층은 2023년 13%에서 2026년까지 베트남 인구의 26%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부유층과 중산층의 급격한 증가는 소매시장에서 매출이 증가하며 내수를 진작할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이다. 
 
내수 회복의 선두는 F&B 시장이며 커피체인 매장은 증가 추세에 있다. 하일랜드(Highlands)는 전국적으로 777개의 매장을 운영하며 1위를 달리고 있으며 커피 로스팅 공장을 건설하고 있다. 푹롱(Phúc Long)은 윈마트(Winmart+) 매장을 중심으로 약 200개의 매장을 운영 중이다. 
 
G7커피로 유명한 ‘커피 왕’ 쭝위엔(Trung Nguyên)은 약 700개의 매장을 운영 중으로 중국과 미국으로 진출하고 있다. 글로벌 커피 체인 스타벅스(Starbucks)는 베트남 시장에 진출한 지 11년 만에 현재 108개 매장을 보유하고 있으며 꾸준한 확장 접근 방식으로 수익성에 목표를 두고 운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GS리테일이 운영하는 대한민국 대표 편의점 체인 GS25가 최근 베트남 진출 6년 만에 베트남에서 300호점을 오픈했다. GS25는 베트남에서 축적한 운영 노하우와 다목적 인프라 기능 강화에 주력하고, 2025년까지 500개 이상의 매장을 육성해 베트남 1위 편의점으로 거듭날 계획이다.
 
급성장하는 베트남 중산층에 주목하여 프리미엄 국제 브랜드가 베트남에서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한정판 디자이너 장난감을 판매하는 팝마트(Pop Mart)는 호치민시 7군 쇼핑몰에서 개장했다. 싱가포르 엄마와 아이용품을 판매하는 마더스워크(Motherswork)는 호치민시 2군 쇼핑몰에서 매장을 열었다. 
 
이미 진출한 무인양품(Muji), H&M, 유니클로(Uniqlo)와 같은 패스트 패션 분야 해외 유통업체도 확대 운영을 계획하고 있다. 관광업의 회복은 외국 브랜드가 베트남 진출을 고려하는 또 다른 요인이다. 2024년 4개월 동안 베트남을 찾은 해외 관광객은 620만 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68.3% 증가했다.
 
싱가포르 소유 UOB 은행 통화 거래부문 전무이사는 시장예측 및 투자전략 세미나에서 금리가 국제시장의 흐름에 따라 1%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며 은행예금은 다른 자산과 유사한 수익률을 가질 것이라고 말했다.
 
베트남 경제의 근간인 수출이 늘어나고 있으며 외국인 투자도 지속적으로 유입되고 있지만 글로벌 정세에 따라 환율과 예금금리에서 불확실성이 존재함에 따라 내수 회복이 다소 불안정할 수 있으며 올해 하반기 유통시장 활성화 계획에 걸림돌이 될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세부 사항

vươn lên trở thành 'trung tâm bán dẫn'

 

Gần đây, khi các nhà lãnh đạo Mỹ và Trung Quốc lần lượt đến thăm Việt Nam, cuộc cạnh tranh giữa Mỹ và Trung Quốc để giành lấy Việt Nam, đầu cầu chiến lược ở Đông Nam Á, ngày càng gay gắt. Đặc biệt, Mỹ thu hút sự chú ý khi quyết định thúc đẩy Việt Nam trở thành chuỗi cung ứng chất bán dẫn thế hệ tiếp theo thông qua quan hệ đối tác với Việt Nam trong chuyến thăm của Tổng thống Biden.
 
Với sự phát triển nhanh chóng của các công nghệ như truyền thông di động thế hệ thứ 5 (5G) và trí tuệ nhân tạo (AI), nhu cầu về chất bán dẫn ngày càng tăng và Việt Nam, nơi đặt cơ sở sản xuất toàn cầu của các công ty CNTT lớn như Samsung Electronics, đang nổi lên như một một cơ sở sản xuất chất bán dẫn thế hệ tiếp theo. Sự quan tâm ngày càng tăng ở Việt Nam vì nước này có số lượng lớn các mỏ đất hiếm, vốn là nguyên liệu thô chính cho chất bán dẫn.
 
Theo Cục Thống kê Quốc gia Việt Nam, ngành   điện tử và truyền thông, bao gồm cả chất bán dẫn, đã nổi lên là ngành xuất khẩu lớn nhất của Việt Nam trong vài năm và thị phần của ngành này tiếp tục mở rộng. Kim ngạch xuất khẩu của ngành điện tử và truyền thông Việt Nam năm 2022 là 114,3 tỷ USD, tăng 44% so với 79,6 tỷ USD năm 2018.
 
Trong ngành truyền thông điện tử, xuất khẩu điện thoại di động và linh kiện tăng dần từ 50 tỷ USD năm 2018 lên 59,3 tỷ USD năm 2022 do thị trường điện thoại di động toàn cầu suy thoái, nhưng xuất khẩu linh kiện điện tử và máy tính tăng gần gấp đôi so với USD. 29,6 tỷ đến 55,5 tỷ USD trong cùng thời kỳ. Nó đang nổi lên như một động lực xuất khẩu mới. Điều này cho thấy ngành điện, điện tử Việt Nam đang dần trở nên tinh vi hơn từ khâu lắp ráp thành phẩm đến bán thành phẩm, đóng gói, thiết kế.
 
Theo thống kê của chính phủ Hoa Kỳ, chất bán dẫn của Việt Nam nhập khẩu vào Hoa Kỳ lên tới 560 triệu USD tính đến tháng 2 năm ngoái, cao hơn 75% so với 320 triệu USD cùng kỳ năm trước. Xuất khẩu chất bán dẫn của Việt Nam sang Hoa Kỳ lớn thứ ba ở châu Á sau Malaysia và Đài Loan, đồng thời chiếm 11,6% thị trường nhập khẩu chất bán dẫn.
20240516_083123.jpg

 

Một thực tế rõ ràng là đầu tư trực tiếp nước ngoài (FDI) và xuất khẩu của Việt Nam sang Việt Nam đã tăng nhanh kể từ khi Việt Nam ký hiệp định thương mại với Hoa Kỳ vào năm 2000 và Quốc hội Hoa Kỳ phê chuẩn Quan hệ thương mại bình thường vĩnh viễn (PNTR) vào năm 2006. Về mặt này, điều đáng chú ý là xuất khẩu chất bán dẫn, vốn là cốt lõi của những thay đổi trong cơ cấu thương mại toàn cầu, sang Hoa Kỳ đang tăng lên đáng kể. Điều này có nghĩa là Việt Nam có thể trở thành trung tâm sản xuất và thương mại toàn cầu trong kỷ nguyên chuyển đổi kỹ thuật số, nơi AI có trình độ phát triển cao và nhu cầu về trung tâm dữ liệu, truyền thông và thiết bị máy tính ngày càng tăng nhanh.
 
Tất nhiên, dù có sự tăng trưởng đáng chú ý từ bên ngoài nhưng nền tảng của ngành bán dẫn Việt Nam không phải lúc nào cũng vững chắc. Chuỗi giá trị của Việt Nam, phân loại chuỗi giá trị bán dẫn thành thiết kế, sản xuất, đóng gói và thử nghiệm, chỉ giới hạn ở thiết kế, đóng gói và thử nghiệm, còn sản xuất chip bán dẫn phụ thuộc 100% vào nước ngoài. Các công ty duy nhất tham gia thiết kế chất bán dẫn ở Việt Nam là VHT và FPT, các công ty con của Tập đoàn viễn thông quân sự Viettel và các công ty liên quan đến đóng gói và thử nghiệm chỉ giới hạn ở các công ty nước ngoài hoặc liên doanh với công ty nước ngoài.
 
Các lĩnh vực thiết kế, đóng gói và thử nghiệm có ưu điểm là dễ dàng tham gia ban đầu vì chúng không yêu cầu đầu tư ban đầu lớn và chủ yếu dựa vào nhân lực. Mặt khác, hầu hết các thiết kế đều được gia công theo đơn đặt hàng của đối tác nước ngoài và việc gia công này chiếm trên 80% lĩnh vực thiết kế công nghiệp bán dẫn của Việt Nam. Cho đến nay, hơn 40 công ty từ các nước lớn như Hàn Quốc, Mỹ, Nhật Bản, Trung Quốc, Đài Loan, Ấn Độ đã đầu tư vào ngành bán dẫn Việt Nam và các công ty hàng đầu thế giới như Intel, Samsung đều có nhà máy sản xuất tại Việt Nam. vùng đất.
 
Chuyến thăm cấp nhà nước Việt Nam của Tổng thống Mỹ Biden vào tháng 9 năm ngoái được coi là đã mở ra một kỷ nguyên mới trong hợp tác kinh tế mở rộng giữa hai nước. Tháng 12 năm đó, Thủ tướng Việt Nam Phạm Minh Chin đã gặp Jensen Huang, Chủ tịch kiêm Tổng giám đốc Nvidia của Hoa Kỳ, để bàn về hợp tác trong lĩnh vực bán dẫn của Việt Nam. Tại sự kiện này, các cuộc thảo luận đã được tổ chức về việc thành lập cơ sở sản xuất của NVIDIA tại Việt Nam và thu hút nhân tài toàn cầu đến Việt Nam, đồng thời cuối cùng là các kế hoạch xây dựng và phát triển hệ sinh thái bán dẫn và AI, nuôi dưỡng các công ty khởi nghiệp cũng như thiết kế và phát triển siêu máy tính tại Việt Nam. đã được biết đến.
 
Đến nay, kế hoạch đầu tư vào Việt Nam của nhiều hãng bán dẫn toàn cầu đã lộ diện.
 
Hanmi Semiconductor của Hàn Quốc, nhà thiết kế, phát triển và sản xuất trong ngành thiết bị bán dẫn, đã công bố kế hoạch vận hành chi nhánh Việt Nam tại tỉnh Bắc Ninh vào cuối tháng 5 năm ngoái và Infineon Technology (Đức), công ty giải pháp bán dẫn cho hệ thống điện. và Internet of Things (IoT), đã tăng khối lượng kinh doanh trong cùng thời gian. Chúng tôi đã công bố kế hoạch mở rộng và thành lập nhóm phát triển. Synopsis (Mỹ) công bố kế hoạch xây dựng trung tâm ươm tạo và thiết kế chất bán dẫn hợp tác với chính quyền Khu công nghệ cao TP.HCM và Victory Giant Technology (Trung Quốc), công ty sản xuất linh kiện   điện tử và chất bán dẫn, dự định xây dựng nhà máy tại TP. Tỉnh Bắc Ninh, Việt Nam, với tổng vốn đầu tư là 400 triệu USD.
 
Trong khi đó, Việt Nam được biết có trữ lượng đất hiếm 220.000 tấn, rất cần thiết cho sản xuất chất bán dẫn, lớn thứ hai thế giới sau Trung Quốc. Trữ lượng bôxit nhôm, một sản phẩm công nghiệp khác khoảng 5,8 tỷ tấn, lớn thứ hai thế giới sau Guinea 7,4 tỷ tấn. Trữ lượng quặng đồng của mỏ Xin Cuen, tỉnh Lào Cai ước tính khoảng 100 triệu tấn.
 
Theo thống kê từ cộng đồng vi mạch Việt Nam, hiện có khoảng 5.500 kỹ sư thiết kế chip đang hoạt động tại Việt Nam. Được biết, Chính phủ Việt Nam, trong đó có Thủ tướng Phạm, rất quan tâm đến việc thúc đẩy hợp tác đầu tư và phát triển công nghiệp của các công ty toàn cầu tại Việt Nam trong lĩnh vực bán dẫn. Bộ Kế hoạch và Đầu tư Việt Nam và Bộ Thông tin và Truyền thông có kế hoạch đào tạo 50.000 kỹ sư vào năm 2030 để thúc đẩy ngành công nghiệp bán dẫn.
 
Đà Nẵng, một thành phố ở miền Trung Việt Nam, cũng đang theo đuổi nhiều chương trình đào tạo nguồn nhân lực trong lĩnh vực chip bán dẫn. Chính quyền thành phố Đà Nẵng cùng với các tổ chức liên quan ở nước ngoài đang nỗ lực thu hút các công ty và chuyên gia có thể giúp đào tạo nguồn nhân lực cho chip bán dẫn, đồng thời một số trường đại học trong nước đang dẫn đầu xu hướng phát triển các khoa giáo dục vi mạch và   điện tử hoặc các chương trình giảng dạy liên quan. tôi đang làm việc đó
 
Phó giáo sư Phạm Hồng Hải, Phó Hiệu trưởng Trường Đại học Bách khoa Thành phố Đà Nẵng cho biết: “Để đáp ứng nhu cầu nhân lực của ngành chip bán dẫn Việt Nam, chúng tôi đang hợp tác với các công ty, chuyên gia trong và ngoài nước để chuẩn bị các khóa đào tạo ngắn hạn, và chúng tôi hy vọng có thể đào tạo được 150 đến 200 kỹ thuật viên mỗi năm.” Ông bày tỏ mong đợi của mình.
 
Ngành bán dẫn là ngành có tiềm năng tăng trưởng lớn nhất tại Việt Nam. Với nhu cầu toàn cầu mạnh mẽ về các công nghệ mới như chuyển đổi kỹ thuật số, IoT và AI, Việt Nam, quốc gia đang nổi lên như một cơ sở sản xuất chất bán dẫn toàn cầu, có tiềm năng trở thành quốc gia hưởng lợi lớn nhất từ ​​việc tái tổ chức chuỗi cung ứng toàn cầu. Ngành công nghiệp bán dẫn dự kiến ​​sẽ trở thành động lực tăng trưởng mới cho Việt Nam, quốc gia đã phát triển nhanh chóng với tư cách là cơ sở sản xuất của 'Trung Quốc tiếp theo' sau khi bình thường hóa quan hệ ngoại giao với Hoa Kỳ.
 
Gần đây, đã có cuộc thảo luận tích cực trên khắp thế giới về ‘Altasia’, vượt ra ngoài Trung Quốc tiếp theo. Altasia là một từ mới được cơ quan truyền thông kinh tế Anh The Economist đề xuất vào tháng 2 năm ngoái và đề cập đến một hệ sinh thái chuỗi cung ứng mới sẽ thay thế Trung Quốc.
 
Nó bao gồm 14 quốc gia bao gồm Hàn Quốc, Nhật Bản, Đài Loan, 9 quốc gia ASEAN ngoại trừ Myanmar, Ấn Độ và Bangladesh. Trong trường hợp không có một quốc gia nào thay thế Trung Quốc, Hàn Quốc, Nhật Bản, năng lực công nghệ của Đài Loan, chức năng trung tâm tài chính và hậu cần của Singapore, Điều này. có nghĩa là có thể hình thành một hệ sinh thái chuỗi cung ứng thay thế Trung Quốc bằng cách kết hợp các lợi thế so sánh của Việt Nam và các nước Đông Nam Á khác như lao động giá rẻ và tài nguyên khoáng sản.
 
Đông Nam Á đang nổi lên như một lựa chọn thay thế hùng mạnh cho Trung Quốc, có thể hình thành chuỗi giá trị mới với các nước có công nghệ bán dẫn tiên tiến như Hàn Quốc, Mỹ, Nhật Bản, Đài Loan. Đông Nam Á hiện chiếm 30-40% sản lượng bao bì vi mạch toàn cầu. Tuy nhiên, việc liên kết với hệ sinh thái bán dẫn giữa các nước Đông Nam Á là rất cần thiết. Xét về tiềm năng sản xuất chất bán dẫn, Malaysia, Singapore, Thái Lan dẫn đầu về nền tảng công nghệ và cơ sở hạ tầng, trong khi Việt Nam có lợi thế về chi phí thấp và nguồn nhân lực dồi dào. Tuy nhiên, việc tiết kiệm chi phí ngày càng giảm do áp dụng mức thuế tối thiểu toàn cầu và tình trạng thiếu lao động lành nghề là những thách thức mà Chính phủ Việt Nam phải vượt qua.
 

Trung tâm Thương mại KOTRA Đà Nẵng, nơi đưa tin này, cho biết: “Khi một hệ sinh thái công nghệ cao mới dựa trên chất bán dẫn đang được hình thành ở Đông Nam Á, chúng tôi đang xem xét kỹ lưỡng xem Việt Nam sẽ chiếm giữ vị trí nào trong hệ sinh thái này, nó sẽ mang lại những cơ hội gì cho ông nhấn mạnh: “Đây là thời điểm cần thiết.

 

세부 사항

베트남전자상거래

 베트남은 지난해 인구가 1억 명을 넘어선 것으로 추정되는 큰 시장이다. 유엔 인구기금(UNFPA)에 따르면 베트남 인구 중 15~64세 생산가능인구가 68%, 15세 미만 영유아와 청소년이 22%를 차지한다. 소셜 커머스가 새로운 소비수단으로 급부상하는 배경이다.

 
1.거대한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이용자
 
지난 몇 년 동안 베트남의 스마트폰과 인터넷 보급률이 높아지면서 SNS는 베트남인들의 일상생활에 스며들었다. 젊은 인구 구성 덕분에 디지털 기기에 빠르게 익숙해졌고 SNS를 통해 고도로 연결된 소셜 미디어 문화도 생겨났다. 2022년 기준 베트남의 소셜 미디어 사용자는 7229만 명으로, 세계에서 소셜 미디어 사용자가 가장 많은 10개국 중 하나다.
 
소셜 미디어 등장 이후 SNS는 친구, 가족과의 연락 수단을 넘어 기업과 브랜드가 국내외 소비자에게 다가가기 위한 강력한 도구로 역할이 확장됐다. 베트남처럼 소셜 미디어가 활성화된 시장에서 소셜 커머스, 인플루언서 마케팅 등과 관련된 전략은 시장 선점에 필수 요소가 됐다.
 
시장조사업체 OOSGA에 따르면 2022년 베트남의 월 평균 SNS 이용자는 7610만 명이며 SNS의 인기와 활용도가 계속 증가하고 있다. 베트남 인터넷 사용자의 89.8%는 적어도 하나의 SNS 플랫폼을 사용하고 있다. 사용자 중 여성의 비율이 50.6%, 남성은 49.4%였다.
 
2. 부동의 1위 페이스북
 
페이스북과 잘로, 유튜브는 베트남에서 가장 인기 있는 소셜 미디어 플랫폼이다. 세 플랫폼의 사용률이 90% 이상을 꾸준히 유지하고 있다. 이 중에서도 페이스북이 가장 인기가 많아 지난해 1분기 인터넷 사용자의 약 95%가 페이스북을 사용했다.
 
현지 메신저 앱 잘로는 93%의 사용률로 유튜브를 능가하는 소셜 미디어로 자리 잡았다. 유튜브는 90%로 잘로에 미치지 못했다. 틱톡은 최근 베트남에서 이용자 증가율이 가장 높은 소셜 미디어 중 하나다.
 
시장조사업체 디시전랩이 베트남의 인터넷 사용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1분기 기준 페이스북은 모든 세대에서 가장 인기 있는 SNS 플랫폼이었다. 
 
잘로는 X세대와 Y세대가 두 번째로 많이 사용하는 채널이었는데 사용률은 각각 93%와 94%였다. Z세대는 잘로 사용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고 인스타그램, 틱톡, 핀터레스트 등 해외 플랫폼을 많이 이용했다. 이 중 틱톡은 SNS 사용자 중 연령대가 어린 Z세대에서 성장 모멘텀이 확실하다는 평가다. Z세대 조사 대상자 중 77%가 틱톡을 사용했다.
 
3. 틱톡과 잘로의 위용               다운로드 (1).jpgzalo바로가기

 

 
베트남에서 가장 인기 있는 소셜 미디어 플랫폼은 페이스북이지만 틱톡은 10대와 젊은 성인 사이에서 사용이 급증하고 있다. 지난 몇 년 동안 틱톡 사용률은 15%에서 거의 60%로 증가했다. 다른 동남아시아 국가들에서도 이와 비슷한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현재 베트남 내 틱톡 사용자는 4960만 명이다. 남성 사용자가 45.7%, 여성은 54.3%다.
 
잘로는 약 10년 전 베트남 기업이 개발한 메신저 앱으로, 현지인들이 가장 선호하며 보급률은 92%다. 잘로는 중국의 위챗과 비슷하게 슈퍼 앱으로 진화하고 있으며 베트남 정부의 지원에 힘입어 현지 소셜 미디어 지형에서 우위를 점할 가능성이 높다.
 
잘로는 2022년 말 현재 7400만 명의 사용자를 보유하고 있다고 밝혔다. 당시 베트남 인구가 9946만 명임을 고려하면 ‘메이드 인 베트남’ 메신저 사용자가 전체 인구의 74%가 넘는 것으로 추정된다.
 
소셜 커머스 고객의 49%가 잘로를 이용해 페이스북 다음이었다. 많은 소매업체가 고객과의 소통창구로 잘로를 활용하면서 코로나19 기간 중 상당한 성장세를 이뤘다. 베트남의 주요 소매업체 빅씨는 잘로를 통해 고객이 주문, 배송까지 모두 신청할 수 있도록 해 성공을 거뒀다.
 
4. 새로운 전자상거래 플랫폼의 등장
 
소셜 미디어는 사람들을 연결하는 본래의 기능 외에도 정보의 원천,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창구, 광고 플랫폼, 심지어는 판매 플랫폼으로도 여겨진다. 특히 베트남에서는 소셜 미디어 활용도가 높아 인플루언서 마케팅, 소셜 커머스 등에 기반한 전략이 필요하다.
 
인플루언서 마케팅은 팔로워, 구독자 등 다수와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이들에게 영향력을 행사하는 인플루언서를 활용한 마케팅이다. 기업은 이들을 활용해 소비자 행동에 영향을 주고 소셜 플랫폼에서 유명세를 탄 제품을 구매하도록 부추긴다.
 
2020년 10월 라쿠텐인사이트가 소셜 미디어 인플루언서를 대상으로 한 조사에 따르면 소셜 미디어에서 적어도 한 명의 인플루언서를 팔로우하는 베트남인의 비율이 84%였으며 이 중 77%는 ‘인플루언서의 광고 때문에 물건을 구매한 적이 있다’고 보고했다.
 
소셜 커머스는 이런 플랫폼의 특성을 활용해 소셜 미디어를 실시간 판매 및 구매 채널로 변화시켜 거래 참여자 간의 직접적인 상호작용을 지원한다. 이 같은 새로운 상거래 형식이 탄탄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현재 베트남에서 가장 높은 보급률을 기록 중인 온라인 쇼핑 플랫폼 중 하나다. 소셜 커머스 시장의 성장은 베트남 소비자들 사이에서 소셜 미디어가 미래의 원스톱 숍으로 성장할 가능성을 보여준다.
 
5. 존재감 커지는 소셜 커머스
 
디시전랩에 따르면 온라인 쇼핑을 위해 사용하는 소셜 커머스 플랫폼 중 선두는 단연 페이스북이다. 페이스북은 소셜 커머스 이용률 94%를 자랑하며 소셜 커머스 시장에 진입하고자 하는 이들의 목적지가 됐다. 2위는 잘로로 49%였다. 이외에 젊은 이용자 사이에서 성장 가능성이 높은 인스타그램과 틱톡이 있다. 디시전랩에 따르면 유튜브는 SNS보다 엔터테인먼트 기능에 치중했다고 판단해 조사에 포함하지 않았다.
 
최근 한 조사에 따르면 베트남 인터넷 사용자 3분의 1 이상이 소셜 미디어를 이용하는 이유로 ‘구매할 제품을 탐색하기 위해’라고 응답했다. 이에 따라 소셜 미디어에서 제품을 판매하는 기업이 늘고 있다. 심지어 일반 전자상거래 사이트와 기업 웹사이트보다 소셜 커머스를 통한 주문 고객이 더 많은 기업도 있다.
 
코로나19 이전만 해도 베트남에서 소셜 커머스는 주로 젊은 여성들 사이에 옷과 개인관리제품을 사는 데 많이 활용되는 채널이었다. 그러나 록다운을 거치면서 최근에는 필수재는 물론 일반 소비재 구매를 위해 소셜 커머스로 눈을 돌리는 사람이 많아지면서 패션과 화장품을 넘어 과자와 가전제품에 이르기까지 구매 물품이 다양해졌다. 
 
예를 들어 베트남 시골에서는 페이스북을 통한 물품 구매가 2021년 온라인으로 구매한 전체 일상소비재(FMCG)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이는 베트남의 SNS 플랫폼이 서구에서의 활용 형태와 유사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는 뜻이다. 베트남에서는 잘로를 제외하면 해외 SNS 플랫폼이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데 이 또한 서구권과 패턴이 유사하다.
 
6. 소셜 커머스 상품 유형과 트렌드
 
패션과 화장품은 소셜 커머스 채널에서 가장 인기 있는 상품 카테고리다. 하지만 자주 구매하는 상품은 세대별 편차가 크다. X세대 소비자는 다른 연령대보다 전자제품과 가전제품을 더 많이 구매하고 패션, 과자, 화장품은 적게 구매했다. 
 
반면 X세대보다 젊은 소비자 그룹은 패션과 화장품에 집중하는 경향을 보였다. 플랫폼을 통틀어 패션과 화장품은 인스타그램 라이브, 전자제품은 틱톡에서 인기가 많았다. 잘로는 가전제품을 살 때 가장 많이 사용하는 앱이었다.
 
한편 소셜 커머스가 기업이 고객에게 접근할 수 있는 적극적이고 비용 효율적인 채널로 인식되면서 베트남 언론들은 소셜 커머스가 큰 성장을 이룰 것으로 예상되는 3대 소매업 트렌드 중 하나라고 보도하기도 했다.
 
최근 컨설팅 기업 베인앤컴퍼니의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베트남의 전자상거래 거래액 220억 달러 중 소셜 커머스의 비중이 65%였다. 또한 시장조사 플랫폼 리서치앤마켓닷컴에 따르면 베트남의 소셜 커머스 산업은 지난해 성장률 45.7%, 시장 규모 33억7020만 달러로 추정됐다.
 
7. 소셜 커머스 시장이 유망한 이유
 
베트남에서 소셜 커머스의 인기는 모바일 인터넷 보급 확대, 소셜 미디어 참여 증가 등으로 인해 가속화되고 있다. 베트남 사용자의 일 평균 소셜 미디어 사용량은 2.47시간이다. 이들이 소셜미디어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할수록 맞춤형 광고를 통해 자신도 모르게 쇼핑에 참여할 가능성이 크다. 
 
또한 베트남 사람들은 공동체에 속하고자 하는 욕구가 강하고 유대감을 중시한다. 소셜 커머스 판매자들은 거래뿐만 아니라 사회화를 위해 소셜 미디어를 사용하며 특히 P2P(개인 간 거래) 서비스에 열광한다.
 
대부분의 소셜 커머스 플랫폼은 최소 또는 사전 투자가 필요하지 않아 저소득층뿐만 아니라 여성을 위한 더 많은 일자리 창출에 도움을 준다. 큰돈을 들이지 않고 사업을 시작하려는 현지 여성이나 저소득층이 자신의 가족, 친구 그리고 사회적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재정적으로 독립할 수도 있다.
 


이 소식을 전한 KOTRA 무역관은 “베트남에서 각종 소비재는 물론 고가의 가전, 가구, 전자제품까지 다양한 제품이 소셜 커머스를 통해 거래 중임을 감안할 때 우리 기업들은 소셜 커머스를 마케팅은 물론 적극적인 판매창구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면서 “플랫폼마다 이용 연령대, 구매 제품 등에 차이가 있으므로 베트남 진출을 희망하는 한국 기업은 치밀한 분석을 통해 플랫폼을 선별하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세부 사항

소피베트남

 베트남 시장이 한국 셀러들의 블루오션으로 떠오르고 있다고 쇼피코리아가 밝혔다.

 
이커머스 플랫폼 쇼피코리아에 따르면 지난 9월 9일 진행된 쇼피 대규모 할인 행사 ‘9.9 슈퍼 쇼핑데이’에서 쇼피가 진출한 전 마켓 중 베트남이 주문수 1위, 매출액 2위를 달성하며 빠르게 성장하는 시장으로 주목받고 있다.
 
지난해 베트남 이커머스 시장 규모는 164억 달러(한화 약 22조 원, 베트남 전자상거래 백서)로 5년 만에 약 3배가량 커졌으며, 미국 시장 조사업체 e마케터(eMarketer)는 전자상거래 시장의 가파른 성장세로 인해 베트남을 ‘세계 5대 전자상거래 성장 국가’로 꼽기도 했다. 
 
현지 인터넷 사용자 중 약 75%가 이커머스를 통해 쇼핑하며 1인당 연간 평균 구매액은 전년 대비 두 자릿수 이상 증가해 구매력 또한 높아지는 추세다. 
 
데이터 및 분석 플랫폼 data.ai에 따르면 쇼피는 최근 3년 연속 베트남 1위 쇼핑앱을 기록했으며, 2위 플랫폼과 월간 활성 방문자 수(MAU)가 5배 이상 차이 날 정도로 현지에서 가장 많은 고객이 이용하고 있다. 
 
쇼피 베트남에서 한국 제품이 가장 많은 판매를 보인 카테고리는 ‘뷰티’다. 올해 1월부터 8월까지 누적 뷰티 부문 주문 건수는 지난해 동기 대비 90% 상승했다. 
 
이어 ‘취미’(K팝 기획상품) 부문과 ‘푸드’ 부문 모두 주문 건수가 세 자릿수 이상 성장하며 뒤를 이었다. 특히 취미 부문은 올해부터 객단가가 높은 K팝 앨범 판매가 가능해지면서 1월~8월까지 누적 주문 건수는 109%, 매출은 278%씩 뛰며 급성장한 것으로 보인다.
 
베트남 마켓에서 K제품이 인기를 끌면서 한국 셀러들도 눈에 띄는 성과를 거두고 있다. 
 
뷰티 카테고리의 경우 ‘코스알엑스’, ‘썸바이미’ 같은 기존 톱 셀러를 포함해 초기 입점 브랜드의 활약도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신규로 입점한 국내 코스메틱 브랜드 ‘토리든’과 ‘달바’는 올해 1월~8월 주문 건수가 전년 동기 대비 각 28배, 20배에 육박하는 성장세를 기록했다.
 
베트남에서 K뷰티가 잘 나가는 이유는 올리브영이 해시태그된 숏폼 컨텐츠들의 노출과 연관이 깊다고 한다. 올리브영이 이미 외국인 관광객들 사이에서 K뷰티 쇼핑의 명소로 유명해진 장소이기 때문이다.
 
특히 스킨케어가 강세인데, 이는 현지 소비자들이 메이크업 제품보다 스킨케어 제품에 대해 고품질 브랜드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어 퀄리티가 보장된 K뷰티 제품을 찾는 것으로 보인다. 한국국제교류문화진흥원에 따르면 베트남 사람들은 K뷰티를 선호하는 가장 큰 이유로 우수한 효과와 품질(54.6%)을 꼽은 바 있다. 
 
K뷰티를 포함해 앞으로도 베트남 내 K제품 수요는 꾸준히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쇼피 내부 데이터에 따르면 현지에서 한국 제품의 소비를 견인하는 지역은 수도인 하노이와 호치민으로 나타났다. 베트남 소비 유행은 두 대도시를 중심으로 먼저 시작되어 다른 지역으로 전파되는 것이 보편적이다. 
 
트렌드에 민감하면서 한류 영향을 많이 받고 있는 20대 초반~30대 중반의 젊은 여성들이 주요 고객층인 점도 긍정적인 요소다.
 
베트남 마켓의 성장 가능성과 현지 내 K뷰티, K팝 제품 인기에 쇼피 플랫폼 차원에서도 베트남에 입점한 한국 셀러 대상으로 바우처나 캐쉬백 형태로 혜택 프로모션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최근에는 라이브 스트림을 활용해 뷰티를 포함한 다양한 카테고리에서 셀러 성장 사례를 만들고 있다.
 
또한 쇼피코리아는 베트남어를 못 하는 한국 셀러들도 샵을 수월하게 운영할 수 있도록 전담 팀을 통해 고객 응대(CS) 및 상품명, 상품 소개 번역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베트남 마켓 진출 시에는 모국어를 사용하는 현지 고객을 위해 영어 외에도 베트남어를 필수로 지원해야 한다. 
 
이와 함께 베트남은 다른 마켓보다 상대적으로 객단가가 낮은 편으로 가격 경쟁력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권윤아 쇼피코리아 지사장은 “동남아 주요 마켓인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필리핀 대비 상대적으로 국내 셀러 수가 적은 베트남 시장은 앞으로 더 큰 성장이 예상되는 블루오션”이라며 “셀러들의 비즈니스 성장에 적합한 조건을 갖춘 마켓인 만큼 쇼피코리아도 판매자들을 적극 지원하고 있으니 지금 바로 쇼피와 함께 베트남 시장에 도전해보시길 바란다”고 전했다.

 

 

 

세부 사항

베트남유통

 ASEAN+3 거시경제연구소(AMRO)는 2023년 베트남 GDP 성장 전망을 이전 4.4%에서 최근 4.7%로 상향 조정했다. ASEAN 10개 국가와 중국, 일본, 한국을 포함하는 지역에서 3개국이 상향조정됐다. 베트남과 함께 일본(1.4%에서 1.9%로 상향), 브루나이(Brunei)는 1%에서 1.1%로 상승했다.

 
베트남의 2023년 GDP 성장 전망은 AMRO가 4.7%로 상향했음에도, ADB(5.8%), UOB(5.2%), Standard Chartered 은행(5.4%) 등 다른 국제기구의 전망보다 낮았다. 이러한 불일치는 베트남이 2023년 GDP 연간 성장률 목표인 6.5%를 달성하는 데 심각한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나타낸다.
 
베트남 동에 대한 미국 달러의 상당한 평가절상은 달러를 수입하고 차입하는 많은 기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반면, 수출로 외화 매출을 얻는 기업은 이익을 얻었다. 달러 강세로 인한 환율의 상승은 많은 산업에 영향을 미쳤다.
 
이익 대부분이 수출에서 나오는 수산물, 고무, 식품산업은 달러화 강세로 가장 큰 수혜를 입을 것으로 평가된다. 기술산업의 경우 아웃소싱과 소프트웨어 수출 활동으로 혜택을 받기 때문에 유리하다. 섬유산업의 경우 원자재를 해외시장에서 수입한 후 가공하여 수출하기 때문에 산업에 미치는 영향이 거의 없다.
 
주요 은행의 12개월 예금금리가 코로나 이전 기간보다 낮은 연간 5.5% 미만으로 급락하면서 상업은행의 저축 금리가 계속 하락하고 있다. 베트남 4대 국영 상업은행 중 하나인 비엣콤벵크(Vietcombank)의 최고 예금금리는 연 5.3% 수준이 됐고, 다른 3개 국영은행도 9월 조정 이후 금리를 연간 최대 5.5%로 인하했다. 
 
9월 말 기준 신용증가율은 5.73%에 그쳐 전년 동기 증가율의 절반에 불과하고 연간 목표치의 3분의 1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전문가들은 금리가 낮아지면 예금자들이 더 나은 수익을 얻기 위해 주식이나 부동산과 같은 대체 투자 채널을 탐색하도록 장려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베트남은 2023년 3분기까지 9개월 동안 890만 명의 해외 방문객을 맞이했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이러한 실적은 2019년 같은 기간 방문객 수의 69%에 해당한다. 이 기간 국내 방문객은 9300만 명에 달했으며 20% 늘어난 실적이다. 
 
호치민시 거리의 상가 임대료는 2023년에 급락했지만, 여전히 경제난으로 임차인 부족으로 문을 닫는 곳이 많다. 최근 세입자를 찾을 수 없어 수개월간 방치한 후 코로나19 이전보다 20~35% 정도 낮은 가격으로 임차인을 구하고 있다. 
 
집주인은 또한 임차인이 보증금을 낮추도록 요구함에 따라 3~6개월에서 1~2개월로 낮추었다. 일부는 무료 인터넷이나 수도요금을 제공하기도 한다. 부동산 분석가에 의하면 전염병으로 인해 많은 상점이 문을 닫았고 2023년 경기침체로 인해 운영을 재개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또 다른 문제는 상품을 구매하려는 소비자가 온라인쇼핑으로 전환하고 있기 때문에 오프라인 매장의 필요성이 줄어들고 있다고 분석했다. 지금부터 2024년 2분기까지 임대료가 2019년보다 약 20% 정도 낮아질 것이라고 예측했다.
 
부동산 컨설팅 회사에 따르면 호치민시 사무실의 공실률은 2023년 3분기에 18%에 도달했으며 임대료는 분기별로 0.2~2.2% 하락했다고 말했다. 4분기에 신도시 신규 공급으로 인해 사무실 공실률이 20% 이상으로 증가하여 12년 만에 최고치가 될 것으로 예측했다.
 
자동차 제조업체들은 침체한 시장에서 모든 잠재 소비자를 유인하기 위해 낮은 가격 전략을 전개하고 있다. 특히 현대 Palisade와 Mazda CX-5는 동급의 다른 차량보다 25% 저렴한 가격에 차량 등록비를 지원하는 정책을 구사하고 있다. 
 
iPhone 15 판매를 시작한 지 일주일 후, 대부분의 소매점에서는 천연 티타늄 Pro 및 Pro Max와 같은 인기 버전이 품절되었다. iPhone 15 Pro Max 1TB의 가격은 4699만9000동으로 기준환율 1원당 18.12동을 적용하면 258만 원이다. 이전 모델만큼 많이 팔리지는 않지만, 경기침체임을 감안하면 고가에도 잘 팔리고 있다.
 
베트남 증권예탁청산공사(VSDC)에 따르면 국내 투자자들은 9월에 172,695개의 신규 증권거래 계좌를 등록해 월별 등록 계좌 수가 2번째로 높았다. 9월 기준 국내 개인투자자의 전체 계좌는 776만 개를 넘어 인구의 8%를 점했다.
 
롯데쇼핑이 하노이 서호(West Lack) 지역에서 9월 22일 그랜드 오픈한 매장에는 32개의 플래그샵 스토어를 비롯한 223개 업체가 입주했다. 온라인쇼핑과는 차별화된 서비스로 인해 일평균 2만 명이 방문하는 등 가족과 커플이 체류하며 소비하는 새로운 유통 트렌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글로벌 경기침체의 영향으로 베트남 경제도 영향권에 있다. 소비자는 불확실한 시장 상황으로 소비를 억제하고 있지만 차별화된 다양한 마케팅으로 극복하는 추세에 있다. 구매력이 높은 젊은 소비계층은 가치가 있는 지출에는 비교적 여유가 있는 점에 착안하여 소비자의 니즈를 끌어내는 전략이 필요해 보인다. 


 

 

 

 

세부 사항

K-스낵 '현지화 전략'해외서 더 잘 나간다

 국내 식품업계가 'K스낵' 인기에 힘입어 해외 시장 공략을 가속하고 있다.


맛부터 원료, 마케팅까지 철저한 현지화 전략으로 현지 소비 트렌드에 맞춰 신제품을 개발하고 현지 공장 설립 등 과감한 투자 등을 바탕으로 해외 시장 매출이 국내를 넘어서는 등 해외로 사업 영역을 넓히고 있다.

◆오리온, '꼬북칩'으로 스낵의 본고장 미국 공략

오리온은 국내보다 해외 매출 비중이 더 높다. 중국을 필두로 해외에서 호실적을 이어가고 있으며 베트남을 비롯해 스낵의 본고장 미국에서도 'K스낵' 대표 브랜드로 거듭나고 있는 등 전세계로 뻗어나가고 있다.

올해 상반기 오리온의 연결기준 매출액은 1조3777억원으로 전년 동기대비 대비 7.6% 성장했다. 법인별로는 중국이 5616억원으로 전체의 41%를 차지한다. 한국이 5214억원으로 38%, 베트남 2010억원(15%), 러시아 998억원(7%) 등이다. 
         
오리온은 1993년 베이징사무소를 개설하고, 1997년 베이징 인근 허베이성 랑팡에 현지 생산기지를 구축하며 중국 공략을 본격화했다. 2010년에는 광저우 지역에 현지 생산시설을 추가로 세우면서 중국 남부 시장에 대한 공급력을 더욱 확대했다.

2013년 국내 식품업계 최초로 중국시장에서 매출 1조 시대를 여는 등 놀랄 만한 성장을 기록했다. 2014년에는 셴양공장을 가동해 동북3성 진출에 박차를 가했다.

중국은 넓은 대륙 국가이면서 긴 역사를 가지고 있어 다양한 민족과 소비계층이 함께 존재하며, 식품의 경우에도 음식에 대한 기호, 성향 등이 지역별로 다르다.

맛 개발에 있어서도 철저히 현지화 전략을 펼쳤다. 특히 중국 사람들이 토마토를 활용해 스튜를 만들어 먹거나 얇게 썰어 구워먹는 데 착안, 철저한 소비자 조사와 연구개발 활동을 통해 '오!감자 토마토맛', '예감 토마토맛' 등을 출시했다.

이 같은 노력에 힘입어 오!감자와 예감은 2022년 각각 2500억원, 1400억원의 매출을 올리며 국민 스낵으로 자리 잡고 있다.

 

 
 
[서울=뉴시스] 꼬북칩. (사진=오리온 제공)

1995년 대표 제품인 초코파이를 수출하며 베트남에 첫발을 내디딘 오리온은 2006년 호치민 미푹공장을 설립해 베트남 진출을 본격화했다. 2009년엔 하노이에 제2공장을 가동하며 입지를 강화했다.

베트남 법인은 현지 소득수준 향상에 따라 생감자스낵의 수요가 늘고 있는 점에 착안해 스낵 전용 매대를 확대하는 등 공격적인 영업전략을 펼치며 글로벌 경쟁사와의 격차를 더욱 벌렸다.

신규 거래처를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대량 구매 수요가 큰 B2B(기업 간 거래) 판매를 추진하는 등 영업력 강화에 집중하고 있다.
 
오리온 베트남 법인은 현지 판매량 증가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약 1000억원을 투입해 제3공장 건립과 함께 생산동 신·증축을 추진한다. 제3공장은 토지 매입과 더불어 구체적인 건축 계획을 수립하여 장기적인 관점에서 베트남 시장의 미래 생산 거점으로 자리매김 할 계획이다.
 
오리온은 1990년대 초 부산을 중심으로 러시아 보따리 상인들의 초코파이 구매붐이 일어난 것을 기회로 삼아 2003년 현지에 법인을 설립하고 2006년 트베리에 공장을 지으며 러시아 시장 진출을 본격화했다.

이후 2008년 노보에 제2공장을 건설해 초코파이 생산규모를 대폭 확대했으며, 2021년 7월 누적 매출액 1조원을 넘어선 바 있다.

러시아 2개 공장의 케파(생산능력)가 포화상태에 이를 정도로 현지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나면서 기존 트베리 공장을 대체하기 위해 신공장을 건설했다.

2022년 7월부터는 기존 트베리 공장 대비 4배 이상 큰 규모의 트베리 신공장을 가동하며 매출이 크게 성장했고 2022년 러시아 법인의 연매출은 1년 새 두 배 증가해 2000억 원을 기록했다.
  
오리온은 2021년 2월 인도 '라자스탄'주에 생산 공장을 완공하고 3월부터 초코파이를 생산, 판매하고 있다. 올해 상반기에는 스낵 생산 라인을 신규 구축하고 한국, 미국, 호주 등에서 글로벌 인기 스낵으로 자리잡은 '꼬북칩'을 선보였다. 현지 입맛에 맞춘 특화된 맛과 홀겹의 스낵 여러 개를 한 번에 먹는듯한 독특하고 차별화된 식감이 인도 시장에서 성장의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과자 제품 중에는 일찍부터 해외시장에 진출한 오리온의 '초코파이'가 연간 5000억원이 넘는 글로벌 판매고를 올리고 있다. 최근에는 국내에서 '품절대란'까지 일어났던 네 겹 스낵 '꼬북칩'이 스낵의 본고장인 미국을 비롯해 호주, 캐나다, 독일 등 23개국에서도 인기리에 판매되며 'K스낵’ 대표 브랜드로 거듭나고 있다.

꼬북칩은 국내 스낵시장을 석권한 데 이어 해외에서도 풍성한 '네 겹 식감'과 현지 입맛에 맞춘 차별화된 맛으로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으며, 2017년 첫 수출 이후, 해외 수출액은 5년간 연평균 145% 성장하고 있다. 스낵의 본고장 미국에서는 올해 8월까지 수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55% 증가하며 현지 소비자들의 호응이 지속되고 있다.

 

 
 
[서울=뉴시스] 필리핀의 한 마켓에 진열돼 있는 롯데웰푸드 빼빼로. (사진=롯데웰푸드 제공)



◆롯데웰푸드, 초코파이 하나로 인도서 연 400억원 매출고

롯데웰푸드는 지난해 롯데제과와 롯데푸드의 통합 법인 설립 이후 해외 시장 공략을 강화하고 있다.

지난해 롯데웰푸드의 연간 해외사업 매출액은 7952억원으로 전년대비 약 23.5% 성장했다.

영업이익도 434억원으로 전년보다 약 16.9% 신장하는 성과를 거뒀다. 올해 상반기의 경우 3986억원의 매출을 기록했으며 전년 동기 대비 약 11% 증가했다.

롯데웰푸드는 인도, 카자흐스탄, 파키스탄, 벨기에, 러시아, 미얀마, 싱가포르, 중국 등 8개 국가에 현지 법인을 두고 있다. 현재 해외 생산공장 21개를 운영중이다. 이는 국내 공장(17개) 보다도 많은 숫자다.

올해는 카자흐스탄과 함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인도시장에 대한 투자에 집중할 예정이다. 인도의 경우 건과 법인(롯데 인디아)과 빙과 법인(하브모어)이 각각 운영되고 있는 곳이다.

롯데 인디아의 '롯데 초코파이'는 인도 초코파이 시장에서 약 80%의 시장점유율을 차지할 정도로 인도에서 인기있는 대표 제품이다. '롯데 초코파이'는 연간 약 400억원의 매출고를 올리고 있다.

롯데인디아는 현재 인도 첸나이와 하리아나 지역에 2개의 초코파이 공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연내 초코파이 생산 라인 증설을 완료할 계획이다.

'롯데 초코파이'는 일찍부터 고급화 전략을 전개하고 마시멜로에 사용되는 동물성 젤라틴을 식물성 원료로 대체하며 성공적으로 현지화 한 것을 인기의 비결 중 하나로 꼽고 있다.

 
 
인도 초코파이 광고. (사진=롯데웰푸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롯데웰푸드는 진출 국가 중 성장 잠재력 높은 인도, 중앙아시아(카자흐스탄, 파키스탄 등) 지역 중심으로 롯데 브랜드 시장 경쟁력 강화할 계획이다. 미국, 유럽 등 선진국의 경우 인수합병(M&A)을 통한 진출 등을 고려하고 있다.

롯데웰푸드는 해외로 빼빼로를 수출하며 K푸드를 알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현재 동남아, 미국, 중동 등 50여개국에 판매되고 있으며 지난해에는 약 480억원 규모의 해외 매출을 기록했다.

올해 5월경에는 필리핀 최대 유통채널인 'S&R'과 업무협약(MOU)을 체결햤다. 빼빼로를 비롯 캔햄과 분유 및 다양한 K푸드 제품을 지속적으로 수출할 계획이다.
 
빼빼로데이는 90년대 중반부터 부산 및 경남지방의 여중생들 사이에서 11월에 빼빼로를 주고 받으며, '날씬해지자'라는 응원과 바람에서 시작됐다.

빼빼로데이는 다른 기념일과 달리 자발적으로 형성되어, 현재까지 국민들에게 꾸준한 사랑을 받고 있다는 것에서 의미가 있다.

롯데웰푸드는 2020년부터 국내 뿐 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빼빼로데이 글로벌 캠페인을 진행하며 K푸드 확산을 넘어 K컬쳐의 수출에도 최선을 다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모두의 만남을 응원해!(Say hello)'라는 슬로건을 내세우며 카자흐스탄, 대만, 필리핀, 싱가포르 등 해외에서 빼빼로데이 글로벌 캠페인을 전개한 바 있다. 특히, 필리핀에서는 대형 쇼핑몰에 부스를 열고 오프라인 빼빼로데이를 현지 최초로 진행하기도 했다.

올해는 세계에서 주목받는 K팝 스타 '뉴진스'를 캠페인 앰배서더로 선정, 더 적극적인 글로벌 빼빼로데이 마케팅을 펼칠 계획이다.


 

 

세부 사항

베트남 쇼핑몰

 글로벌 은행 HSBC가 최근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베트남에서 사업 확장이 되는 매력적인 주요 특성을 열거했다. 설문조사 결과, 낮은 인건비와 경제의 탄력성을 최우선 요인으로 선정했다. 뒤를 이어 숙련된 노동력, 국내 소비자의 소득증대 및 빠르게 확장할 수 있는 규모가 큰 시장이 주요 특성이다.

 
이러한 결과는 글로벌 경기가 위축되는 침체 국면에서 나온 것으로 2023년 베트남에서 1~8월 기간 자동차 판매는 30% 감소하고 철강 가격은 성수기임에도 수요부족으로 가격은 31% 하락하라는 등 경기의 선행지표라고 할 수 있는 주요 품목에서 판매가 부진한 상태다. 
 
2023년 상반기 수출은 부진하여 주요 수출 품목인 전자제품과 스마트폰은 15.4% 감소, 신발은 17.6% 감소, 섬유·의류는 17% 감소로 최근 10년 중에서 가장 저조한 실적을 보이고 있었다. 
 
베트남 통계청에 따르면 2023년 2분기 베트남에는 근로연령 실업자가 107만 명에 달했다. 해고된 중년 노동자 중에서 상당수가 고향에서 정착했고, 일부 사람들은 물가가 저렴한 중소도시의 산업단지 지역으로 다시 이주했다.
 
그러나 8월에는 수출에서 반등의 신호가 이어지고 있다. 컴퓨터, 전기기기, 부품 수출액은 약 53억 달러로 전월 대비 4.4% 증가했다. 휴대폰 및 부품은 15.7% 증가한 51억5000만 달러, 기계 장비·도구는 2.4% 증가한 36억 달러다. 
 
의류·직물은 5.5% 증가한 35억 달러, 목재·목제품은 15.1%의 놀라운 성장률로 13억 달러, 운송 차량 및 예비 부품은 5.7% 증가한 12억 달러, 유일한 예외는 신발이었고, 수출액은 17억 달러로 전월 대비 4% 감소했다. 
 
1~8월 베트남 수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9.8% 감소한 2280억 달러를 기록했지만, 8월 수출액은 328억 달러로 전월 대비 9% 증가했다. 향후 베트남 수출의 원자재 공급국가인 한국에서 베트남으로 수출도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베트남 최대 ICT 기업 FPT는 8개월간 매출이 기술 부문에서 19조4000억 동으로 전년 동기 대비 약 24% 증가했다. 해외시장의 정보기술 서비스 부문은 30% 증가한 15조2900억 동, 통신서비스는 8% 이상 증가하여 10조3000억 동이다.
 
베트남은 최근 예금금리를 지속적으로 내리면서 부동산 경기를 부양하려고 했지만 2023년 부동산 거래량이 90% 감소했다. 전문가들은 저렴한 주책이 부족한 것이 부진한 원인이며 시장침체는 2024년 3분기까지 이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또 다른 중산층의 주요 자산인 주식시장은 개인 투자자 주식 순매수가 최근 4개월 중에서 최고를 기록하며 주가지수가 1100을 넘어서 1240까지 상승했지만 1240에서 차익실현 매물로 인해 1130으로 급락하고 있다.
 
베트남 민간항공국(CAAV)에 따르면 2023년 1~9월 동안 항공을 이용한 승객 수는 2022년 같은 기간에 비해 20% 증가해 8900만 명이다. 국제선 이용 승객은 전년 동기 대비 267% 성장률을 기록했으나 국내선 승객은 4% 감소했다. 
 
하노이 롯데 서호 쇼핑몰은 22만2000㎡ 면적으로 9월 22일 그랜드 오픈했다. 223개 업체가 입주했으며 32개의 플래그샵 스토어도 공식 개장했다. 입구 중앙은 베트남에서 제일 큰 규모를 자랑하며 이용자를 압도하고 있다.
 
그랜드 오픈 다음 날 주말의 분위기는 다른 쇼핑몰과는 대조를 이루며 성황을 이루었다. 토요일 점심시간에는 대부분의 레스토랑에서 대기 줄이 형성되었으며 고급 외식업부터 패스트푸드점까지 다양하게 구성된 세심한 배려가 돋보였다. 
 
지하 1층에 자리 잡은 슈퍼마켓에서는 신선식품이 우수해 보였으며 프리미엄 식품도 인기가 있었다. 요리하다 코너에서는 김밥, 샐러드, 닭강정, 디저트, 스시 등을 비롯하여 풍미소 빵 등은 특화된 식품으로 소비자의 많은 관심을 끌었다. 
 
1층에 자리 잡은 외국 브랜드 의류 점포에서는 고급 백화점이지만 많은 소비자들이 쇼핑하고 있었다. 2~3층 매장에서는 30~50% 오픈 기념 할인을 제공해 주고 있었다. 
 
베트남에서 가장 고급 외식업인 스타벅스는 2013년 2월 호치민시에 첫 매장을 오픈한 이후 2023년 현재 전국 9개 시성에서 100개 점포를 운영하고 있다. 100호점은 상징적으로 가장 큰 쇼핑몰인 하노이 롯데 서호 몰에서 개점했다.
 
77년 역사를 가진 에그커피를 판매하는 지앙 카페도 2호점으로 입점했고 삼진어묵 매장은 100명이 넘는 대기자가 줄을 섰다. 4층에는 아기를 위한 놀이터 및 영화관이 있으며 즐기고 체류하는 쇼핑몰이 테마로 보인다. 
 
MZ세대를 포함한 젊은 중산층은 편리함으로 쇼핑하는 소비계층으로 트렌드가 온라인쇼핑으로 이동하는 추세에 있다. 쇼핑몰은 이러한 저비용 상품이나 배달의 편리함 등의 온라인쇼핑과는 다른 차별화를 시도하고 있다. 가족 및 커플의 가치 중심 소비문화를 주도하며 체류하고 즐기는 명소로서 쇼핑몰이 다가오고 있다. 


 

 

 

 

세부 사항

국내외 사회공헌활동으로 미래세대 꿈 후원

 LS그룹(회장 구자은)의 국내외 사회공헌활동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LS그룹은 지난 7월 집중호우 피해 복구를 지원하기 위해 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 5억원을 기탁했다.
 
성금 기탁에는 LS전선, LS일렉트릭, LS MnM, LS엠트론, E1, 예스코홀딩스 등 6개 계열사가 참여했다.
 
LS그룹은 올해 4월 강릉 산불피해복구, 2월 튀르키예 지진피해복구, 지난해 동해시 산불피해복구와 중부권 집중호우 수해복구 등 국내외 재난 상황에서 꾸준히 기부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이런 기부 활동은 ‘미래세대의 꿈을 후원하는 든든한 파트너’라는 철학에서 비롯됐다. 사회로부터 신뢰받는 보다 좋은 기업이 되기 위해 글로벌 개발사업, 지역사회 소외계층 지원, 재해재난 성금 기부 등을 매년 진행하고 있다.
 
▲5월 4일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린 'LS드림센터' 개소식에서 주요 관계자들이 간판제막식을 진행하고 있다. [LS그룹 제공]
글로벌 사회공헌 활동의 일환으로 LS그룹은 올해 5월 4일, 한국인과 베트남인이 결혼한 가정의 여성 취업과 자녀교육 문제를 돕기 위해 교육∙문화 공간인 ‘LS드림센터’를 베트남 하노이시에 개소했다.
 
하노이 한베가족협회 자료에 따르면 베트남 거주 한-베 가정은 2016년 약 500 가구에서 2022년 약 2,200 가구로 4배 이상 급증해 사회적 이슈로 대두되고 있어 이에 대한 맞춤형 복지가 절실한 상황이다. 이에 LS그룹은 베트남에 일찌감치 진출한 한국 대표 기업으로서 현지 사회적 문제 해결에 동참한다는 취지로 한-베 가정이 많이 거주하는 하노이 중심에 LS드림센터를 열었다.
 
LS드림센터는 지상 4층∙6개 프로그램 운영실을 갖춘 건물로, LS는 이곳에서 각 교육 및 프로그램 전문가를 강사로 섭외해 한-베 가정을 위한 ▲자립역량강화교육(컴퓨터, 한국어능력시험, 요리, 네일아트) ▲가족상담 및 부모교육(자존감 향상, 아동케어, 심리상담) ▲아동교육(한글교육, 문화체험, 독서교실) 등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LS그룹은 2007년부터 베트남, 인도, 방글라데시, 캄보디아 등 4개국에 대학생과 LS 임직원 25명으로 구성된 약 1,000여명의 LS 대학생 해외봉사단을 선발 및 사전교육하여 파견을 실시해왔고, 파견 지역에 매년 8~10개 교실 규모의 건물인 LS드림스쿨을 신축하여 현재까지 베트남 하이퐁∙하이즈엉∙호치민∙동나이 등지에 총 21개의 드림스쿨을 준공해왔다.
 
LS그룹은 코로나19로 해외 출국이 어려워진 상황을 감안하여 안전을 위해 일시 중단했던 LS 대학생 해외봉사단 파견을 올해 8월부터 재개했다.
 
국내에서는 지역 초등학생들이 방학기간을 이용하여 평소 접하기 어려웠던 과학실습 교육과 문화체험을 할 수 있는 ‘LS드림사이언스클래스’를 2013년 시작해 올해로 18회째 이어오고 있다.
 
LS드림사이언스클래스는 초등학교 방학 기간에 안양, 울산, 청주, 동해, 구미 등 전국 9개 지역에서 주요대학 공대생들이 멘토로 참여해, 초등학생들과 함께 자가발전손전등, 태양광 및 전기 충전 자동차, 센서로 움직이는 트랙터 등 9종의 과학 키트를 직접 만들며 전국적으로 창작지원활동을 펼치는 활동이다.
 

 
LS그룹은 올해 1월 3일부터 31일까지 약 4주간 전국적인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인해 아동 돌봄 사각지대 발생, 지역 교육격차 심화 등 다양한 사회문제가 대두되는 가운데, LS드림사이언스클래스 18기를 진행하여 초등학교 5~6학년을 대상으로 과학실습 교육을 제공하는 등 미래세대 응원에 나섰다.
 
활동 기간 중 3일간은 서울시 구로구 소재 전문 스튜디오에서 코로나19 감염 우려를 최소화하기 위해 온라인 비전캠프를 개최, 각 지역별 초등학생들이 한 공간에 모여 서로 소통하고 자신의 꿈에 대해 다짐할 수 있는 시간을 가졌으며, 종이접기 오경란 강사, 각 종 방송과 미디어에서 과학 커뮤니케이터 엑소로 활동 중인 이선호 선생님 등이 출연해 과학 원리를 더욱 쉽고 재미있게 접할 수 있도록 아동들에게 특강을 진행했다.
 
계열사인 LS전선은 폐자원 순환 생태계 구축에 앞장서고 있다. 
 
지난해 LS전선은 고객이 사용한 폐 목재 드럼을 재활용하는 온라인 플랫폼 ‘온 드럼’(ON DRUM)을 구축, 하반기부터 본격 운영에 돌입했다. 제품 생산부터 폐기까지 전 과정에서 기업의 책임을 확대하는 ESG경영 강화 정책의 일환이다. 
 
그동안 목재 드럼은 케이블 보관, 운반 과정에서 1회 사용된 후 폐기되는 경우가 많았다. LS전선의 손자회사이자 목재 드럼 전문 생산업체인 지앤피우드(G&P Wood)는 온드럼을 통해 전선 사용자와 드럼 수거 업체를 중개한다. 버려지는 빈 드럼이 재활용되도록 해 건설 폐기물을 줄이고, 폐자원 순환 생태계 구축을 촉진하고 있다.
 
LS일렉트릭은 예술을 통한 장애인 고용 활성화와 사회 인식 개선에 나서고 있다. 
 
LS일렉트릭은 올해 5월 17일 경기도 안양시에 위치한 LS타워에서 장애인 합창단 ‘그린 보이스’를 창단하고 임직원들과 함께 ‘런치 콘서트’를 개최했다. 그린 보이스 합창단은 중증 발달장애 음악인 8명으로 구성됐다. 
 
LS일렉트릭은 문화 예술을 통한 장애인 고용 확대, 직업 재활, 사회 인식 개선 등을 위해 최근 합창단원을 직원으로 채용하고 안정적 음악 활동을 위한 지원을 지속해 나갈 계획이다. 합창단 명칭은 대한민국 스마트에너지 대표 기업 LS일렉트릭 임직원의 목소리와 의지를 담아 지속가능한 친환경 그린 에너지의 미래를 열어가자는 뜻을 담아 선정됐다. 
 
이밖에도 LS일렉트릭은 2014년부터 각 사업장 지역 저소득 소외계층 대상 방한복 전달, 한가위 명절 도시락 선물, 여름철 냉방용품, 겨울철 김장 지원, 난방용품 기부 등 다양한 소외 계층과 계절 맞춤형 지원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다.
 
비철금속소재기업 LS MnM은 어린이들이 쉽고 재미있게 과학을 배우고 즐길 수 있도록 매년 여름 방학마다 과학 캠프를 개최하고 있으며, 지난해 7월 이틀간 울산시 울주군 소재 온산초등학교에서 어린이 과학캠프인 ‘CU 투마로우 사이언스 캠프’도 운영하는 등 2013년 시작해 10회째 이어오고 있다. 
 
또한 지난해 12월에는 초록우산 어린이재단 울산지역본부를 찾아 후원금 1천만원을 전달했다. 후원금은 LS MnM 임직원들이 1년간 자발적으로 기부한 급여우수리와 회사에서 지원한 매칭그랜트 기금으로 마련되었다. 후원금은 초록우산 어린이재단 아동 지원 대표사업인 ‘산타원정대’ 프로그램을 통해, 지역사회 취약계층 어린이들의 생활 지원과 학업 지원을 위한 교육사업에 쓰일 예정이다.
 
LS엠트론은 지난해 11월 6일부터 11일까지 코피온과 함께 베트남 뛰엔꽝성 반푸 초등학교에서 ‘5기 해피 글로벌 봉사단’을 진행했다. 이 활동은 LS엠트론이 지역사회 나눔 활동을 위해 지난 2011년부터 진행하고 있는 봉사활동이며, 코로나19 상황으로 3년만에 재개됐다. 
 
봉사단은 20대부터 50대까지 다양한 계층의 임직원 16명으로 구성됐다. 봉사단원들은 음악, 미술, 체육, 한국어 관련 교육 봉사와 낡은 벽면 페인트칠, 벽화 그리기 등 노력 봉사와 K-POP 노래, 춤 등 문화공연을 진행했고 교육 기자재용 TV 등을 기부했다. 
 
반푸 초등학교는 2011년 LS엠트론에서 건축한 학교로 11년이 지나 임직원들이 다시 방문해 직접 보수 작업을 하며 의미를 더했다. LS엠트론은 이 밖에도 지역사회 소외된 주민들을 위한 사업장 별 봉사 동아리 활동, 농촌사랑봉사단 등을 진행하며 다양한 나눔 활동을 펼치고 있다.
 
친환경 에너지 기업 E1은 전국 21개 장애인 복지시설에 매년 1억 5백만원을 후원하는 ‘희망충전캠페인’을 진행해오고 있으며, 후원 중인 21개 시설에 임직원들이 연 2회 정기적으로 방문하여 봉사활동을 실시하는 ‘희망충전봉사단’도 함께 운영하고 있다. 
 
다만 지난 2년간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대면 봉사활동은 중단하고 기부금품 전달 형식으로 활동을 진행했으며, 지난해 하반기부터는 각 부서별로 21개 시설과 1부서-1시설 매칭하여 대면 봉사활동을 재개하고 구성원이 주도하는 사회공헌활동을 적극 실시 중이다. 
 
또한 E1은 한국여자프로골프대회 ‘E1 채리티 오픈’을 통해 조성한 기부금으로 대한적십자사와 함께 소외계층 지원 사업을 지속 추진하고 있다. 이에 한부모가정 및 조손가정 등 저소득 취약계층을 지원하며 누적 기부금 1억원을 달성해 2021년 ‘회원유공장 명예대장’을 수상한 바 있다.
 
예스코홀딩스는 사회적 거리두기와 마스크로 답답함을 느꼈을 아이들에게 정서적 안정감과 쾌적한 교실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교실 숲 조성’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한성PC건설 생산 공장 인근 초등학교 결연을 통한 교육 기자재 및 발전 기금 지원 사업을 진행 중이다. 서울특별시, 경기도 총 17개 지역에 도시가스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고 있는 예스코는 6개 센터에서 상∙하반기 1회씩 지역아동센터를 대상으로 아동들이 안전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가스안전 장비(노후 가스레인지, 일산화탄소경보기, 가스보일러 등) 교체, 시설점검 및 안전교육, 센터 노후시설 개선을 지원하고 있다. 
 
LS그룹 사회공헌 담당자는 “어려운 이웃들을 외면하지 않고 함께 더 큰 가치를 만들어 나가는 것이 LS의 경영철학인 LSpartnership의 정신”이라며 “앞으로도 따뜻한 나눔 활동에 적극 동참하여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세부 사항

베트남 활용FTA

 우리 전기·전자제품이 대베트남 수출에서 59.3%를 차지하는 만큼 무역협정 관세혜택을 누릴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베트남에 수출을 진행하는 기업들은 한-아세안, 한-베트남, RCEP 중 자사 제품에 유리한 협정관세를 선택해 적용하기 위한 활용방법을 고민해볼 만하다.

 
한국무역협회는 9월 21일 삼성동 트레이드타워에서  ‘베트남 시장 진출을 위한 FTA 활용·인증 설명회’를 개최하고 이처럼 밝혔다.
   
행사에서는 ▷한-베트남·아세안 FTA 및 RCEP 활용 전략 및 유망품목 ▷한-베트남·아세안 FTA 및 RCEP 원산지증명서 발급 및 적용 절차 ▷베트남 전기전자제품 주요 표준 및 인증제도 ▷베트남 화장품 신고제도에 대한 발표가 진행되었으며 관심 기업인 100여 명이 참석했다.
 
홍정완 한국무역협회 차이나데스크 과장은 ‘한-베트남·아세안 FTA 및 RCEP 활용 전략 및 유망품목’ 발표에서 “최근 10년간 한국의 대베트남 수출입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며, 2013년 대비 2022년 수출은 189.3% 증가한 399억 달러, 수입은 272.5% 증가한 196억 달러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2022년 對베트남 수출의 59.3%가 전기전자제품에 해당한다”고 분석하며, “전기전자제품에 해당하는 352개 품목 중 206개 품목이 필요 시 베트남과 체결된 자유무역협정 활용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농수산물 및 가공식품 ▷플라스틱·고무 산업제품 ▷석유제품 또한 협정 활용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홍재상 한국무역협회 FTA기업지원실 관세사는 ‘한-베트남·아세안 FTA 및 RCEP 원산지증명서 발급 및 적용 절차’ 발표에서 “베트남의 경우 한-아세안, 한-베트남 FTA 또는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을 모두 적용할 수 있어 수출 물품의 원산지 결정 기준이나 세율 실익 등을 고려하여 유리한 협정 선택 및 적용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지난 7월부터 개시한 한-베트남 원산지증명서 전자교환 시스템(EODES)을 사용한다면 FTA 특혜관세 적용을 위한 종이 원산지증명서 제출 면제로 신청 절차가 간소화되고 통관 시간 단축 및 비용 절감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병국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 책임연구원은 ‘베트남 전기전자제품주요 표준 및 인증제도’ 발표를 통해 “베트남에서 판매되는 제품은 베트남 표준 및 기술 규정법과 제품품질법 총 2개의 법률을 따라야 한다”며, “제품이 잠재적인 유해성을 갖는 Group 2에 속하게 되면 기술규정 적합 인증인 CR(Conformity to Regulations) 인증 획득 및 표시가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베트남에서 판매되는 에너지효율 규제 대상 제품은 VNEEP(Vietnam National Energy Efficiency Program)에 따라 에너지 라벨을 부착해야 하며, 이는 반드시 베트남 현지 수입자가 신청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배아영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책임연구원은 ‘베트남 화장품 신고제도’ 발표를 통해 “베트남에 화장품 수출 시 아세안 화장품 지침(ASEAN Cosmetic Directive, ACD)을 준수하여 베트남 의약청에 신고해야 한다”며 “신고할 때는 베트남 내 제품 수입·유통·판매·품질 관리를 수행할 책임자(RP)를 선정하고 제품 정보 파일(PIF)을 작성 및 제조판매증명서(CFS)와 수권서(LOA) 등의 준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한국무역협회는 비관세장벽 콜센터(국번 없이 ☎1380) 운영을 통해 지식재산권 및 해외인증에 대한 무료 전화 상담을 진행하고 있으며, 변리사 및 해외인증 전문가의 기업 방문을 통한 맞춤형 심층 컨설팅도 FTA 통합 플랫폼(okfta.kita.net)을 통해 신청받고 있다.


 

 
 

세부 사항

베트남 생태계시장

 응웬 푸 쫑(Nguyen Phu Trong) 서기장의 초청으로 베트남을 국빈 방문한 조 바이든(Joe Biden) 미국 대통령은 9월 10일 하노이에서 양국이 한 단계 격상된 포괄적이고 전략적인 파트너십을 구축했다고 발표했다. 

 
베트남 지도자는 미국의 지원과 동해(남중국해)에 관한 아세안의 입장에 대한 지지를 높이 평가했으며 미국 지도자는 양국의 관계와 함께 개방적이고 안정적으로 아세안(ASEAN) 중심의 결속과 번영에 기여하겠다고 확인했다. 
 
베트남은 2022년 미국으로 1093억9000만 달러를 수출하고 미국에서 144억 7천만 달러를 수입했다. 베트남에게 미국은 최대 수출 시장이면서 최대 무역흑자 대상국이기도 하다. 2023년에도 이러한 우호적인 무역 관계는 계속되고 있다. 
 
베트남과 미국은 발전적으로 관계를 격상하면서 파트너십의 새롭고 중요한 원칙에 합의했다. 양국은 성공적으로 투자하고 사업을 수행하고 지속 가능한 공급망에 참여하고 양국의 번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최적의 조건을 만들기로 했다. 
 
양국 정상회담 기간 중 베트남 기획투자부 장관과 미국 국무부 장관은 미국이 베트남에서 3만~5만 명의 반도체 전문가를 양성하는데 투자하고 베트남 기술기업 FPT에 반도체 및 AI 엔지니어 양성을 위한 자금을 제공할 것을 제안했다.
 
미국이 베트남의 반도체 생태계 시장 육성에 도움을 줄 것을 시사하면서 베트남의 거대 기술기업 FPT는 2023년 말까지 1천억 달러를 미국에 투자할 계획이며 해당 프로젝트에 1,000명의 강력한 인력이 투입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FPT는 또한 AI 채택을 촉진하기 위해 실리콘 밸리의 컴퓨터 비전 플랫폼이며 AI 소프트웨어 회사 Landing AI와의 포괄적인 전략적 파트너십을 발표했다. 2008년 미국시장에 진출한 FPT는 300개 이상의 기업과 파트너십을 맺고 있다. 
 
베트남 부총리 쩐홍하(Tran Hong Ha)는 미국 월마트(Walmart) 소비재 상품 소싱 담당 수석 부회장과의 회의에서 인력, 인프라 및 사회 정치적 안정성에 강점을 가진 베트남은 세계의 수출업자이며 선도적인 소비재 생산국가로서 미국 소비재 유통망 생태계 시장에 포괄적으로 참여하기를 원한다고 말했다. 
 
월마트 부회장은 그룹이 적절한 품질과 비용으로 국내 원자재 영역을 창출하고 생산성을 향상하기 위해 생산의 디지털화를 촉진하고 근로자의 작업 조건을 보장하며 상품 원산지 추적성을 향상할 수 있도록 베트남 제조업체와 공급업체를 계속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로이터> 통신 보도에 따르면 미국 대통령의 베트남 국빈 방문 기간에 인텔, 구글 등 미국의 주요 반도체 기술기업들이 비즈니스 회의에 참여하였으며 인공지능(AI) 분야의 사업 협력도 이뤄질 것으로 전망했다. 
 
인텔은 베트남 남부에 반도체를 조립·테스트하는 공장을 두고 있으며, 이를 확장할 계획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앰코테크놀로지도 하노이 인근에 반도체 공장 설립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으며, 반도체 설계회사인 마벨테크놀로지도 베트남 투자 계획을 밝힌 바 있다. 
 
이러한 미국의 행보에 대해 미국 정치 매체들은 베트남과의 격상된 전략적 파트너십 합의를 통해 최근 반도체 및 AI 등 첨단기술 개발에 나선 베트남의 노력에 힘을 실어줄 계획이며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중국을 견제하고 미국 영향력을 더 키우려는 움직임으로 해석하고 있다.
 
베트남-한국 관세 협력 및 상호 지원 협정을 개정하는 의정서가 2023년 9월 10일 공식 발효됐다. 이 협정은 한국기업의 베트남 수출 절차 간소화 등이 포함한 통관 혜택 확대의 법적 근거를 제공할 것이라고 한국 외교부가 밝혔다. 이는 대규모 교역 상대국 베트남과의 교역 회복이 더욱 촉진될 것으로 예상된다. 
 
베트남 남부 고무나무 최대 재배지역에서 중국 기업이 5억 달러 타이어 제조공장 투자증명서를 취득했다. 2025년 3분기에 가동될 예정인 이 공장은 연간 7억 7천만 달러 상당의 타이어 세트 1440만 개를 생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무역협회(KITA)가 8월 906개 기업을 대상으로 대외사업수요를 실태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해외 진출 한국기업의 사업운영에 중점을 두고 있는 지역은 1위 미국에 이어 중국, 일본 대신 베트남, 인도 등 신흥시장으로 옮겨갔다. 
 
베트남 섬유·의류산업은 2023년 2분기에 상당한 개선 조짐을 보이고 있으며 수요가 회복됨에 따라 연말 및 내년 음력 설(Tet) 성수기인 4분기에는 산업제품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에상된다. 또한, 2023년 상반기에는 원자재 면화 가격이 전년 동기 대비 크게 하락하면서 실적이 개선되는 조짐을 보이고 있다. 
 
9월 1일부터 4일까지 국경절 연휴 기간 호치민시의 슈퍼마켓과 쇼핑몰은 30~40% 매출이 증가하고 온라인 판매도 20% 이상 늘었으며 Big C 마트와 MM 메가마켓, 롯데마트도 연휴 동안 사람들로 붐볐다. 많은 사람이 여행을 떠나는 대신 엔터테인먼트와 쇼핑을 위해 쇼핑몰과 슈퍼마켓을 찾았다. 


 

 
 
 
 

세부 사항

베트남 회복 징후

 베트남 통계청(GSO)에 따르면 2023년 1~8월 기간 수출액은 2277억 달러로 10% 감소하고 수입은 2075억2000만 달러로 16.2% 감소해 무역흑자는 201억9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8월에만 전체 무역액이 609억2000만 달러로 전월 대비 6.7% 증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는 7.9% 감소했다.

 
수출보다 수입이 더 크게 감소한 것은 베트남이 수출 주도 국가임을 감안하면 아직은 수출 전망이 밝지 않다고 볼 수 있다. 미국은 추정 수출액 623억 달러로 베트남의 최대 수출시장이고, 중국은 681억 달러로 베트남의 최대 수입시장이다.
 
베트남은 2023년 들어 10여 년 만에 가장 긴 연속 수출 감소를 경험했다. 그러나 주요 증권사들의 분석에 따르면 베트남 수출의 약 4분의 1을 차지하는 최대 수출시장인 미국에서 재고가 바닥을 치고 있는 것은 4분기에 베트남 수출이 회복될 것이라는 구체적인 징후라고 분석했다. 
 
분석에 따르면 미국 소매업체와 기타 소비재 회사들은 코로나19 이후 재개방에 대한 붐을 예상하고 베트남산을 포함한 아시아산 제품을 다소 많이 구입했지만 미국 소비자들은 코로나19 봉쇄가 해제되자 제조된 제품을 더 많이 구매하는 대신 여행이나 외식 같은 서비스 소비에 치중했다.
 
월마트(Walmart), 타겟(Target) 및 나이키(Nike)와 같은 회사들은 공급망 문제와 부족에 대응하여 아시아 공장에 제품을 ‘과잉 주문’했고 2022년 말 재고는 2019년 대비 20% 이상 급증했다. 1분기 베트남 수출이 급락했지만, 현재 재고 감축이 거의 마무리 단계이며, 7월 베트남의 대미 수출은 전월 대비 거의 7% 증가했다. 
 
결과적으로 베트남의 대미 수출 감소 폭은 6월 전년 동기 대비 26% 감소에서 7월에는 14% 감소로 개선돼 베트남 전체 수출 감소 폭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됐다. 첫 6개월 동안 전년 대비 12% 감소에서 7월에는 전년 대비 2%로 증가했다. 
 
분석가들은 신뢰할 수 있는 몇 가지 경기 선행지표를 기반으로 2023년에 베트남의 수출 개선이 가속화될 것이라고 확신한다. 베트남 공장에 대한 수출 주문의 지속적인 감소는 7월에 마침내 완화되었고 기업의 원자재 재고는 2022년 말 이후 처음으로 7월에 증가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베트남에서 미국으로 수출의 절반 이상이 가전제품, 스마트폰 등 첨단기술 제품, 의류, 신발 등이며, 가구 및 농업 등 기타 다양한 제품이 나머지를 차지한다. 
 
미국 소매업체들은 스마트폰 등 전자제품들은 과잉 재고가 해소되어 가장 먼저 수출에서 회복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베트남 수출의 거의 20%를 차지하는 의류 및 신발은 미국의 소매업체가 제품을 비축하는 과정이 전자제품 재고를 줄이는 과정보다 훨씬 느리기 때문에 2024년까지 반등하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반등은 베트남의 GDP 성장률을 2023년 5% 미만에서 2024년 6.5%로 끌어올리는데 도움이 될 것이며, 결과적으로 베트남의 소득 증가율도 2023년 하반기부터 시작하여 2024년에는 크게 증가시키게 될 것이라고 분석가는 말했다.
 
베트남 외국인직접투자(FDI)는 2023년 1~8월 누계 전년 동기 대비 8% 증가한 181억5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싱가포르는 15% 감소했지만 38억3000만 달러로 투자 1위 국가였으며 한국은 24억5000만 달러로 4위 투자 국가다. 
 
호치민시에서 고용 근로자 규모가 큰 대만 기업은 주문 부족으로 9월 중으로 3차 직원 해고 방침을 정했으며 한국기업 의류회사는 직원 해고 방침을 정했으나 근로자 시위가 발생하면서 근로 당국이 중재하여 협상을 통해 원만하게 해결했다. 
 
베트남의 전통시장 상인들은 코로나 이후에도 회복이 느려지면서 소비자의 구매력 감소에 따른 매출 감소가 가장 큰 폭으로 줄어들고 있다. 구매력에서 다소 여유가 있는 소비자들은 가성비가 높은 상품 위주로 온라인으로 구매하는 추세다. 
 
베트남 경제 중심지 호치민시에서는 외식업 등의 점포에서 일부 회복의 징후가 보이고 있으나 매출의 증가가 미미하다고 호소하고 있으며 전통시장은 온라인쇼핑으로 이동한 소비자의 매출 감소로 인해 여전히 회복이 더디고 거리의 점포 등에서는 화장품 등 점포는 임대인을 구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젊은 중산층이 이용하는 쇼핑센터도 전에는 입장 대기자로 붐비던 점포에서조차도 퇴근 후 시간이나 주말에도 한산한 편이다. 구매력 감소로 인해 거리의 임대료가 높은 매장이나 고급 식당에서는 매장을 철수하며 새로운 임차인을 구하지 못하고 있다. 쇼핑센터에서는 가성비가 높은 외식업이나 점포는 유지하고 있다. 
 
회복의 징후가 예상되는 시점이지만 아직 구매력에서 실감을 느낄 수 없는 시장 환경으로 인해 온라인쇼핑에서도 매출이 늘고 있지 않으며 공격적인 프로모션을 자제하고 있다. 그러나 곧 다가올 연말 성수기에 이어 최대 소비 대목인 내년 초 음력 설(Tet)까지 2개월간을 준비하는 유통기업은 바쁘다. 


 

 

 

 

세부 사항

베트남젊은 중산층

 세계은행(WB)은 베트남 경제가 2023년에 4.7% 성장하고 2024년에는 5.5%, 2025년에는 6.0%로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경제성장률이 2022년 8%에서 2023년 상반기 3.7%로 둔화됐으며 어려운 외부 환경과 내수 부진이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나 경제는 2023년 하반기부터 속도를 낼 것이라고 말했다.

 
보고서는 경제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정부가 효과적인 공공투자를 통해 총수요를 지원함으로써 일자리를 창출하고 경제활동을 촉진할 수 있다고 말했다. 외부적인 충격에서 중기적으로 수출 회복력을 구축하기 위해 품목과 시장을 다변화할 것을 제안했다. 
 
베트남 팜민친(Pham Minh Chinh) 총리는 베트남 사회경제적 7월 성과에 관한 정부 회의에서 베트남 경제가 글로벌 시장 불확실성, 수출 감소, 신용 경색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 최근 경제 회복 조짐에도 불구하고 소비 부진과 세계 무역장벽 증가로 인해 성장이 방해를 받고 있다고 말했다.
 
총리는 높은 이자율, 공공부채 압박, 재정적 우려 등이 베트남에서 코로나19 이후 회복을 방해하는 주요 어려움으로 여전히 남아 있다고 덧붙였다 기획투자부에 따르면 올해 1~7월 수출은 지난해 동기 대비 10.6% 감소했다. 이 기간 국가 예산 징수액은 전년 대비 7.8% 감소했다.
 
정보통신기술산업(ICT)의 매출은 7월 말 기준 729억 달러에 해당하는 1710조 동으로 전년 동기 대비 7.1% 감소했다. 정보통신부는 회복 기미가 보이지 않는 여러 국가의 경기침체로 세계경제가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밝혔다.
 
호치민시의 외식업 시장은 국제 관광객 입국자 회복 속도가 느린 탓으로 인해 2023년 상반기에 자조한 실적이라고 보고서가 밝혔다. 2023년 상반기에 호치민시는 1800만 명의 방문객을 맞이했으며 이 중에서 외국인 입국자는 190만 명으로 11% 수준이다. 코로나19 전염병 이전의 약 46% 수준에 머물렀다. 
 
경제 대도시 호치민시의 몇몇 작은 쇼핑몰은 실적 부진과 높은 임대료로 인해 소매 세입자들이 이사를 나가면서 사무실 건물로 전환했다. 일부 유명 브랜드가 건물 임대를 반환한 후 쇼핑몰은 저렴한 사무실 건물로 전환됐다. 월 임대료는 ㎡당 22~24달러이며 인근 B급 사무실 월평균 임대료는 ㎡당 월 26.11달러다.
 
싱가포르에 본사를 둔 UOB(United Overseas Bank) 은행의 새로운 연구에 따르면 2022년 조사대상 기업의 94%가 높은 물가상승으로 인해 영향을 받았기 때문에 비용 절감이 베트남 기업의 최우선 순위라고 밝혔다.
 
구직업체 이번 달 보고서에서 섬유, 신발, 소비재, 산업 제품 등 다양한 규모의 500개 기업에서 일하는 1000명 이상의 사람들을 조사한 결과 60%가 생활비를 줄여야 했으며 37%는 기타 비용을 절감해야 한다고 말했다. 수입을 늘리기 위해 부업을 해야 하고 3%는 기회가 있을 때마다 초과근무를 하고 있다.
 
호치민 인력 수요 노동시장 정보 예측센터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호치민에서 고용되는 직책의 20% 미만이 대학학위 또는 이와 동등한 자격을 갖춘 지원자를 찾고 있다. 한편, 취업을 원하는 잠재적 근로자의 약 85%가 대학학위 소지자다. 
 
근로자들은 치솟는 생활비를 충당하기 위해 2024년 최저임금 인상을 기대하지만, 기업들은 경제적 어려움과 주문 부족으로 인상을 미루려고 모색하고 있다. 2분기 설문조사에서 근로자의 75% 이상이 생활비를 충당할 만큼 충분한 수입이 없기에 근로자들은 2024년에는 최저임금이 인상돼야 한다고 말했다. 
 
오리온 베트남은 상반기 전체 매출은 2241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5% 증가했다. 이러한 성장세가 계속된다면 2023년에는 사상 최대 매출인 540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2022년 매출은 4730억 원이었다.
 
2023년 베트남 그랜드 세일이 2023년 12월 4일부터 2024년 1월 1일까지 전국에서 진행된다. 이 행사는 다양한 경제 부문의 기업과 생산자의 참여를 촉진하고 유치하기 위해 온라인과 오프라인 모두 개최된다.
 
비교적 호황을 누리고 있는 베트남 경제 중심지 호치민시 인근 산업도시에서는 외국 및 국내 소매업체가 경쟁적으로 점포를 늘려가고 있다. 일본계 이온(Aeon) 슈퍼마켓이 젊은 중산층을 대상으로 소형 잡화점 형태로 5000㎡ 규모로 쇼핑구역과 함께 베트남, 일본, 한국 및 태국 음식을 제공하는 푸드코트로 구성했다. 
 
패션업체는 유니클로(Uniqlo)가 매장을 열었고 고기와 음료를 파는 스타벅스는 3번째 점포를 개점했으며 건강 및 미용 제품을 판매하는 전문점도 개점했다. 이미 이곳에는 메가마켓(Mega Market) 및 롯데마트도 운영 중이다. 
 
시장이 아직 불안정해 보이지만 내수소비가 늘어나며 구매력이 높은 젊은 중산층을 표적고객으로 하는 점포 구성이 늘어나는 추세다. 명확한 타겟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수요에 적합한 상품을 갖추고 다양한 형태의 전문점과 함께 새로운 시장을 개발하며 소비자 수요에 접근하고 있다. 


 

 

 

 
 
 

세부 사항

베트남소매업회복

 베트남 통계청(GSO)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3년 1~7월 기간 베트남 수출은 1947억 달러로 10.6% 감소했고, 수입액은 1795억 달러로 17.1% 감소했다. 약 152억3000만 달러의 무역흑자를 기록했다. 

 
통걔청(GSO)에 따르면 베트남의 많은 주요 수출 제품이 글로벌 시장 수요의 급격한 감소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경제가 계속해서 막대한 무역흑자를 기록하면서 산업생산과 수출이 계속해서 어려움에 직면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었다. 
 
베트남 경제는 수출 주도 국가로서 원자재 수입에 크게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수출의 감소 폭보다 더 큰 수입 감소는 기업이 여전히 주문이 부족하여 투입 자재를 수입할 필요가 없음을 보여준다. 근본적으로 글로벌 경기침체의 영향권에 있다. 
 
수출이 감소하면서 신규 설립기업 수가 감소추세에 있었으나 7월에는 설립된 신규 회사 수는 8만9600개로 전년 동기 대비 0.2% 증가했다. 부동산 부문에서 신규기업 수가 대폭 감소했음에도 전체 기업 수는 증가했다. 
 
신용평가회사S&P 글로벌에 따르면 베트남 제조업은 7월에도 48.7을 기록하며 활성화 기준치인 50 이하에 머물러 있지만 6월 46.2에서 상승했으며 소폭 회복했지만 운영 여건이 여전히 악화되고 있음을 반영한다. 
 
제조업체들은 특히 수출 시장에서 수요가 전반적으로 부진한 상태에 있다고 신호를 보냈다. 일부 회사는 유럽 고객의 신규 주문 수가 감소했다고 말했다. 신규 주문이 여전히 감소하고 있는 상황에서 기업들은 7월에 다시 생산을 축소했지만, 이전 조사 기간 이후 더 이상 축소 속도가 크지 않았다. 
 
더욱 긍정적인 점은 신규 주문이 5개월 만에 가장 완만한 속도로 감소함에 따라 수요가 안정될 수 있다는 신호가 있다는 것이다. 기업들은 이것이 앞으로 몇 달 동안 새로운 주문 증가로 이어지기를 바랄 것이다.
 
통계청에 자료에 따르면 올해 7월까지 상품 및 서비스의 소매 판매는 전년 동기 대비 10.4% 증가한 약 3530조 동 (1490억 달러)를 기록했다. 수출 및 제조업에서는 아직 회복될 기미가 멀어 보이지만 내수 소비는 회복 기미가 보인다.
 
세계 2위 양조업체 하이네켄(Heineken) 베트남은 1년 전보다 맥주 매출이 5.6% 감소했고, 가격 상승으로 인한 매출 증가에도 영업이익은 8.8% 감소했다. 음료 체인 푹롱(Phuc Long)은 2분기 매출이 14% 감소했다. 소형 매장 150개를 폐쇄하고 플래그십 스토어에 매진하였으나 실적이 저조한 것이 요인이다. 
 
베트남 최대 소매업체 마산(Masan) 그룹은 2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4.3% 증가한 18조6000억 동 이상에 달했다. 매장도 152개를 추가하며 3,00개 이상을 운영 중이다. 
 
마트 운영 기간이 가장 오래된 사이공 꿉(Saigon Co.op)은 7월에만 호치민시와 주변 도시에 소형 식품 전문점 13개를 추가 개설하여 517개로 늘렸다. 신선식품, 가공식품, 화장품, 가정용품, 과일 및 채소를 포함한 6000개 품목을 판매한다. 
 
태국 유통 기업 센추럴 리테일(Central Retail)은 호치민시 7군 비보시티(VivoCity) 쇼핑센터 3층에 3000㎡ 규모의 Come Home 가구 브랜드 매장 1호점을 개점하고 원스톱 쇼핑 모델로 고객이 모든 서비스와 제품에 접근할 수 있도록 했다.
 
한국 소매업체 롯데지주는 7월 28일 하노이에서 가장 큰 쇼핑몰 중 하나인 롯데몰 서호 하노이를 사전 개장했다. 7층 규모로 22만2000㎡ 규모의 쇼핑몰에는 233개 브랜드관을 운영하며 264개의 객실, 192개의 서비스 아파트 및 21층 A급 사무실 건물을 갖춘 5성급 호텔도 있다. 전체 단지 면적은 35만4000㎡다. 
 
베트남 경제의 3대 축인 수출, 투자 유치, 내수 소비 중에서 내수가 회복 추세이며 특히, 외국인 관광객 유입도 내수 소비에 도움을 주고 있다. 베트남 관광청에 따르면 베트남은 7월에만 거의 104만 명의 해외 손님을 맞이했으며 이는 전월 대비 6.5%, 전년 동기 대비 3배 증가한 수치다. 
 
2023년 1~7월 기간 베트남을 방문한 총 외국인 방문객 수는 거의 660만 명에 달해 연간 목표의 83%를 달성했다. 2019년 외국인 관광객 연간 1800만 명 실적과 대비하면 63%로 회복된 수준이다. 
 
외국인의 시장을 살펴보면 한국은 190만 명으로 전체 시장에서 28%로 1위이며 중국이 73만8000명으로 2위, 미국이 44만5000명으로 그 뒤를 이었다. 코로나 이전 1위인 중국시장에서 단체 관광객이 증가한다면 목표 달성은 무난할 것으로 보인다. 
 
베트남 시장에서 소매점의 매출이 증가하고 매장 수가 증가하는 추세인 점은 베트남으로 수출하려는 기업에게는 반가운 소식이다. 현재는 가성비가 높은 상품만이 팔리는 추세이지만 시장이 확대된다면 점차 다양한 상품이 추가로 판매되는 기반이 조성될 것으로 예상된다. 비필수 상품에서도 매출이 증가할 것이며 가치가 높은 새로운 신상품도 출시를 준비할 시기인 것으로 보인다.


 

 

 

 

세부 사항

베트남소비자 신뢰도

베트남 중앙경제관리연구소(CIEM)가 제시한 2023년 국내총생산(GDP) 성장 시나리오에 따르면 5.34%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세계 경제 발전이 국제기구 및 베트남의 평가와 일치한다고 가정하여 베트남의 수출이 5.64% 감소하고 소비자물가지수(CPI)가 3.43% 상승하여 무역흑자가 91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한다. 

 
스탠다드차타드(Standard Chartered) 은행은 최근 보고서에서 베트남 경제가 무역에서 지속적인 개선으로 하반기에 7%의 회복세를 이어가리라 예측했다. 베트남의 2023년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6.5%에서 5.4%로 하향 조정했다. 이 조정은 예상보다 낮은 자료와 덜 낙관적인 글로벌 전망을 기반으로 한다.
 
2023년 상반기에 베트남으로 유입된 외국인직접투자(FDI) 규모가 4.3%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전문가들은 투자 구조를 살펴볼 때 긍정적인 징후가 있다고 말했다. 2023년 상반기 베트남 투자 134억3000만 달러 이상 외국인투자 중에서 신규등록 자본은 거의 65억 달러에 달해 전체의 48.3%를 차지하며 전년 동기 대비 31.3% 증가했다.
 
부동산 산업에서 경기침체가 지속되면서 철강회사 포미나(Pomina)는 재정적 어려움을 해소하고자 지분 20%를 일본 철강회사에 양도했다. 싱가포르 상장 기업 TMG가 베트남의 FV 병원을 최대 3억8140만 달러에 인수하기로 합의했다.
 
베트남의 자동차 판매는 글로벌 경제위기로 인해 수요가 감소하면서 첫 6개월 동안 37% 급감한 13만7300대로 하락했다. 정부는 베트남산 자동차 판매촉진을 위해 7월 1일부터 2023년 말까지 자동차 등록비를 50% 인하했다.
 
한국제약 바이오제약협회(KPBMA)에 따르면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 베트남 의약청은 약 100명의 전문가와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제약분야 협력 워크숍을 개최했다. 베트남 제약시장은 2022년 기준 약 82억 달러로 추산된다. 베트남은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와 다국적 기업의 강력한 투자로 인해 매년 11%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베트남에서 섬유·의류 수출은 전체 수출액의 약 12.52%를 차지할 정도로 국가 경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베트남은 지난해 세계 최고 섬유·의류 수출국이다. 계속해서 기반시설에 대한 투자가 큰 폭으로 증가함에 따라 설비투자 측면에서 높은 경제성장을 달성할 것으로 기대된다. 
 
베트남 기술기업 FPT는 2023년 상반기 매출이 21.9% 증가했으며 특히 해외시장에서 IT분야의 실적은 30.2% 증가한 약 11조2000억 동의 매출과 전년 대비 34.6% 증가한 1조8000억 동의 세전이익을 창출했다.
 
베트남 SSI 증권은 베트남 소매업체의 이익이 2023년 상반기에 최저점을 기록했으며 기업들이 소비자 대출 증가를 가속해 거시경제 여건이 개선된다면 2023년 4분기와 2024년에 이익 성장을 회복할 것으로 전망했다. 
 
베트남통계청(GSO)에 따르면 소비재 및 서비스의 소매판매 매출은 2023년 상반기 1~6월 기간 전년 동기 대비 10.9% 증가한 301조 동(1270억 달러) 이상을 기록했다. 소매업체들은 다양한 어려움에 직면했으며 가장 힘든 시기를 겪었다고 믿었다.
 
미국 기술회사 인포커스(Infocus)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베트남 소비자 신뢰도는 2022년 7월 63p에서 2023년 6월 54p로 하락했다. 글로벌 시장조사 2023 PwC 베트남 소비자 설문조사(2023 PwC Consumer Insights Survey in Vietnam)에서도 베트남 소비자들은 생활비가 상승하는 가운데 필수적이지 않은 지출에 대해 62%를 보류하는 지출 순위를 대폭 조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베트남 브이엔다이렉트(VNDirect) 증권은 하반기에 시장이 장밋빛 신호로 회복될 것으로 예상되며 남은 몇 달 동안 주요 시장의 신규 주문이 증가할 것이라는 희망과 대출 금리 하락 추세가 소비를 계속 촉진할 것이라는 점에 주목했다. 전자제품, 특히 가전제품의 소비가 앞으로 가장 강력한 성장을 경험할 것이라고 말했다.
 
호치민시 인력수요 노동시장 정보예측(FALMI) 설문조사에 따르면 채용기업의 18.5%만이 직원들에게 2000만 동(100만 원) 이상을 지불할 의향이 있다. 4만2800개 기업과 7만6000명의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기업들도 채용 기준을 낮추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코로나 대유행 이후 최근 베트남 유통시장에서 가장 큰 변화는 소매점들이 점차적으로 정상을 찾아가면서 소비자들이 온라인쇼핑에서 주로 구매하던 소비패턴에서 일부는 다시 점포에서 구매하는 방식으로 이동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온라인쇼핑의 상품 판매 유형이 변화하면서 일부 품목에서는 구매가 급격하게 감소하고 대신 일부 품목에서는 증가하는 등 소비 질서가 재편되고 있다. 소매점에서도 일부 품목은 판매가 증가하고 있지만 대체적으로 구매력 저하로 인한 가성비가 높은 상품에서 판매는 호조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소비패턴 및 구매력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베트남에 진출하는 기업들은 상품 판매 구성을 다시 검토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세부 사항

베트남시장수요

 

 

베트남의 2023년 상반기 GDP는 3.72% 성장했으며 코로나19 기간을 제외하면 13년 만에 가장 낮았다. 경제의 3대 중심 중 하나인 공업과 건설은 0.44% 성장에 그쳤다. 관광 진흥으로 서비스는 6.33% 성장했으며 농림어업 생산은 3% 증가했다. 

 
무역은 상반기 3166억5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5.2% 감소했고 수출은 12.1%, 수입은 18.2% 감소했다. 무역흑자는 122억5000만 달러다. IMF에 따르면 2023년 하반기에 회복되어 수출에서 반등이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IMF는 베트남 2023년 GDP는 4.7%에 이를 것이며 수요감소로 세계 경제가 2024년에도 계속 어려움을 겪을 것이며 2025년에야 회복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글로벌 금리가 오랫동안 높은 수준을 유지할 가능성이 크고 베트남 은행이 이미 부실 대출과 늘어나는 대출로 위험성이 커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식료품과 전기료 등의 물가 상승으로 인해 전년 동기 대비 3.29% 상승했다. IMF는 베트남 인플레이션은 베트남 중앙은행 목표인 4.5% 상한선 이하로 유지될 것으로 예상했다.
 
베트남의 제조업체들은 약한 시장 수요로 계속 어려움을 겪고 있다. S&P 글로벌에 따르면 생산량과 신규 주문은 회복 조짐에서 다시 하락했다고 분석했다. 베트남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5월 45.3에서 6월 46.2로 상승했지만, 여전히 50 미만이다. 
 
수출이 부진하나 내수 진작에 영향을 미치는 관광산업에서 외국인 관광객의 입국은 대폭 증가 추세에 있다. 2023년 상반기 약 560만 명의 외국인 방문객을 유치하여 연간 목표의 69%를 달성했다고 현지 언론이 보도했다. 한국인의 베트남 방문자 수는 160만 명으로 전체의 28%를 차지하며 1위다. 
 
2023년 8월 15일부터 외국인 관광객의 체제 기간이 무비자는 45일간, e-비자는 복수 90일간으로 연장되어 관광산업의 활성화가 기대된다. 또한, 중국 시장은 단체 관광 재개가 2023년 3월 15일부터 시작되어 하반기 회복률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베트남 2023년 관광산업은 800만 명의 해외 방문객과 1억 200만 명의 국내 관광객을 포함하여 1억 1000만 명의 관광객을 유치하여 650조 동의 매출을 창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코로나 이전 2019년 외국인 관광객의 입국은 1800만 명이다.
 
2분기에 시장 수요 부족으로 인해 섬유 및 의류, 신발, 목공 및 전자부품 산업에서 217,800명의 근로자가 해고되었다. 통계청에 따르면 대부분은 남부지방 호치민시, 북부의 박닌성과 같은 산업단지와 수출가공지역이 많은 곳에서 발생했다고 밝혔다.
 
애플(Apple)을 비롯한 주요기업의 전자제품을 조립 및 생산하는 글로벌 기업 폭스콘은 약 2억 5천만 달러에 달하는 공장 2개를 설립하기 위한 투자 인증서를 획득했다.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를 제조할 예정이다. 
 
LG 이노텍은 투자금액을 2배로 늘리기 위해 10억 달러를 추가로 투자하여 카메라 모듈을 생산하는 하이퐁시에 소재한 공장을 확장하기로 했다. 이 회사는 2022년 33억 2천만 달러 매출과 1억 600만 달러 이익을 보고했다.
 
두산그룹은 동남아시아 국가의 잠재 청정에너지 시장을 겨냥한 미래 전략으로 친환경 에너지 투자를 확대할 계획으로 두산에너지㈜가 화력발전소를 운영하는 3개사와 협약을 체결하고 친환경 연료전환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베트남 T&T Group과 한국가스공사(KOGAS)는 베트남에서 LNG 가스 발전 프로젝트 개발에 협력하고, 베트남 정부 정책에 따라 석탄발전 프로젝트를 LNG 가스 발전으로 전환하기 위한 LNG 및 수소 개발하기 위한 양해각서(MoU)에 서명했다. 
 
부동산 컨설팅 회사는 호치민시 A등급 사무실 공실률이 현재 4.2%에서 2023년 말 29%로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하반기에 중앙 비즈니스 지구에 사무실 공급이 늘어나지만, 시장 수요는 이에 미치지 못한다고 밝혔다. 고가 오피스빌딩 임차인 대부분은 금융, 은행 및 보험(48%), 제약(19%) 및 기술(5%) 부문 등이다. 
 
시장 수요가 부족하여 중앙은행은 경기를 부양하고자 3회에 걸쳐 기준금리를 인하함에 따라 베트남 4대 국영은행은 6월 말 예금금리를 0.5~1%p 인하했다. 민간은행도 예금금리를 0.1~1%p 인하했는데 예치 기간 6개월 이하에서 그 폭이 가장 컸다.
 
인플레이션, 유동성 문제 및 수많은 기업이 직면한 어려움으로 인해 다양한 생산 및 비즈니스 부문에서 인수합병(M&A) 활동이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것은 투자자들이 더 나은 거래를 확보할 기회이기도 하다.
 
소비자의 구매력이 감소하고 경기침체로 인해 시장 수요가 약해지는 시기예는 시장세분화를 통해 성품의 포지셔닝을 재검토하고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판매촉진 활동을 소비재 위주의 필수품을 중심으로 진행할 필요가 있다. 
 

특히, 현재의 경제 어려움은 글로벌 금리가 오랫동안 높은 수준을 유지할 가능성이 크며 이로 인해 단기적으로 해결되기보다 중기적으로 개선되어야 하는 경제 환경임을 감안하면서 마케팅 활동을 전개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세부 사항

따라올 테면 따라와 봐
 

올해 상반기 한국의 글로벌 프리미엄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시장 점유율이 중국을 11배 가까이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KDIA)는 7월 30일 서울 송파구 소재 디스플레이산업회관에서 열린 ‘2024년 상반기 수출 실적 및 하반기 전망’ 기자간담회에서 올해 상반기 스마트폰·태블릿·TV 등 프리미엄 OLED 시장에서 한국의 점유율은 91.7%로, 압도적 우위에 있다고 밝혔다. 
 
시장조사기관 옴디아에 따르면 상반기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TV, 모니터 등 5개 프리미엄 OLED 품목에서 한국은 이와 같은 평균 시장 점유율을 기록한 반면 중국은 8.3%에 그쳤다. 한국이 11배가량 앞선 것이다.
 
한국 기업들이 지난 2019년부터 공급 과잉 상태인 액정표시장치(LCD)에서 고부가가치인 OLED 중심으로 사업구조를 발 빠르게 전환한 것이 주효했다는 설명이다.
 
압도적인 OLED 시장 지위를 바탕으로 전체 디스플레이 수출실적도 크게 성장했다. 
 
한국의 상반기 디스플레이 수출실적은 전년 대비 16.2% 증가한 88억9200만 달러(약 12조3000억 원)로, 이 중 OLED가 차지하는 비중은 70% 수준이다. OLED 수출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9.1% 증가한 62억5900만 달러(약 8조6600억 원)를 기록했다.
 
중국의 경기 침체와 애국 소비로 국내 기업들의 최대 고객사인 애플 스마트폰 출하량은 감소했지만, 인공지능(AI) 신기능 적용에 따른 교체수요 발생, 정보기술(IT)·TV 분야의 OLED 적용 확대 등이 수출 반등에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동욱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 부회장은 “올해 상반기 수출 결과 우리 산업이 경쟁국 대비 기술우위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스마트폰 등 기존 주력 분야에서 생산 및 기술우위는 유지하면서도 태블릿, 노트북 분야에서도 '투 스택 탠덤' 등 신기술 적용으로 프리미엄 분야 OLED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고 말했다.
 
탠덤 OLED는 레드·그린·블루(RGB) 유기 발광층을 2개 층으로 쌓는 방식으로 장수명, 고휘도를 구현해 기존 1개 층인 OLED 패널 대비 내구성과 성능이 뛰어난 것이 특징이다. 사실상 LG디스플레이, 삼성디스플레이 등 국내 업체들만 구현 가능한 기술이다.
 
올해 하반기에도 높은 OLED 시장 지배력을 토대로 한국 기업들의 선전이 이어질 것으로 관측된다. 디스플레이산업협회 관계자는 “하반기에는 국내 기업이 전량 공급하는 글로벌 스마트폰 신제품이 대거 출시 예정이어서 해당 물량 포함 시 한국과 중국 간 OLED 스마트폰 점유율 차이는 더욱 확대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삼성전자가 최근 갤럭시 폴더블폰을 출시한 데 이어 올해 9월에는 애플이 AI 기능을 적용한 아이폰16 시리즈를 선보일 예정이다. 또 OLED 탑재 IT 기기(태블릿·노트북·모니터)와 TV도 잇달아 출시를 예고한 상태다. 
 
이에 따라 국내 기업이 갖추고 있는 전량 공급 효과에 힘입어 올해 한국은 역대 가장 높은 OLED 수출 비중인 75.8%(2023년)를 상회할 것으로 한국디스플레이협회는 예측했다.
 
특히 하반기 시장 규모는 전년 동기 대비 10.3% 증가한 706억 달러로 추산된다. 이 가운데 OLED는 16.1% 증가한 288억 달러로 추정된다. 
 
하반기 글로벌 경기가 완화될 경우 프리미엄 제품 선호도 증가에 따라 올해 스마트폰의 OLED 침투율은 매출액 기준 91.2%, 출하량 기준 56.6%를 달성하고, 1500달러 이상 프리미엄 TV 시장에서도 OLED 침투율은 출하량 기준 53.6%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 업체들이 강세인 LCD에서 올해 상반기 한국의 수출 규모는 전년 대비 37% 늘어난 26억2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그동안 수출실적이 미약했던 디스플레이 소부장(소재·부품·장비) 분야는 기술개발에 따른 경쟁력 확보 및 업황 회복 영향으로 디스플레이 장비 및 유기재료의 상반기 수출이 각각 22.2%, 8.3% 증가했다. 협회 측은 이에 대해 국내 디스플레이 산업의 생태계 구축이 수출산업화로 본격화되고 있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세부 사항

Liên hệ